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해비행장: 두 판 사이의 차이

62번째 줄: 62번째 줄:
활주로 길이가 1.4km정도에 불과해 해군 초계기인 P-3C의 이착륙이 상당히 제한된다. 거기다 활주로 방향이 정확하게 남북방향인데 문제는 활주로 북쪽 2km지점에 바로 장복산(582m)의 산자락{{ㅈ|대략 300m높이의 능선, 안민고개 정상부 인근}}이 동서 방향으로 가로막고 있고 남쪽 2km거리에도 높이는 높지 않지만 산등성이가 야트막하게 자리하고 있어서 이착륙 방향과 각도도 상당히 제한되어 소형 프롭기를 제외한 고정익기 이착륙 자체가 매우 어렵다. {{ㅊ|제로센 같은걸 사용하나}}  
활주로 길이가 1.4km정도에 불과해 해군 초계기인 P-3C의 이착륙이 상당히 제한된다. 거기다 활주로 방향이 정확하게 남북방향인데 문제는 활주로 북쪽 2km지점에 바로 장복산(582m)의 산자락{{ㅈ|대략 300m높이의 능선, 안민고개 정상부 인근}}이 동서 방향으로 가로막고 있고 남쪽 2km거리에도 높이는 높지 않지만 산등성이가 야트막하게 자리하고 있어서 이착륙 방향과 각도도 상당히 제한되어 소형 프롭기를 제외한 고정익기 이착륙 자체가 매우 어렵다. {{ㅊ|제로센 같은걸 사용하나}}  


그런 반면에 고도 제한은 상당히 빡세서, 리즈 시절에는 진해시 일대에 2층 이상의 건물을 올리기 힘들었고 그 위력은 산 너머 창원시와 바다 건너 마산시, 거제시, 부산시에도 일부 영향을 끼치고 있었다. 이는 기지의 노후로 인한 기능 축소와 규제 완화가 맞물려 차츰차츰 축소되었다.
그런 반면에 고도 제한은 상당히 빡세서, 반경 15km를 풀로 적용하던 리즈 시절에는 진해시 일대에 2층 이상의 건물을 올리기 힘들었고 그 위력은 산 너머 창원시와 바다 건너 마산시, 거제시, 부산시에도 일부 영향을 끼치고 있었다. 이는 기지의 노후로 인한 기능 축소와 규제 완화가 맞물려 차츰차츰 축소되었다.
* 2005년에 활주로 진입고각이 조정됨에 따라 마산시, 거제시, 부산광역시의 제한이 해제되고 진해시는 고도 제한이 완화되었다.
* 2005년에 활주로 진입고각이 조정됨에 따라 마산시, 거제시, 부산광역시의 제한이 해제되고 진해시는 고도 제한이 완화되었다.
* 2007년에 무늬만 남았던 북쪽 방향의 비행안전구역을 대폭 축소함에 따라 창원시의 고도 제한이 해제되었다.
* 2007년에 무늬만 남았던 북쪽 방향의 비행안전구역을 대폭 축소함에 따라 창원시의 고도 제한이 해제되었다.

2018년 3월 12일 (월) 14:24 판

{{{공항이름}}}
공항 정보
코드 IATA: CHF, ICAO: RKPE
위치 대한민국 경상남도 창원시

개요

경상남도 창원시 진해구 덕산동에 자리한 군용 공항으로 해방 당시 미군의 K-Site 코드로는 K-10에 해당한다. 한 때 민항기가 취역(그것도 대한항공에서)하여 운항하는 민군 복합공항이었으나 이후 교통이 발달하고 항공기가 대형화하면서 민항기의 운항이 중단되고 해군에서 관할하는 비행장으로 남게 되었다.

공항이 있는 장소가 덕산동이어서 덕산비행장이라는 이름으로 불리기도 했었다.

활용가치

활주로 길이가 1.4km정도에 불과해 해군 초계기인 P-3C의 이착륙이 상당히 제한된다. 거기다 활주로 방향이 정확하게 남북방향인데 문제는 활주로 북쪽 2km지점에 바로 장복산(582m)의 산자락[1]이 동서 방향으로 가로막고 있고 남쪽 2km거리에도 높이는 높지 않지만 산등성이가 야트막하게 자리하고 있어서 이착륙 방향과 각도도 상당히 제한되어 소형 프롭기를 제외한 고정익기 이착륙 자체가 매우 어렵다. 제로센 같은걸 사용하나

그런 반면에 고도 제한은 상당히 빡세서, 반경 15km를 풀로 적용하던 리즈 시절에는 진해시 일대에 2층 이상의 건물을 올리기 힘들었고 그 위력은 산 너머 창원시와 바다 건너 마산시, 거제시, 부산시에도 일부 영향을 끼치고 있었다. 이는 기지의 노후로 인한 기능 축소와 규제 완화가 맞물려 차츰차츰 축소되었다.

  • 2005년에 활주로 진입고각이 조정됨에 따라 마산시, 거제시, 부산광역시의 제한이 해제되고 진해시는 고도 제한이 완화되었다.
  • 2007년에 무늬만 남았던 북쪽 방향의 비행안전구역을 대폭 축소함에 따라 창원시의 고도 제한이 해제되었다.
  • 2011년에 좌우측 비행안전구역이 조정되면서 해당 지역에 152m까지의 건물이 들어서는 것이 가능해졌다.

이런 상황 속에서 인근 주민들 사이에서는 이 비행장을 고정익기가 아닌 회전익기 전용 작전기지로 전환하자는 이야기도 나오고 있다. 이것만 되어도 고도제한이 대폭 완화되기 때문.

기타

각주

  1. 대략 300m높이의 능선, 안민고개 정상부 인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