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학: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4번째 줄: 4번째 줄:


==개요==
==개요==
[[정치]] 및 정치현상을 연구하는 학문. 데이비드 이스턴은 "정치는 가치의 권위적 배분(authoritative allocation)"이라고 정의했다.
[[정치]] 및 정치현상을 연구하는 학문. 데이비드 이스턴은 "정치는 가치의 권위적 배분(authoritative allocation)"<ref>경제학의 정의가 "희소가치의 효율적 배분을 연구하는 학문"이라고 한다면 정치학과 경제학의 관점이 어떻게 다른가 알 수있어 흥미롭다</ref>이라고 정의한 바 있다. 정치학은 합리적인 개인 혹은 집단이 가치관과 권위에 따라 어떻게 자원과 가치를 배분하는가를 연구하는 학문이라고 할 수 있겠다.


[[경제학]], [[사회학]] 등과 함께 사회과학의 대표주자로 그 역사는 서양에서는 고대 [[그리스]], 동양에서는 [[춘추전국시대]]로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유서깊은 학문이다. 정치학이라고하면 국회에서 치고박고 싸우는(...) 모습을 연상하기 쉬우나, 파고 들면 매우 깊이가 심오한 학문.
[[경제학]], [[사회학]] 등과 함께 사회과학의 대표주자로 그 역사는 서양에서는 고대 [[그리스]], 동양에서는 [[춘추전국시대]]로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유서깊은 학문이다. 정치학이라고하면 국회에서 치고박고 싸우는(...) 모습을 연상하기 쉬우나, 파고 들면 매우 깊이가 심오한 학문.
10번째 줄: 10번째 줄:
정치학의 분과학문으로는 정치철학/사상, 정치이론/제도, 정치방법론, 비교정치, 국제정치/국제관계 등이 있다
정치학의 분과학문으로는 정치철학/사상, 정치이론/제도, 정치방법론, 비교정치, 국제정치/국제관계 등이 있다


<references/>
[[분류:학문]]
[[분류:학문]]

2015년 4월 19일 (일) 20:15 판

政治學. Political Science.

인간은 본래 정치적 동물이다 -아리스토텔레스 <정치학>

개요

정치 및 정치현상을 연구하는 학문. 데이비드 이스턴은 "정치는 가치의 권위적 배분(authoritative allocation)"[1]이라고 정의한 바 있다. 정치학은 합리적인 개인 혹은 집단이 가치관과 권위에 따라 어떻게 자원과 가치를 배분하는가를 연구하는 학문이라고 할 수 있겠다.

경제학, 사회학 등과 함께 사회과학의 대표주자로 그 역사는 서양에서는 고대 그리스, 동양에서는 춘추전국시대로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유서깊은 학문이다. 정치학이라고하면 국회에서 치고박고 싸우는(...) 모습을 연상하기 쉬우나, 파고 들면 매우 깊이가 심오한 학문.

정치학의 분과학문으로는 정치철학/사상, 정치이론/제도, 정치방법론, 비교정치, 국제정치/국제관계 등이 있다

  1. 경제학의 정의가 "희소가치의 효율적 배분을 연구하는 학문"이라고 한다면 정치학과 경제학의 관점이 어떻게 다른가 알 수있어 흥미롭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