닭볶음탕: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사용자 3명의 중간 판 7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파일:닭볶음탕.jpg|섬네일]]
[[파일:Korean.food-Dakbokemtang-01.jpg|섬네일]]
'''닭볶음탕'''은 [[조림]]에 가까운 한국의 요리로 토막 낸 [[닭고기]]를 [[파]], [[당근]], [[고추장]] 등의 재료와 함께 볶거나 국물을 남기고 졸여 만드는 음식이다. '''닭도리탕'''으로도 불리며 닭도리탕의 '''도리'''가 일본어에서 온 어원이라는 주장이 제기되어 [[국립국어원]]에서는 닭볶음탕이라는 표기를 권장하고 있다.
'''닭볶음탕'''은 [[조림]]에 가까운 한국의 요리로 토막 낸 [[닭고기]]를 [[파]], [[당근]], [[고추장]] 등의 재료와 함께 볶거나 국물을 남기고 졸여 만드는 음식이다. '''닭도리탕'''으로도 불리며 [[국립국어원]]은 닭도리탕의 '''도리'''가 일본어에서 온 어원이라는 근거<ref>사실인 것인지는 논란이 많다. '도리'조차 한국어라는 설도 나오고 있다</ref>로 닭볶음탕이라는 표기를 권장하고 있다.


==조리법==
==조리법==
재료: 닭(닭볶음탕용으로 파는것), 고추장 2큰술, 감자, 소금, 후추, 고춧가루 2큰술, 간장 1큰술, 다진마늘 1큰술, 설탕1큰술, 당근, 양파, 당면  
재료: 닭(닭볶음탕용으로 파는것), 고추장 2큰술, 감자, 소금, 후추, 고춧가루 2큰술, 간장 1큰술, 다진마늘 1큰술, 설탕1큰술, 당근, 양파, 당면, 국물용 멸치
1. 닭볶음탕용으로 손질된 닭은 소금과 후추로 20분간 밑간해 둔다
 
2. 밑간해 둔 닭은 20분간 끓여준다.<ref>센불에 끓여야 하며 이 과정을 생략할 경우 닭이 잘 익지 않는 참사가 벌어진다. 실제로도 1박2일에서도 요리 대결을 하던 중 ㅈㅈㅇ이 이 과정을 생략해버려서 닭이 제대로 익지 않은 바람에 참신한 아이디어에도 불구하고 야외취침에 당첨되었던 에피소드가 있다.</ref>
# 닭볶음탕용으로 손질된 닭은 소금과 후추로 20분간 밑간해 둔다
3. 양파를 다져준 후 끓여준다.  
# 밑간해 둔 닭은 20분간 끓여준다.<ref>센불에 끓여야 하며 이 과정을 생략할 경우 닭이 잘 익지 않는 참사가 벌어진다. 실제로도 [[1박2일]]에서도 요리 대결을 하던 중 ㅈㅈㅇ이 이 과정을 생략해버려서 닭이 제대로 익지 않은 바람에 참신한 아이디어에도 불구하고 야외취침에 당첨되었던 에피소드가 있다.</ref>
4. (3)에 닭고기를 넣은 후 고추장 2큰술, 고추장 2큰술, 간장 1큰술, 설탕 1큰술, 다진 마늘 1큰술을 넣고 끓인다.
#양파를 다져준 후 끓여준다.
5. 당근-감자 순으로 채소를 넣어준다.
#3에서 닭고기를 넣은 후 고추장 2큰술, 고추장 2큰술, 간장 1큰술, 설탕 1큰술, 다진 마늘 1큰술을 넣고 끓인다.
6. 감자가 다 익었다 싶으면 물에 불린 당면을 넣어준다.
#당근-감자 순으로 채소를 넣어준다.
#감자가 다 익었다 싶으면 물에 불린 당면을 넣어준다.
 
{{각주}}
{{각주}}
[[분류:닭 요리]]
[[분류:닭 요리]]
[[분류:한국 요리]]
[[분류:한국 요리]]
[[분류:국]]
[[분류:국]]

2023년 9월 13일 (수) 00:37 기준 최신판

Korean.food-Dakbokemtang-01.jpg

닭볶음탕조림에 가까운 한국의 요리로 토막 낸 닭고기, 당근, 고추장 등의 재료와 함께 볶거나 국물을 남기고 졸여 만드는 음식이다. 닭도리탕으로도 불리며 국립국어원은 닭도리탕의 도리가 일본어에서 온 어원이라는 근거[1]로 닭볶음탕이라는 표기를 권장하고 있다.

조리법[편집 | 원본 편집]

재료: 닭(닭볶음탕용으로 파는것), 고추장 2큰술, 감자, 소금, 후추, 고춧가루 2큰술, 간장 1큰술, 다진마늘 1큰술, 설탕1큰술, 당근, 양파, 당면, 국물용 멸치

  1. 닭볶음탕용으로 손질된 닭은 소금과 후추로 20분간 밑간해 둔다
  2. 밑간해 둔 닭은 20분간 끓여준다.[2]
  3. 양파를 다져준 후 끓여준다.
  4. 3에서 닭고기를 넣은 후 고추장 2큰술, 고추장 2큰술, 간장 1큰술, 설탕 1큰술, 다진 마늘 1큰술을 넣고 끓인다.
  5. 당근-감자 순으로 채소를 넣어준다.
  6. 감자가 다 익었다 싶으면 물에 불린 당면을 넣어준다.

각주

  1. 사실인 것인지는 논란이 많다. '도리'조차 한국어라는 설도 나오고 있다
  2. 센불에 끓여야 하며 이 과정을 생략할 경우 닭이 잘 익지 않는 참사가 벌어진다. 실제로도 1박2일에서도 요리 대결을 하던 중 ㅈㅈㅇ이 이 과정을 생략해버려서 닭이 제대로 익지 않은 바람에 참신한 아이디어에도 불구하고 야외취침에 당첨되었던 에피소드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