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담역: 두 판 사이의 차이

57번째 줄: 57번째 줄:
|}
|}


이런 구조다.
이런 구조다.<ref>청담역에는 승강장 번호가 별도로 없으나 편의를 위해 이 문서에서는 승강장 번호를 붙여 사용하기로 한다.</ref>


왜냐하면 당초 전술했듯 청담역을 한시적 시종착역으로 사용하기 위해 해당 역을 설계해 두었던 것이다. [[방화역]], [[상일동역]], [[수락산역]], [[온수역]]이 비슷한 케이스. 다만 이 역은 [[청담대교]]가 조기 개통되면서 사실상 종착역 기능을 못 쓰게 되어서 그렇지(...)
왜냐하면 당초 전술했듯 청담역을 한시적 시종착역으로 사용하기 위해 해당 역을 설계해 두었던 것이다. [[방화역]], [[상일동역]], [[수락산역]], [[온수역]]이 비슷한 케이스. 다만 이 역은 [[청담대교]]가 조기 개통되면서 사실상 종착역 기능을 못 쓰게 되어서 그렇지(...)
이후 평소에는 양쪽 1, 3번 승강장으로 운행을 하며, 2번 승강장은 주박 선로로 쓰게 된다.
2번 승강장(중선)은 사실 주박선 뿐만 아니라 다른 곳으로도 유용하게 쓰였는데, 특이하게 '''5678 장터 열차'''라는 직거래 장터가 바로 이 역의 중선 승강장에서 열렸다. 6호선 열차를 <del>알바</del> 출고하여 이 역에 주박시켜, 각 지자체 농민 생산자들이 직접 판매하는 농산물 직거래 장터 시스템으로, 매주 화,수,목 3일 간 15시부터 20시까지 열렸다. 심지어 [http://9gag.com/gag/5143234 9GAG에도 올라왔다(...)] <del>Underground_in_Korea.line7</del> 다만 이것도 [[2012년]] [[9월 28일]]부로 중단되었는데, 7호선의 [[부평구청역]] 연장 시운전을 개시하면서 열차가 모자라게 되었기 때문이다.


=== 역 전체 구조 ===
=== 역 전체 구조 ===

2015년 5월 1일 (금) 22:53 판

淸潭驛 / Cheongdam Station

청담 / 淸潭 / Cheongdam
colspan="2" style="background: 틀:철도 노선색; color: white;" | 서울 지하철 7호선
style="background: 틀:철도 노선색; color: white;" | 역번 729
style="background: 틀:철도 노선색; color: white;" | 주소 서울특별시 강남구 학동로 지하 508
(舊 청담동 77-76번지)
style="background: 틀:철도 노선색; color: white;" | 개업일 2000년 8월 1일
style="background: 틀:철도 노선색; color: white;" | 운영기관 서울특별시 도시철도공사
style="background: 틀:철도 노선색; color: white;" | 승강장 2면 3선식 승강장
colspan="3" style="background: 틀:철도 노선색; color: white;" | 서울 지하철 7호선
뚝섬유원지
2.0km
청 담 강남구청
1.1km

개요

서울특별시 강남구 청담동에 위치한 지하철역.

역명의 유래는 이 지역의 명칭인 청담동. 다른 7호선의 강남구간 역과는 달리 청담역사거리가 존재하지 않으며, 존재하기가 불가능하다. 왜냐하면 이 역이 가지고 있는 특이한 역 구조 때문인데...자세한 건 후술.

연혁

2000년 8월 1일 서울 지하철 7호선의 잔여 구간이 개통되면서 개업한 역이다.

다만 당초 2000년 초반에 신풍역-청담역 구간을 개통하고 2000년 후반에 남은 청담대교구간을 개통시킬 계획이었고, 이 때문에 청담역은 시종착역의 기능을 하도록 설계되어 있었다. 그러나 막상 청담대교 공사가 빨리 끝나게 되면서 2000년 8월 1일 신풍-건대입구 구간이 일괄적으로 개통되면서 사실상 시종착역으로 쓸 일이 없어지게 되었다(...)

역의 구조

승강장

이 역의 구조는 다른 역과 달리 2면3선식 구조로 되어있다. 즉 어떻게 되어 있냐면...

뚝섬유원지
| 1 2 | 2 3 |
강남구청

이런 구조다.[1]

왜냐하면 당초 전술했듯 청담역을 한시적 시종착역으로 사용하기 위해 해당 역을 설계해 두었던 것이다. 방화역, 상일동역, 수락산역, 온수역이 비슷한 케이스. 다만 이 역은 청담대교가 조기 개통되면서 사실상 종착역 기능을 못 쓰게 되어서 그렇지(...)

이후 평소에는 양쪽 1, 3번 승강장으로 운행을 하며, 2번 승강장은 주박 선로로 쓰게 된다.

2번 승강장(중선)은 사실 주박선 뿐만 아니라 다른 곳으로도 유용하게 쓰였는데, 특이하게 5678 장터 열차라는 직거래 장터가 바로 이 역의 중선 승강장에서 열렸다. 6호선 열차를 알바 출고하여 이 역에 주박시켜, 각 지자체 농민 생산자들이 직접 판매하는 농산물 직거래 장터 시스템으로, 매주 화,수,목 3일 간 15시부터 20시까지 열렸다. 심지어 9GAG에도 올라왔다(...) Underground_in_Korea.line7 다만 이것도 2012년 9월 28일부로 중단되었는데, 7호선의 부평구청역 연장 시운전을 개시하면서 열차가 모자라게 되었기 때문이다.

역 전체 구조

특징

참조

  1. 청담역에는 승강장 번호가 별도로 없으나 편의를 위해 이 문서에서는 승강장 번호를 붙여 사용하기로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