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토시 교통국: 두 판 사이의 차이

33번째 줄: 33번째 줄:
== 여행 패스 ==
== 여행 패스 ==
시 교통국에서는 교토 시를 여행하는 여행자들의 편의를 위해 자체 패스를 발급하고 있다. 또한 [[스룻토 KANSAI]] 회원국으로서 [[스룻토 간사이 패스]]를 받아주고 있다.
시 교통국에서는 교토 시를 여행하는 여행자들의 편의를 위해 자체 패스를 발급하고 있다. 또한 [[스룻토 KANSAI]] 회원국으로서 [[스룻토 간사이 패스]]를 받아주고 있다.
* [[교토 시영 버스 원데이 패스]] : 500엔. 교토 시내 시영버스 1일 무제한권.
* [[교토 시영 버스 원데이 패스]] : 500엔. 교토 시내 시영버스 1일 무제한권. 3회 이상 탑승시 유리하며, 이용권역이 매우 넓어서 가성비는 가장 좋다. 그러나 교토 버스가 워낙 느릿느릿하고 노선도가 복잡하기에 이용하기 많이 답답해할 수 있다.
* [[교토 시영 지하철 원데이 패스]] : 600엔. [[교토 시영 지하철]] 1일 무제한권.
* [[교토 시영 지하철 원데이 패스]] : 600엔. [[교토 시영 지하철]] 1일 무제한권. 마찬가지로 3회 이상 탑승시 유리하다. 그러나 교토 지하철은 여행객이 이용하기에는 범위가 심히 제한적이다.
* [[교토 시영 지하철·란덴 원데이 패스]] : 1000엔. [[교토 시영 지하철]] & [[케이후쿠 전기철도]] 1일 무제한권
* [[교토 시영 지하철·란덴 원데이 패스]] : 1000엔. [[교토 시영 지하철]] & [[케이후쿠 전기철도]] 1일 무제한권. 패스권 가격이 다소 비싸기에 5회 이상 탑승시 유리해진다. 기온↔아라시야마 왕복 및 금각사 코스로 다닐때 고려할 패스권이다.


== 마스코트 캐릭터 ==
== 마스코트 캐릭터 ==

2017년 5월 6일 (토) 19:40 판

틀:철도회사

개요

교토 부 교토 시의 교통사업을 담당하는 국으로써, 지방공기업 중 하나다. 지하철, 노선버스 등을 운영하고 있으며, 예전에는 노면전차, 무궤도전차 등도 운영했다.

수익구조는 지하철의 영업손실을 버스에서 메꾸는 구조이다. 그래도 적자 행진 중. 가장 큰 원인은 경주시 마냥 삽만 꽃으면 문화재가 쏟아져 나와서 조사 비용 때문에 공사 대금이 한없이 불어난 것을 채권으로 메꾸다보니 그렇다. 2008년 결산에서는 운영비와 채권 이자가 수입보다 높게 나타나는 지경에 이르렀다. <지하철을 타고(地下鉄に乗るっ)> 캠페인을 통해 대중교통 이용 촉진에 나서고 있으며, 마스코트 케릭터의 탄생도 그 일환 중 하나다.

사업

철도

교통국에서는 일반적으로 고속철도사업[1]이라는 단어를 쓴다.

버스

교통국에서는 자동차운송사업[2]이라는 사업명을 쓴다.

  • 교토 시영 버스: 교토 관광에 상당히 많이 쓰이는 버스다. 사실상 교토의 주 운송 수단.

여행 패스

시 교통국에서는 교토 시를 여행하는 여행자들의 편의를 위해 자체 패스를 발급하고 있다. 또한 스룻토 KANSAI 회원국으로서 스룻토 간사이 패스를 받아주고 있다.

마스코트 캐릭터

왼쪽부터 각각 오노 미사, 마츠가 사키, 우즈마사 모에

철도무스메에 소속된 캐릭터가 없어서 억울했는지, 언제부터인가 교토 시영 지하철 모에 모에 프로젝트를 진행 중이다.모에 캐릭터가 없으면 만들면 되지! 시영 지하철 역과 시영 버스에 관련 캐릭터 포스터를 붙여두고 있다. 캐릭터 이름은 오노 미사, 마츠가 사키, 우즈마사 모에이며, 교토에 있는 오노 역, 마츠가사키 역, 우즈마사 역에서 따온 것으로 보인다.

각주

  1. 여기에서 고속철도는 도시고속철도(Rapid transit, Stadtschnellbahn)에서 온 단어로, 일반적인 고속철도를 얘기하는 것이 아닌 노면전차에 비해 빠른이라는 의미를 지닌다. 자세한 것은 항목을 참조할 것.
  2. 여담이지만 한국으로 치면 버스 운송을 여객자동차운수사업이라고 부르는 것과 같다.
이 문서의 전체 혹은 일부는 교토 시영 지하철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