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순간경보시스템: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HotCat을 사용해서 분류:일본의 사회을(를) 추가함)
 
(다른 사용자 한 명의 중간 판 2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분류:재난관리]]
{{youtube|IpuyQbJo9Zw|||Center|북한 미사일 발사 당시}}
{{+1|全国瞬時警報システム}}
{{+1|全国瞬時警報システム}}
== 개요 ==
== 개요 ==
32번째 줄: 32번째 줄:
|}
|}
{{각주}}
{{각주}}
[[분류:재난관리]]
[[분류:일본의 사회]]

2018년 12월 3일 (월) 13:29 기준 최신판

북한 미사일 발사 당시

全国瞬時警報システム

개요[편집 | 원본 편집]

일본의 재난경보 시스템. 소방청에서 관리한다.

내무성이나 기상청에서 전달해 준 속보를 소방청이 통신위성에다 쏘아올려 시정촌, 방재기관 등에 설치된 수신기에 전달되면 방재행정무선을 통해 주민들에게 전달되는 구조이다. 다만 위성통신이라 시스템 도입 비용이 비싸서 보급율이 30%를 못 넘고 있기 때문에 Em-Net을 통한 릴레이도 병행한다.

Em-Net[편집 | 원본 편집]

행정전용망인 LGWAN에 단말기를 접속하여 비상 속보를 전달받는 네트워크. J-ALERT의 연동뿐만 아니라 중앙부처에서 내려주는 속보를 직접 받을 수 있다는 이점도 있다. 2009년 북한 미사일 시험때 상급 부처를 거치고 거쳐 소식을 받는 게 느리다는 걸 절감한 이후로 보급이 가속화되고 있다.

전달 속보[편집 | 원본 편집]

재난 속보 기상 속보 안보 속보
  • 재난 속보에서 다루지 않는 기상 정보
  • 탄도 미사일 정보
  • 공습 경보
  • 게릴라 정보
  • 테러 정보
  • 기타 침공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