니어 레플리칸트: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넘겨주기 있음|니어 게슈탈트}} 니어 레플리칸트(NieR replicant / ニーア レプリカント)는 요코오 타로가 개발하고 스퀘어에닉스에서...)
 
잔글 (추적용 분류 강제 갱신 겸 이름 변경 반영)
 
(사용자 6명의 중간 판 66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넘겨주기 있음|니어 게슈탈트}}
니어 레플리칸트(NieR replicant / ニーア レプリカント)는 [[요코오 타로]]가 개발하고 [[스퀘어에닉스]]에서 배급한 [[롤플레잉 게임|액션 RPG]]로 [[드래그 온 드라군 & 니어 시리즈|드래그 온 드라군 시리즈]]와 동일 세계관 작품이자 [[니어 시리즈]]의 첫 번째 작품이다. 북미 정발명은 니어 게슈탈트(NieR gestalt / ニーア ゲシュタルト).
{{게임 정보
{{게임 정보
| 제목        = 니어 레플리칸트 & 게슈탈트
|게임이름 = 니어 레플리칸트 & 게슈탈트
| 원제목      ={{루비|NieR replicant & gestalt|ニーア レプリカント & ゲシュタルト}}
|원어이름 = NieR replicant & gestalt
| 이미지 =  
|배경색  = #FFFFFF
| 개발사      = 캐비어
|글자색  = #00000;text-shadow: 0px 0px 10px #B2EBF4;
| 발행사      = {{국기그림|일본}}{{국기그림|미국}} : [[스퀘어에닉스]]
|그림    = [[파일:니어 레플리칸트 PS3 패키지.jpg|300px]] <br /> PS3(일본판) 패키지 <br /> [[파일:니어 게슈탈트 엑박360 패키지.jpg|300px]] <br /> XBOX 360(북미판) 패키지
| 배급사      =  
|그림설명 =  
| 시리즈      = [[니어 시리즈]]
|배급사  = {{깃발|일본}}{{깃발|미국}} [[스퀘어 에닉스]]
| 엔진        =  
|개발사  = 캐비어
| 버전        = 1.08v
|제작    =
| 플랫폼      = [[PS3]](일본판), [[XBOX360]](북미판)
|작가    =  
| 출시        = {{국기그림|미국}} : 2005년 10월 18일(PC)<br/>2006년 10월 18일(PS3)<br/>2007년 4월 27일(XBOX360)<br/>{{국기그림|일본}} : 2005년 12월 2일(PC)<br/>
|미술    =  
| 장르        = [[롤플레잉 게임|액션 롤플레잉]]
|작곡가  =  
| 모드        = [[싱글 플레이]]
|장르    =  
| 언어            = [[영어]]<br/>[[일본어]]
|출시일  = {{깃발|일본}} [[2010년]] [[4월 22일]] (PS3)<br />{{깃발|미국}} [[2010년]] [[4월 27일]] (XBOX 360)
| 이용가 등급 = [[CREO]] : D<br/>[[ESRB]] : M<br/>[[PEGI]] : 18+ <br/> GRAC : 18세 이상 이용가
|종료일  =
| 미디어      = BD-ROM / DVD 1장
|플랫폼  = [[PS3]](일본판), [[XBOX 360]](북미판)
| 요구사양    =
|모드    = 싱글플레이
| 입력장치    = [[게임패드]]
|언어    = [[영어]], [[일본어]]
| 이전작     = 없음
|엔진    =  
| 후속작     = [[니어: 오토마타]]
|시리즈  = [[니어 시리즈]]
| 관련 사이트 = [http://www.square-enix.co.jp/nier/ 니어 레플리칸트 공식 홈페이지]
|이전작   = [[드래그 온 드라군]]
|후속작   = [[니어:오토마타]]
|웹사이트 = [http://www.square-enix.co.jp/nier/ 니어 레플리칸트 공식 홈페이지]
|비고    =
}}
}}
《'''니어 레플리칸트'''》(NieR replicant, ニーア レプリカント)는 [[요코오 타로]]가 개발하고 [[스퀘어 에닉스]]에서 배급한 [[롤플레잉 게임|액션 RPG]]로 [[드래그 온 드라군 시리즈]]와 동일 세계관 작품이자 [[니어 시리즈]]의 첫 번째 작품이다. 북미 정발명은 니어 게슈탈트(NieR gestalt / ニーア ゲシュタルト).


== 소개 ==
== 줄거리 ==
전작 [[드래그 온 드라군]](이하 드온드)의 E엔딩(일명 신주쿠 엔딩)에서 이어지는 내용으로 본작의 시간대는 E엔딩으로부터 약 1300년 변해버린 세계가 주 무대이다. 그러나 몇몇 연관점을 제외하면 드온드와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는 단독 게임 타이틀로 전작을 몰라도 게임 스토리를 이해하는데 별 지장은 없다. 엔딩도 드온드처럼 회차에 따라 달라지는 멀티 엔딩으로 총 4개의 엔딩이 있고 또하나의 엔딩은 부록 소설판으로 수록되었다.
전작 [[드래그 온 드라군]](이하 드온드)의 E 엔딩(일명 신주쿠 엔딩)에서 이어지는 내용으로 본작의 시간대는 신주쿠에서 모체 강림 사건이 벌어지고 약 1300년 뒤, 변해버린 세계가 주무대이다. 그러나 몇몇 연관점을 제외하면 드온드와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는 단독 게임 타이틀로, 전작을 몰라도 게임 스토리를 이해하는데 별 지장은 없다.


일본판(PS3)과 북미판(XBOX360)은 주인공의 세부설정과 외형이 다른데 이는 마초의 근육남 주인공을 원하는 북미 유저들의 의견을 반영한 것으로 일본판의 니어와 요나는 오빠와 여동생으로 이루어진 [[남매]], 북미판의 니어와 요나는 아버지와 딸인 부녀이며 스토리도 일본판은 1부는 소년기의 니어, 2부는 청년기의 니어가 나오지만 북미판은 1부의 니어는 두눈이 멀쩡하지만 2부에서는 한쪽 눈을 잃는 것으로 변경이 되었다. 공식 사이트에서는 니어 레플리칸트와 게슈탈트는 세계관만 동일한 [[패러렐 월드]]로 공인하고 있고 팬덤에서는 일본판 니어는 오빠 니어, 북미판은 아버지 니어라는 약칭으로 부르고 있다.
전작과 완전히 이어지는 것이 아닌 일종의 [[평행세계]] 같은 개념인데, [[요코오 타로]]의 언급에 따르면 전 세계에 대재앙이 일어난 분기점이 드온드 세계, 대재앙이 일어나지 않고 계속 이어가다가 2002년 일본에서 모체와 드래곤이 신주쿠에 강림하는 분기가 니어 세계다.<ref>출처 : 드래그 온 드라군 3 원화집</ref> 엔딩도 드온드처럼 회차에 따라 달라지는 멀티 엔딩으로 총 4개의 엔딩이 있고 또 하나의 엔딩은 부록 소설판으로 수록되었다.


== 게임 시스템 ==
== 게임 시스템 ==
== 스토리 ==
== 스토리 ==
== 엔딩 ==
{{참고|니어 레플리칸트/엔딩}}
== 등장인물 ==
== 등장인물 ==
* [[니어]]
* [[니어]]
* [[카이네]]
* [[카이네 (니어 레플리칸트)|카이네]]
* [[에밀]]
* [[에밀]]
* [[요나]]
* [[요나]]
47번째 줄: 51번째 줄:
* 레플리칸트
* 레플리칸트
* 게슈탈트 계획
* 게슈탈트 계획
== OST ==
{{참고|니어 레플리칸트/OST}}


== 트리비아 ==
== 트리비아 ==
* 일러스트 및 캐릭터 디자인은 일본에서 활동하는 한국인 [[일러스트레이터]] D.K.가 맡았다. D.K는 현재 개인적인 게임 개발 프로젝트에 참여중이며 일러스트레이터로서 활동은 사실상 중단한 상태.
* 게임 개발사 캐비어는 이 작품을 끝으로 도산, 문을 닫게 되었는데 《니어 레플리칸트》의 판매량은 약 8만 장 정도로 매우 저조했기 때문이다.<ref>출처 :
[http://www.4gamer.net/games/098/G009875/20100509002/ 4게이머 2010년 5월 10일 주간 판매량 랭킹] 니어 레플리칸트는 87.500장
정도 팔렸다.</ref>
* 일본판(PS3)과 북미판(XBOX 360)은 주인공의 세부설정과 외형이 다른데 이는 마초의 근육남 주인공을 원하는 북미 유저들의 의견을 반영한 것이다. 일본판의 니어와 요나는 오빠와 여동생으로 이루어진 [[남매]], 북미판의 니어와 요나는 아버지와 딸인 [[부녀]]이며 스토리도 일본판은 1부는 소년기의 니어, 2부는 청년기의 니어가 나오며 북미판은 1부의 니어는 두눈이 멀쩡하지만 2부에서는 한쪽 눈을 잃는 것으로 변경이 되었다. 공식 사이트에서는 《니어 레플리칸트》와 게슈탈트는 세계관만 동일한 평행세계로 공인하고 있고 팬덤에서는 일본판 니어는 오빠 니어, 북미판은 아버지 니어라는 약칭으로 부르고 있다.


{{각주}}
{{각주}}
[[분류:드래그 온 드라군 & 니어 시리즈]]
{{드래그 온 드라군 & 니어 시리즈}}
{{니어 레플리칸트 관련 목록}}
[[분류:니어 시리즈|1]]
[[분류:XBOX 360 게임]]
[[분류:2010년 비디오 게임]]
[[분류:플레이스테이션 3 게임]]
{{퍼온문서
{{퍼온문서
|문서=일본어 위키피디아 니어 레플리칸트 문서
|문서= ニーア ゲシュタルト/レプリカント
|일부=yes
|일부=yes
|퍼온곳=위키피디아
|퍼온곳=위키백과
|퍼온곳주소=https://ja.wikipedia.org/wiki/%E3%83%8B%E3%83%BC%E3%82%A2_%E3%82%B2%E3%82%B7%E3%83%A5%E3%82%BF%E3%83%AB%E3%83%88/%E3%83%AC%E3%83%97%E3%83%AA%E3%82%AB%E3%83%B3%E3%83%88
|퍼온곳주소=https://ja.wikipedia.org/wiki/%E3%83%8B%E3%83%BC%E3%82%A2_%E3%82%B2%E3%82%B7%E3%83%A5%E3%82%BF%E3%83%AB%E3%83%88/%E3%83%AC%E3%83%97%E3%83%AA%E3%82%AB%E3%83%B3%E3%83%88
}}
}}

2022년 5월 25일 (수) 18:54 기준 최신판

니어 레플리칸트 & 게슈탈트
NieR replicant & gestalt
니어 레플리칸트 PS3 패키지.jpg
PS3(일본판) 패키지
니어 게슈탈트 엑박360 패키지.jpg
XBOX 360(북미판) 패키지
게임 정보
배급사 일본미국 스퀘어 에닉스
개발사 캐비어
출시일 일본 2010년 4월 22일 (PS3)
미국 2010년 4월 27일 (XBOX 360)
플랫폼 PS3(일본판), XBOX 360(북미판)
모드 싱글플레이
언어 영어, 일본어
시리즈 니어 시리즈
이전작 드래그 온 드라군
후속작 니어:오토마타
웹사이트 니어 레플리칸트 공식 홈페이지

니어 레플리칸트》(NieR replicant, ニーア レプリカント)는 요코오 타로가 개발하고 스퀘어 에닉스에서 배급한 액션 RPG드래그 온 드라군 시리즈와 동일 세계관 작품이자 니어 시리즈의 첫 번째 작품이다. 북미 정발명은 니어 게슈탈트(NieR gestalt / ニーア ゲシュタルト).

줄거리[편집 | 원본 편집]

전작 《드래그 온 드라군》(이하 드온드)의 E 엔딩(일명 신주쿠 엔딩)에서 이어지는 내용으로 본작의 시간대는 신주쿠에서 모체 강림 사건이 벌어지고 약 1300년 뒤, 변해버린 세계가 주무대이다. 그러나 몇몇 연관점을 제외하면 드온드와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는 단독 게임 타이틀로, 전작을 몰라도 게임 스토리를 이해하는데 별 지장은 없다.

전작과 완전히 이어지는 것이 아닌 일종의 평행세계 같은 개념인데, 요코오 타로의 언급에 따르면 전 세계에 대재앙이 일어난 분기점이 드온드 세계, 대재앙이 일어나지 않고 계속 이어가다가 2002년 일본에서 모체와 드래곤이 신주쿠에 강림하는 분기가 니어 세계다.[1] 엔딩도 드온드처럼 회차에 따라 달라지는 멀티 엔딩으로 총 4개의 엔딩이 있고 또 하나의 엔딩은 부록 소설판으로 수록되었다.

게임 시스템[편집 | 원본 편집]

스토리[편집 | 원본 편집]

엔딩[편집 | 원본 편집]

등장인물[편집 | 원본 편집]

세계관 및 관련 용어[편집 | 원본 편집]

  • 흑문병
  • 마소
  • 게슈탈트
  • 레플리칸트
  • 게슈탈트 계획

OST[편집 | 원본 편집]

트리비아[편집 | 원본 편집]

  • 일러스트 및 캐릭터 디자인은 일본에서 활동하는 한국인 일러스트레이터 D.K.가 맡았다. D.K는 현재 개인적인 게임 개발 프로젝트에 참여중이며 일러스트레이터로서 활동은 사실상 중단한 상태.
  • 게임 개발사 캐비어는 이 작품을 끝으로 도산, 문을 닫게 되었는데 《니어 레플리칸트》의 판매량은 약 8만 장 정도로 매우 저조했기 때문이다.[2]
  • 일본판(PS3)과 북미판(XBOX 360)은 주인공의 세부설정과 외형이 다른데 이는 마초의 근육남 주인공을 원하는 북미 유저들의 의견을 반영한 것이다. 일본판의 니어와 요나는 오빠와 여동생으로 이루어진 남매, 북미판의 니어와 요나는 아버지와 딸인 부녀이며 스토리도 일본판은 1부는 소년기의 니어, 2부는 청년기의 니어가 나오며 북미판은 1부의 니어는 두눈이 멀쩡하지만 2부에서는 한쪽 눈을 잃는 것으로 변경이 되었다. 공식 사이트에서는 《니어 레플리칸트》와 게슈탈트는 세계관만 동일한 평행세계로 공인하고 있고 팬덤에서는 일본판 니어는 오빠 니어, 북미판은 아버지 니어라는 약칭으로 부르고 있다.

각주

  1. 출처 : 드래그 온 드라군 3 원화집
  2. 출처 : 4게이머 2010년 5월 10일 주간 판매량 랭킹 니어 레플리칸트는 87.500장 정도 팔렸다.
이 문서의 일부는 위키백과ニーア ゲシュタルト/レプリカント 문서를 원출처로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