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노래자랑: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봇)(이슈트래커:T67)
편집 요약 없음
 
(사용자 6명의 중간 판 20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분류:예능 프로그램]]
{{다른 뜻|전국노래자랑 (영화)||이 프로그램을 모티브로 한 영화}}
{{정보상자/방송
{{영상물 정보
|로고=  
|영상물이름  = 전국 노래자랑
|제목= 전국노래자랑
|원어이름    =  
|원제=  
|배경색      =  
|시청등급=  
|글자색      =  
|그림=  
|그림         =  
|그림 설명=  
|그림설명    =  
|장르= [[음악]] · 경연
|배급사      = [[KBS 1TV]]
|방송 시간= 매주 [[일요일]] 낮 12시 10분 ~ 오후 1시 20분
|방송채널    =
|방송 분량= 1시간 10분
|제작사      =
|방송 기간= [[1980년]] [[11월 9일]] ~ '''현재'''
|감독        =  
|방송 횟수= 1759회 ([[2015년]] [[7월 5일]] 기준)
|제작        =  
|방송 국가= [[대한민국]]
|작가        =  
|방송 채널= [[KBS 1TV|1TV]](지상파)
|출연        = 이호석 (진행), 임수민 (진행), [[신재동]] (악단장)
|추가 편성= [[KBS N 라이프]] ,[[KBS W]] , [[KBS 조이]]([[대한민국의 케이블TV 방송|유료방송]])<br/>[[KBS 월드]](해외)
|해설        =
|연출= 채형석, 박기현 , 이경윤
|장르        = [[음악]] · 경연
|출연자= 진행 : [[송해]]<ref>상·하반기 총결산 특집은 [[여자]] MC 1명과 공동으로 진행한다.</ref>, 악단장 : [[신재동]]
|나라        = [[대한민국]]
|언어        = [[한국어]]
|연작제목    =
|개봉일      =
|방영일      = [[1980년]] [[11월 9일]] ~
|방영시각    = 매주 [[일요일]] 오후 12시 10분
|시즌수      =
|화수        = 1831회 ( 2016년 12월 25일 기준)
|시간        = 70분
|시리즈      =
|이전작품    =
|다음작품    =
|웹사이트    =
|캐릭터원안  =
|캐릭터디자인 =
|연출         = 채형석, 박기현 , 이경윤
|미술        =
|촬영감독    =
|음악        =
|여는곡      =
|닫는곡      =
|영상포맷    =
|음성포맷    =
|번역배급사  =
|번역방송채널 =
|번역개봉일  =
|번역방영일  =
|번역방영시각 =
|비고        =  
}}
}}


'''전국 노래자랑'''은 [[KBS]] 1채널에서 방영하는 프로그램으로 현재 무려 30년 동안 진행중인 장수 예능 프로그램이다. {{--|[[1박 2일]],[[런닝맨]] 등의 예능도 전국노래자랑 앞에선 어린애다.}} 현재 MC는 [[송해]]이며 20여년 동안 MC직을 하고 있다.
'''전국 노래자랑'''은 [[KBS]] 1채널에서 방영하는 프로그램으로 현재 무려 30년 동안 진행중인 장수 예능 프로그램이다. {{--|[[1박 2일 (KBS)|1박 2일]],[[런닝맨]] 등의 예능도 전국노래자랑 앞에선 어린애다.}} 현재 MC는 [[송해]]이며 20여년 동안 MC직을 하고 있다.
 
존재자체가 [[전설은 아니고 레전드]]인 프로그램이다. 1980년 11월 9일 첫 방송한 이후 2015년 7월 12일 현재 1700회 이상에 34년째 방송하고 있는 프로그램이다. 그리고 프로그램의 상징인 [[송해]]의 경우 1988년 5월-1994년 4월까지 5대 MC를 맡고 이후 1994년 10월부터 7대 MC를 맡아 지금까지 진행 중에 있다. 하지만 [[2022년]] 6월 8일 송해가 세상을 떠나면서 메인 MC 자리가 공석이 되었다.<ref>후계자로서 허참이 유력했는데 허참은 [[2022년]]에 송해보다 조금 더 일찍 세상을 떠나면서 없던 일이 되었다.</ref> 10월 16일 방송분부터는 김신영이 진행을 맡는다.
 
진행 방식은 매주마다 각 [[기초자치단체]]별로 예심을 통과한 도전자들이 노래 실력을 겨루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수상은 인기상/장려상/우수상/최우수상이 있으며, 입선시 일정량의 농산물상품권을 선물로 준다. 이와는 별도로, 설날과 추석 등 명절 기간에 설날/추석장사 결정전과 연계하여 전국노래자랑을 특집으로 치르기도 하고, 매년 상/하반기마다 결산을 통해 최우수상을 받은 수상자들이 KBS 홀에서 그 기간 동안 가장 노래 잘 부르는 일종의 왕중왕전을 치르기도 한다. 매년 6월 마지막주 일요일에 상반기 결산, 12월 마지막주 일요일에 하반기 결산 특집 방송을 하는 방식인데, 하반기 결산 특집은 하반기 결산 우승자를 뽑을 뿐만 아니라, 상반기 결산 우승자와 하반기 결산 우승자가 대결을 펼쳐 그 해 우승자를 결정하게 된다. 하지만, [[2014년]] 이후로는 1년 방영분들을 다 뭉뚱그려서 연말결선으로만 진행하고 있다.
 
이 프로그램의 대표적인 상징을 꼽자면 시작 시의 시그널을 들 수 있다. '무한' 다음에 '도전!' 혹은 '1박' 다음에 '2일!'이라는 말은 모르는 사람이 있을지 몰라도 '전국~' 다음에 '노래자랑!'이라는 말은 대부분의 [[한국인]]들이 알 수 있는 단골 레퍼토리이다. 거기에 송해의 프로그램 시작시의 고정 멘트까지 더해서 말이다.


존재자체가 [[전설은 아니고 레전드]]인 프로그램이다. 1980년 11월 9일 첫 방송한 이후 2015년 7월 12일 현재 1700회 이상에 34년째 방송하고 있는 프로그램이다. 그리고 프로그램의 상징인 [[송해]]의 경우 1988년 5월-1994년 4월까지 5대 MC를 맡고 이후 1994년 10월부터 7대 MC를 맡아 지금까지 진행 중에 있다.
초기에는 [[NHK]]의 노도지망 [[표절]] 아니냐는 의혹이 일었지만, 한국인 특유의 [[정]](情) 문화가 결합된 탓인지 조금만 노래를 못 불러도 "땡!"으로 불합격처리시켜버리는 노도지망과는 달리, 순수하게 노래 실력을 겨루는 프로그램이 아닌 지역 주민들이 함께 즐기는 프로그램으로 변화하였다. 사실 순수 노래 실력을 가지고 경쟁하는 프로그램은 [[슈퍼스타K]] 같은 오디션 프로그램이 지분을 차지하고 있다 보니 그런 것도 있다.


이 프로그램이 [[전설은 아니고 레전드]]인 이유는 이 프로그램이 34년을 지속해온 이유도 있지만, 동시간대 시청률 1위를 한번도 빼앗긴 적이 없다는 것이다. <s>일요일 낮 12시 10분에 하는데 누가 이기겠니?</s> 예전에는 시청률 30~40%까지 나갔지만 지금은 힘이 빠져 12.5%(2015년 7월 12일 확인결과)로 하락했지만 음악프로그램 시청률 평균이 2%대라는 걸 생각한다면 그야말로 최강자이다.  
이 프로그램이 [[전설은 아니고 레전드]]인 이유는 이 프로그램이 34년을 지속해온 이유도 있지만, 동시간대 시청률 1위를 한번도 빼앗긴 적이 없다는 것이다. <s>일요일 낮 12시 10분에 하는데 누가 이기겠니?</s> 예전에는 시청률 30~40%까지 나갔지만 지금은 [[인터넷]] 등 환경의 변화로 인해 12.5%(2015년 7월 12일 확인결과)로 하락했지만 음악프로그램 시청률 평균이 2%대라는 걸 생각한다면 그야말로 최강자이다.


'''전국 노래자랑'''의 장수 요인에 대해서는 먼저 시청자들의 참여를 이끌어 냈다는 점, 그리고 각 지역의 농촌과 농민들의 지역에 찾아간다는 점, 또한 50~60대 이상 어르신들이 볼 프로그램이 적은 점 그리고 일요일 낮이라는 시간배정으로 황금시간대를 비켜간 점을 들 수 있다.
'''전국 노래자랑'''의 장수 요인에 대해서는 먼저 시청자들의 참여를 이끌어 냈다는 점, 그리고 각 지역의 농촌과 농민들의 지역에 찾아간다는 점, 또한 50~60대 이상 어르신들이 볼 프로그램이 적은 점 그리고 일요일 낮이라는 시간배정으로 황금시간대를 비켜간 점을 들 수 있다.


== 여담 ==
* 전국 노래자랑의 시그널에 [[포켓몬스터]]의 영상물을 합성한 작품이 큰 호응을 얻기도 했다. 중간에 아인트호크마을이라는 자막이 뜨기까지 하는 등에서 전혀 어색하지 않고 자연스러운 흐름을 보여준다..[https://www.youtube.com/watch?v=-YoNkwWVdnA 보러가기]
{{각주}}
{{각주}}
[[분류:예능 프로그램]]
[[분류:KBS의 텔레비전 프로그램]]

2022년 9월 20일 (화) 14:00 기준 최신판

전국 노래자랑
작품 정보
배급사 KBS 1TV
출연 이호석 (진행), 임수민 (진행), 신재동 (악단장)
장르 음악 · 경연
나라 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방영일 1980년 11월 9일 ~
방영시각 매주 일요일 오후 12시 10분
화수 1831회 ( 2016년 12월 25일 기준)
시간 70분
기타 정보
연출 채형석, 박기현 , 이경윤

전국 노래자랑KBS 1채널에서 방영하는 프로그램으로 현재 무려 30년 동안 진행중인 장수 예능 프로그램이다. 1박 2일,런닝맨 등의 예능도 전국노래자랑 앞에선 어린애다. 현재 MC는 송해이며 20여년 동안 MC직을 하고 있다.

존재자체가 전설은 아니고 레전드인 프로그램이다. 1980년 11월 9일 첫 방송한 이후 2015년 7월 12일 현재 1700회 이상에 34년째 방송하고 있는 프로그램이다. 그리고 프로그램의 상징인 송해의 경우 1988년 5월-1994년 4월까지 5대 MC를 맡고 이후 1994년 10월부터 7대 MC를 맡아 지금까지 진행 중에 있다. 하지만 2022년 6월 8일 송해가 세상을 떠나면서 메인 MC 자리가 공석이 되었다.[1] 10월 16일 방송분부터는 김신영이 진행을 맡는다.

진행 방식은 매주마다 각 기초자치단체별로 예심을 통과한 도전자들이 노래 실력을 겨루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수상은 인기상/장려상/우수상/최우수상이 있으며, 입선시 일정량의 농산물상품권을 선물로 준다. 이와는 별도로, 설날과 추석 등 명절 기간에 설날/추석장사 결정전과 연계하여 전국노래자랑을 특집으로 치르기도 하고, 매년 상/하반기마다 결산을 통해 최우수상을 받은 수상자들이 KBS 홀에서 그 기간 동안 가장 노래 잘 부르는 일종의 왕중왕전을 치르기도 한다. 매년 6월 마지막주 일요일에 상반기 결산, 12월 마지막주 일요일에 하반기 결산 특집 방송을 하는 방식인데, 하반기 결산 특집은 하반기 결산 우승자를 뽑을 뿐만 아니라, 상반기 결산 우승자와 하반기 결산 우승자가 대결을 펼쳐 그 해 우승자를 결정하게 된다. 하지만, 2014년 이후로는 1년 방영분들을 다 뭉뚱그려서 연말결선으로만 진행하고 있다.

이 프로그램의 대표적인 상징을 꼽자면 시작 시의 시그널을 들 수 있다. '무한' 다음에 '도전!' 혹은 '1박' 다음에 '2일!'이라는 말은 모르는 사람이 있을지 몰라도 '전국~' 다음에 '노래자랑!'이라는 말은 대부분의 한국인들이 알 수 있는 단골 레퍼토리이다. 거기에 송해의 프로그램 시작시의 고정 멘트까지 더해서 말이다.

초기에는 NHK의 노도지망 표절 아니냐는 의혹이 일었지만, 한국인 특유의 (情) 문화가 결합된 탓인지 조금만 노래를 못 불러도 "땡!"으로 불합격처리시켜버리는 노도지망과는 달리, 순수하게 노래 실력을 겨루는 프로그램이 아닌 지역 주민들이 함께 즐기는 프로그램으로 변화하였다. 사실 순수 노래 실력을 가지고 경쟁하는 프로그램은 슈퍼스타K 같은 오디션 프로그램이 지분을 차지하고 있다 보니 그런 것도 있다.

이 프로그램이 전설은 아니고 레전드인 이유는 이 프로그램이 34년을 지속해온 이유도 있지만, 동시간대 시청률 1위를 한번도 빼앗긴 적이 없다는 것이다. 일요일 낮 12시 10분에 하는데 누가 이기겠니? 예전에는 시청률 30~40%까지 나갔지만 지금은 인터넷 등 환경의 변화로 인해 12.5%(2015년 7월 12일 확인결과)로 하락했지만 음악프로그램 시청률 평균이 2%대라는 걸 생각한다면 그야말로 최강자이다.

전국 노래자랑의 장수 요인에 대해서는 먼저 시청자들의 참여를 이끌어 냈다는 점, 그리고 각 지역의 농촌과 농민들의 지역에 찾아간다는 점, 또한 50~60대 이상 어르신들이 볼 프로그램이 적은 점 그리고 일요일 낮이라는 시간배정으로 황금시간대를 비켜간 점을 들 수 있다.

여담[편집 | 원본 편집]

  • 전국 노래자랑의 시그널에 포켓몬스터의 영상물을 합성한 작품이 큰 호응을 얻기도 했다. 중간에 아인트호크마을이라는 자막이 뜨기까지 하는 등에서 전혀 어색하지 않고 자연스러운 흐름을 보여준다..보러가기

각주

  1. 후계자로서 허참이 유력했는데 허참은 2022년에 송해보다 조금 더 일찍 세상을 떠나면서 없던 일이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