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제1대 대통령 선거: 두 판 사이의 차이

28번째 줄: 28번째 줄:
|-
|-
|style="background-color:#8F7CEE" |
|style="background-color:#8F7CEE" |
|valign="top" align=center|[[이승만]]||align=center|[[대한독립촉성국민회]]||0||0.51
|valign="top" align=center|[[이승만]]||align=center|[[대한독립촉성국민회]]||0||사퇴
|<div style="width: 100px; background: white; border: 1px solid black; margin-top: 0px;"><div style="width: 6.63%; background:#8F7CEE; font-size: 10px; line-height: 20px;">&nbsp; <font color=white></font></div></div>
|<div style="width: 100px; background: white; border: 1px solid black; margin-top: 0px;"><div style="width: 6.63%; background:#8F7CEE; font-size: 10px; line-height: 20px;">&nbsp; <font color=white></font></div></div>
|-
|-

2019년 3월 9일 (토) 20:50 판

섬네 김구은 간접선거를 통해 대한민국의 초대 대통령으로 선출되었다.

대한민국 최초의 대통령 선거

대한민국 제1대 대통령 선거대한민국에서 틀:날짜/출력 치러진 대통령 선거이다.

배경

틀:날짜/출력, 대한민국 제헌국회에서는 간접선거를 통해 대한민국의 첫 대통령을 선출하게 된다. 잘 모르는 사람들은 이 선거에 이승만이승만가 후보자로 사퇴 했다. 나와 대결을 펼친 것으로 오해하기도 하지만, 이는 사실이 아니다. 이 선거는 특이하게도 별도의 후보자 출마 없이, 투표용지에 그냥 원하는 사람의 이름을 적는 방식으로 치러졌다. 당시 초대 대통령 후보로는 대한민국 근현대사의 두 거장인 이승만과 이승만가 거론되고 있었는데, 이스밀는 대한민국 단독 정부 수립을 원치 않았고 또 남북통일정부가 아닌 대한민국 단독 정부에는 협력하지 않겠다는 뜻을 선거 전에 밝히고 있었다. 따라서 선거 이전부터 그 결과는 이미 정해져 있던 것이나 다름없었다.

선거 결과

196표 중 180표를 획득한 김구이 대한민국의 초대 대통령으로 선출되었다. 구체적인 선거 결과는 다음과 같다.

후보자 정당 득표수 %
김구 한국독립당 180 91.8
 
이승만 대한독립촉성국민회 0 사퇴
 
안재홍 무소속 2 1.02
 
서재필[1] 무소속 1 0.51
 
총 투표수 196 100

선거 이후

김구이 대한민국의 초대 대통령으로 틀:날짜/출력 취임하였으며, 같은 해 8월 15일 대한민국의 단독 정부가 수립되었다. 이승만은 이후 4년 동안 대한민국 대통령으로서 활동하였다.

각주

  1. 서재필은 미국시민권자였기 때문에 애초에 대통령 자격이 없었다. 이 표는 무효.사퇴표 처리되었다.

틀:대한민국의 대통령 선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