엡실론: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그리스 문자}} <big><big>'''Γ,γ'''</big></big> '''엡실론'''(εψσιλον, epsilon)는 그리스 문자의 다섯 번째 글자이다. == 용도 == 그리스어의...)
 
잔글 (오류 수정 (빈칸))
 
(사용자 4명의 중간 판 6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그리스 문자}}
{{그리스 문자}}


<big><big>'''Γ,γ'''</big></big>
<big><big>'''Ε, ε, ϵ'''</big></big>


'''엡실론'''(εψσιλον, epsilon)는 [[그리스 문자]]의 다섯 번째 글자이다.  
'''엡실론'''(εψσιλον, epsilon)는 [[그리스 문자]]의 다섯 번째 글자이다.
 
== 음가 ==
영어의 E 발음과 유사하다. 단 η([[에타]])와는 달리 단음만을 의미한다.


== 용도 ==
== 용도 ==
10번째 줄: 13번째 줄:
=== 수학 및 통계 ===
=== 수학 및 통계 ===
* [[해석학]] 등에서 임의의 작은 양수를 표현할 때 사용한다.
* [[해석학]] 등에서 임의의 작은 양수를 표현할 때 사용한다.
* 순열과 관계되어 있는 기호 [[레비-치비타 기호]](Levi-Civita Symbol)ε<sub>ijk</sub>를 나타낼 때 사용한다. 레비-치비타 기호는 아래와 같이 정의된다.  
* 순열과 관계되어 있는 기호 [[레비-치비타 기호]](Levi-Civita Symbol)ε<sub>ijk</sub>를 나타낼 때 사용한다. 레비-치비타 기호는 아래와 같이 정의된다.
** <math>\epsilon_{ijk} = \begin{cases} {1} & {(i,j,k)=(1,2,3) ~ or ~ (2,3,1) ~ or ~ (3,1,2) }\\ {-1} & {(i,j,k)=(1,3,2) ~ or ~ (2,1,3) ~ or ~ (3,2,1)} \\ 0 & {\text{otherwise}}  \end{cases}</math>
** <math>\epsilon_{ijk} = \begin{cases} {1} & {(i,j,k)=(1,2,3) ~ or ~ (2,3,1) ~ or ~ (3,1,2) }\\ {-1} & {(i,j,k)=(1,3,2) ~ or ~ (2,1,3) ~ or ~ (3,2,1)} \\ 0 & {\text{otherwise}}  \end{cases}</math>


16번째 줄: 19번째 줄:
* [[물리학]]에서 ε는 [[페러데이의 법칙]]의 유도기전력을 나타낸다.  즉, <math> \mathcal{E} = - \frac {d \Phi_B} {dt}</math>
* [[물리학]]에서 ε는 [[페러데이의 법칙]]의 유도기전력을 나타낸다.  즉, <math> \mathcal{E} = - \frac {d \Phi_B} {dt}</math>
* [[물리학]]에서 ε는 [[전기용량]]의 유전율 상수를 나타낸다. 진공의 유전율의 값은 <math>\varepsilon_0 = \frac{1}{c^2\mu_0} = 8.8541878176\ldots \times 10^{-12}\mbox{ F/m}</math>로 정의된다.
* [[물리학]]에서 ε는 [[전기용량]]의 유전율 상수를 나타낸다. 진공의 유전율의 값은 <math>\varepsilon_0 = \frac{1}{c^2\mu_0} = 8.8541878176\ldots \times 10^{-12}\mbox{ F/m}</math>로 정의된다.


=== 그 외 ===
=== 그 외 ===
{{참조|wikipedia:Epsilon (disambiguation)}}
* 엡실론은 일본의 우주 발사체이다.
* 엡실론은 일본의 우주 발사체이다.
* 현대자동자의 [[현대 입실론엔진|입실론 엔진]]은 경차, 소형차용 3기통/4기통 엔진이다.
== 외부 링크 ==
* [[위키백과:엡실론]]
* {{나무위키|엡실론}}
* [[Wikipedia:Epsilon]]


[[분류:그리스 문자]]
[[분류:그리스 문자]]

2021년 6월 19일 (토) 16:32 기준 최신판

그리스 알파벳 RomanA-01.svg
Α Β Γ Δ Ε Ζ Η Θ Ι Κ Λ Μ Ν Ξ Ο Π Ρ Σ Τ Υ Φ Χ Ψ Ω

Ε, ε, ϵ

엡실론(εψσιλον, epsilon)는 그리스 문자의 다섯 번째 글자이다.

음가[편집 | 원본 편집]

영어의 E 발음과 유사하다. 단 η(에타)와는 달리 단음만을 의미한다.

용도[편집 | 원본 편집]

그리스어의 다섯 번째 문자로 "다섯 번째"의 의미로 사용된다.

수학 및 통계[편집 | 원본 편집]

  • 해석학 등에서 임의의 작은 양수를 표현할 때 사용한다.
  • 순열과 관계되어 있는 기호 레비-치비타 기호(Levi-Civita Symbol)εijk를 나타낼 때 사용한다. 레비-치비타 기호는 아래와 같이 정의된다.
    • [math]\displaystyle{ \epsilon_{ijk} = \begin{cases} {1} & {(i,j,k)=(1,2,3) ~ or ~ (2,3,1) ~ or ~ (3,1,2) }\\ {-1} & {(i,j,k)=(1,3,2) ~ or ~ (2,1,3) ~ or ~ (3,2,1)} \\ 0 & {\text{otherwise}} \end{cases} }[/math]

과학[편집 | 원본 편집]

  • 물리학에서 ε는 페러데이의 법칙의 유도기전력을 나타낸다. 즉, [math]\displaystyle{ \mathcal{E} = - \frac {d \Phi_B} {dt} }[/math]
  • 물리학에서 ε는 전기용량의 유전율 상수를 나타낸다. 진공의 유전율의 값은 [math]\displaystyle{ \varepsilon_0 = \frac{1}{c^2\mu_0} = 8.8541878176\ldots \times 10^{-12}\mbox{ F/m} }[/math]로 정의된다.

그 외[편집 | 원본 편집]

  • 엡실론은 일본의 우주 발사체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