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동·증심사입구역: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새 철도역 정보
|배경색 = {{한국 철도 노선색2|GM}}
|글자색 = white
|상단 = [[File:학동·증심사입구역 승강장 VR (녹동행 역방향).JPG]]
|역명 = 광주광역시도시철도공사 학동·증심사입구역
|그림 =
|역번호 = {{역번호/한국|102|GM|1}}
|역코드 =
|주소 = [[광주광역시]] [[동구 (광주)|동구]] 남문로 166 (학동)
|개업일 = {{날짜/출력|2004-4-28}}
|폐지일 =
|관할 = [[광주광역시도시철도공사]]
|승강장 = 2면 2선
|운임구역 =
|이용객 =
|노선 = [[광주 도시철도 1호선]] <small>3.0 km</small>
}}
<big>鶴洞·證心寺入口驛 / Hakdong·Jeungsimsa Station</big>
<big>鶴洞·證心寺入口驛 / Hakdong·Jeungsimsa Station</big>
{{철도역 정보/시작
|배경색 = {{철도 노선색|G|1}}
|글자색 = white
|그림 =
|그림설명 =
|그림2 =
|그림설명2 =
|동영상 =
|동영상설명 =
|첫틀 =
|관할 = [[광주 도시철도공사]]
|개업일 = 2004년 4월 28일
|폐지일 =
|종별 = 일반역
|등급 =
|소재지 = 남문로 지하 700(학동)
}}
{{철도역 정보/일반
|노선 = 광주 도시철도 1호선
|역명 = 학동 · 증심사입구
|역번호 = 102
|배경색 = {{철도 노선색|G|1}}
|글자색 = white
|전방면 = [[녹동역|녹동]]
|전역 = [[소태역|소 태]]
|전거리 = 1.1
|전역번호 = 101
|후방면 = [[평동역|평동]]
|후역 = [[남광주역|남광주]]
|후거리 = 0.9
|후역번호 = 103
}}
{{철도역 정보/끝
|마지막틀= }}
== 개요 ==
== 개요 ==
[[File:학동·증심사입구역 승강장 VR (녹동행 역방향).JPG]]
* '''학동·증심사입구역 녹동/소태방면 승강장 역방향 전경'''


'''학동·증심사입구역'''은 [[광주 도시철도 1호선]]의 역이다. 이름의 유래는 역이 위치한 학동(鶴洞)과 [[광주광역시]]의 유명한 사찰 [[증심사]].
'''학동·증심사입구역'''은 [[광주 도시철도 1호선]]의 역이다. 이름의 유래는 역이 위치한 학동(鶴洞)과 [[광주광역시]]의 유명한 사찰 [[증심사]].

2019년 11월 13일 (수) 20:24 판

주소 광주광역시 동구 남문로 166 (학동)
노선 광주 도시철도 1호선 3.0 km
관할 광주광역시도시철도공사
개업일 틀:날짜/출력
승강장 2면 2선

鶴洞·證心寺入口驛 / Hakdong·Jeungsimsa Station

개요

학동·증심사입구역광주 도시철도 1호선의 역이다. 이름의 유래는 역이 위치한 학동(鶴洞)과 광주광역시의 유명한 사찰 증심사.

역명 유래

학동은 1947년 일본식 명칭인 '학강정'을 고쳐 부른 이름으로 학강이라 한 것은 이곳 지형이 '무등산의 줄기가 학(鶴)처럼 내려와 앉은 구릉지 형국'이라고 한 것에서 비롯되었다.『여지도서』와『호구총수』에 따르면 광주목 부동방면에 속했고 당시 이곳에는 호연 마을이 있었다.

개통 초기 무등산에 있는 증심사라는 사찰 이름을 따 증심사입구역이라 했으나 역에서 사찰까지 거리가 무려 2.5㎞였기 때문에 역명 논란에 휩싸이곤 했다. 결국 2006년 역이 위치한 학동의 이름을 추가하여 지금의 학동·증심사 입구역이라는 이름으로 바꾸었다.

역세권

역 남쪽에 학2마을 아파트단지, 삼익세라믹 아파트단지가 있고 주변에 작은 맨션단지와 아파트 소단지가 있다. 하지만 주변 건물들 절반 이상이 주택가와 저밀도 상업지구라 많은 수요를 이끌어내기에 부족한 점이 많다. 대규모 아파트단지가 좀 있다는 것만 제외하면 소태역 역세권과 별 차이없는 수준.

문화 역사

  • 환경 테마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