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정역: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7번째 줄: 7번째 줄:
|역번호 = {{역번호/한국|K327|KR|K3}}
|역번호 = {{역번호/한국|K327|KR|K3}}
|역코드 = 394
|역코드 = 394
|주소 = [[경기도]] [[파주시]] [[소리천로]] 10<br>(舊 [[야당동]] 1088)
|주소 = [[경기도]] [[파주시]] [[운정역길]] 368<br>(舊 [[야당동]] 299-4))
|개업일 = {{날짜/출력|2015-9-4}}
|개업일 = {{날짜/출력|1956-5-11}}
|폐지일 =
|폐지일 =
|관할 = [[한국철도공사]] (KORAIL)<br /> 수도권서부본부 [[도라산역|도라산관리역]]
|관할 = [[한국철도공사]] (KORAIL)<br /> 수도권서부본부 [[도라산역|도라산관리역]]
33번째 줄: 33번째 줄:


== 특징 ==
== 특징 ==
철길을 경계로 아파트 단지([[운정신도시]])와 시골마을이 나뉜다.
철길을 경계로 아파트 단지([[운정신도시]])와 시골마을이 나뉜다.운정시외버스정류장이 길 건너 있다.
 
운정시외버스정류장이 길 건너 있다.
 


2016년 이후 성장이 정체된 다수의 경의선 전철역과는 다르게 승하차량이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다. 심지어 [[야당역]] 개통 이후 2016년에 승하차량이 한 번 크게 폭락하였지만, 성장세를 이어나가 2018년에 야당역 개통 이전의 승하차량을 회복하였다. 이렇듯 운정신도시 입주민 증가에 힘입어 이용객 수가 증가하고 있지만, 운정신도시 전체 인구에 비하면 분담률은 낮은 편이다. 역이 운정신도시 동쪽 끝에 치우쳐저 있어 운정신도시 서쪽과 교하지구에서 접근이 힘들다는 점이 매우 크며, 따라서 서울도심방면 광역버스에 수요를 내주고 있다. 경의중앙선이 노선 자체의 도심방면 접근성은 매우 뛰어나지만 이를 상쇄할만한 고질적인 배차간격 문제와 지연 문제를 해결하지 못한다면 분담률 향상에는 문제가 있을 수 밖에 없다. 또한 GTX-A선 운정역은 이와 다르게 운정 신도시 정중앙에 있어 장점이 있으므로 향후 개통 시 경의선 운정역이 타격을 입을 가능성이 있다.
{{각주}}
{{각주}}
{{퍼온문서|||일부}}
{{퍼온문서|||일부}}

2019년 11월 5일 (화) 18:28 판

주소 경기도 파주시 운정역길 368
(舊 야당동 299-4))
노선 경의선 21.5km
관할 한국철도공사 (KORAIL)
수도권서부본부 도라산관리역
개업일 틀:날짜/출력
승강장 4면 4선

雲井驛 / Unjeong Station / 云井 / ウンジョン

개요

경기도 파주시 운정역길 368(舊 야당동 299-4)에 위치한 지상역.

역사

1956년 5월 11일 : 무배치간이역으로 영업 개시
1960년 12월 11일 : 운전간이역으로 승격
1973년 1월 1일 : 무배치간이역으로 격하
1988년 1월 1일 : 소화물 취급 중지
2009년 3월 1일 : 임시역사 준공 및 신역사 착공
2009년 3월 10일 : 구 역사 철거
2009년 7월 1일 : 수도권 전철 경의선 개통
2011년 9월 8일 : 기존 임시역사를 폐쇄하고 신역사로 이전
2012년 5월 1일 : 급행열차 정차 개시

특징

철길을 경계로 아파트 단지(운정신도시)와 시골마을이 나뉜다.운정시외버스정류장이 길 건너 있다.

2016년 이후 성장이 정체된 다수의 경의선 전철역과는 다르게 승하차량이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다. 심지어 야당역 개통 이후 2016년에 승하차량이 한 번 크게 폭락하였지만, 성장세를 이어나가 2018년에 야당역 개통 이전의 승하차량을 회복하였다. 이렇듯 운정신도시 입주민 증가에 힘입어 이용객 수가 증가하고 있지만, 운정신도시 전체 인구에 비하면 분담률은 낮은 편이다. 역이 운정신도시 동쪽 끝에 치우쳐저 있어 운정신도시 서쪽과 교하지구에서 접근이 힘들다는 점이 매우 크며, 따라서 서울도심방면 광역버스에 수요를 내주고 있다. 경의중앙선이 노선 자체의 도심방면 접근성은 매우 뛰어나지만 이를 상쇄할만한 고질적인 배차간격 문제와 지연 문제를 해결하지 못한다면 분담률 향상에는 문제가 있을 수 밖에 없다. 또한 GTX-A선 운정역은 이와 다르게 운정 신도시 정중앙에 있어 장점이 있으므로 향후 개통 시 경의선 운정역이 타격을 입을 가능성이 있다.

각주

매개변수가 누락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