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녀막: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성적임}} '''처녀막'''은 의 외부 구멍을 둘러싸거나 부분적으로 덮고 있는 이다. 외음부(외부생식기)의 구성물 중 하나이다. 어...)
 
잔글 (불필요한 공백 제거)
 
(사용자 9명의 중간 판 16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성적임}}
'''처녀막'''은 [[질]]의 외부 구멍을 둘러싸거나 부분적으로 덮고 있는 [[막]]이다. 외음부(외부생식기)의 구성물 중 하나이다. 어린이에서 처녀막은 [[초승달]] 모양이 가장 흔하지만, 다양한 모양이 가능하다.
'''처녀막'''은 [[질]]의 외부 구멍을 둘러싸거나 부분적으로 덮고 있는 [[막]]이다. 외음부(외부생식기)의 구성물 중 하나이다. 어린이에서 처녀막은 [[초승달]] 모양이 가장 흔하지만, 다양한 모양이 가능하다.  


탄력이 있는 처녀막은 [[성교]] 등으로 인해 늘어나더라도 거의 원래의 상태로 회복된다. 그러나 탄력을 잃은 처녀막은 손상되거나 반복된 관통에 의해 완전히 없어질 수 있다. 또한, 처녀막은 질병, 부상, 의학적 검사, [[자위]], 운동 등에 의해 찢어질 수 있다. 따라서 처녀막이 손상되었다고 해서 반드시 처녀가 아니라고는 할 수 없으며, 반대로 처녀막이 온전하더라도 처녀가 아닐 수도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처녀막의 손상 여부는 고대로부터 남성이 여성을 선택할 때 중요한 기준 중 하나가 되어 왔다. 이는 여성이 다른 남성의 아이를 [[임신]]한 뒤 (호구 같은) 한 남성에게 아이를 떠넘기는 행동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남성이 처녀를 선호하는 현상은 자연선택에 의한 [[진화]]의 결과이다.  
==상세==
탄력이 있는 처녀막은 [[성교]] 등으로 인해 늘어나더라도 거의 원래의 상태로 회복된다. 그러나 탄력을 잃은 처녀막은 손상되거나 반복된 관통에 의해 완전히 없어질 수 있다. 또한, 처녀막은 질병, 부상, 의학적 검사, [[자위행위]], 운동 등에 의해 찢어질 수 있다. 따라서 처녀막이 손상되었다고 해서 반드시 처녀가 아니라고는 할 수 없으며, 반대로 처녀막이 온전하더라도 처녀가 아닐 수도 있다.


처녀막이 질 구멍을 완전하게 막고 있는 상태는 [[처녀막 폐쇄증]]이라는 질병에 해당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처녀막의 손상 여부는 처녀선호사상이 만연시되던 시대로부터 남성이 여성을 선택할 때 중요한 기준 중 하나가 되어왔는데 이에 대해선 자연선택에 의한 [[진화]]의 결과라고 보는 측도 있다.
 
처녀막이 질 구멍을 완전하게 막고 있는 상태는 [[처녀막 폐쇄증]]이라는 질병에 해당한다. 분비물 배출이 원활치 못해 감염증으로 발전할 수 있으므로 산부인과 방문을 권장한다<ref>[http://www.snuh.org/health/nMedInfo/nView.do?category=DIS&medid=AA000475 처녀막 폐쇄증], 서울대학교병원</ref>.


== 같이 보기 ==
== 같이 보기 ==
* [[처녀성]]
* [[처녀성]]


{{생식기관}}
{{각주}}
 
{{생식기관}}{{성적임}}
[[분류:여성]]
[[분류:생식계통]]
[[분류:생식계통]]

2021년 6월 16일 (수) 00:30 기준 최신판

처녀막의 외부 구멍을 둘러싸거나 부분적으로 덮고 있는 이다. 외음부(외부생식기)의 구성물 중 하나이다. 어린이에서 처녀막은 초승달 모양이 가장 흔하지만, 다양한 모양이 가능하다.

상세[편집 | 원본 편집]

탄력이 있는 처녀막은 성교 등으로 인해 늘어나더라도 거의 원래의 상태로 회복된다. 그러나 탄력을 잃은 처녀막은 손상되거나 반복된 관통에 의해 완전히 없어질 수 있다. 또한, 처녀막은 질병, 부상, 의학적 검사, 자위행위, 운동 등에 의해 찢어질 수 있다. 따라서 처녀막이 손상되었다고 해서 반드시 처녀가 아니라고는 할 수 없으며, 반대로 처녀막이 온전하더라도 처녀가 아닐 수도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처녀막의 손상 여부는 처녀선호사상이 만연시되던 시대로부터 남성이 여성을 선택할 때 중요한 기준 중 하나가 되어왔는데 이에 대해선 자연선택에 의한 진화의 결과라고 보는 측도 있다.

처녀막이 질 구멍을 완전하게 막고 있는 상태는 처녀막 폐쇄증이라는 질병에 해당한다. 분비물 배출이 원활치 못해 감염증으로 발전할 수 있으므로 산부인과 방문을 권장한다[1].

같이 보기[편집 | 원본 편집]

각주

  1. 처녀막 폐쇄증, 서울대학교병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