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리즈:리브레 한자사전/事: 두 판 사이의 차이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6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4번째 줄: 4번째 줄:
|간체자 =
|간체자 =
|정체자 =
|정체자 =
|뜻 = 일
|뜻 소리 = 일 [사ː]
|소리 = 사
|획수 = 8
|획수 = 8
|신자체 획수 =
|신자체 획수 =
22번째 줄: 21번째 줄:
|급수=준7급
|급수=준7급
}}</onlyinclude>
}}</onlyinclude>
* {{llang|zh-yue|si6}}
{|
* {{llang|zh-min-nan|sū (문독) / tāi (백독)}}
|{{광둥어|si6}}
* {{llang|zh-hakka|sṳ, se}}
|-
* {{베트남어|sự}}
|{{민난어|sū (문독) / tāi (백독)}}
<!-- 설명 적는 위치  트리플 클릭하고 입력-->
|-
|{{하카어|sṳ, se}}
|-
|{{베트남어|sự}}
|}
 
== 한자 유래/서체 ==
== 한자 유래/서체 ==
{{한자 서체}}
{{한자 서체
|事-oracle.svg|갑골문
|事-bronze.svg|금문
|事-bigseal.svg|대전
|事-seal.svg|전서
|事-명조.svg|명조
|事-칸테이류.svg|칸테이류
}}
<!-- 한자 유래와 서체에 대한 설명은 이곳에 -->
<!-- 한자 유래와 서체에 대한 설명은 이곳에 -->



2024년 5월 10일 (금) 02:45 기준 최신판

일 [사ː]

정자[韓/臺]
신자체 [日]
간체자 [中]




CJK Unified Ideographs
U+4E8B
부 8획
뜻과 소리 일 [사ː]
어문회 급수준7급
쓰는 순서
事-order.gif事-bw.png
CJK Unified Ideographs
U+4E8B
부 8획
뜻과 소리 일 [사ː]
훈독(訓読)こと, つか-える
음독(音読)
오음(呉音)
한음(漢音)
당음(唐音)
쓰는 순서
事-order.gif事-bw.png
CJK Unified Ideographs
U+4E8B
부 8획
뜻과 소리 일 [사ː]
병음shì
쓰는 순서
事-order.gif事-bw.png
광둥어: si6
민난어: sū (문독) / tāi (백독)
하카어: sṳ, se
베트남어: sự

한자 유래/서체[편집 | 원본 편집]

事-oracle.svg
갑골문
事-bronze.svg
금문
事-bigseal.svg
대전
事-seal.svg
전서
事-명조.svg
명조
事-칸테이류.svg
칸테이류



용례[편집 | 원본 편집]

  • 민사(民事)
  • 사건(事件)
  • 사고(事故)
  • 사례(事例)
  • 사무(事務)
  • 참사(慘事)
  • 행사(行事)
  • 형사(刑事)

한자성어[편집 | 원본 편집]

  • 사대주의(事大主義): 자주적이거나 독립적이지 못하고, 근처 힘이 센 세력에 빌붙어 사는 형태나 그러한 생존 방식 및 경향.
  • 사리명백(事理明白): 일과 이치(도리)가 확실함. 이견이 나오기 어렵도록 말의 표현이나 일의 수순 등이 눈부시게 명확함.
  • 사리분별(事理分別): 일의 이치(도리)를 구분함. 사건이 나타날 때 그 근원이라던가 해결방법 등을 떠올릴 수 있는 분석 능력을 가리킴.
  • 사사건건(事事件件): =매사(每事)[1], 당사자로 해당되는 (또는 해당될 수 있는) 모든 일이나 때에 거의 빠짐없이 참여/참관/참견함.
  • 사상마련(事上磨鍊): 일하면서 능력을 갈고 닦음. 견습과 유사한 의미지만 보다 자주적이며, 이른바 인턴(Internship)의 원래 의미.
  • 사실무근(事實無根): 어떠한 사실에 근거가 없다. 실제 있는 일이라고 떠들어도 근거가 없어서 믿을 수 없다는 말.
  • 사필귀정(事必歸正): 무릇 어떠한 일이든 반드시 올바르게 (또는 올바른 길로) 돌아간다는 의미.
  1. 단, 중립적인 '매사'와는 달리, '사사건건'은 다소 부정적으로 쓰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