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문 (차량):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HotCat을 사용해서 분류:문을(를) 추가함)
13번째 줄: 13번째 줄:
== 구분 ==
== 구분 ==
* [[현대 스타렉스]], [[GM대우 다마스]] 등 소형 승합차량의 측면 슬라이딩 도어
* [[현대 스타렉스]], [[GM대우 다마스]] 등 소형 승합차량의 측면 슬라이딩 도어
*: 소형 승합차량의 중문은 슬라이딩 도어가 설치되며, 차체 오른쪽에서 승객이 직접 여닫도록 하고 있다. 편의를 위해 자동문 옵션이 있거나 자동문으로 개조하여 운행되기도 한다.
*: 소형 승합차량의 중문은 [[슬라이딩 도어]]가 설치되며, 차체 오른쪽에서 승객이 직접 여닫도록 하고 있다. 편의를 위해 자동문 옵션이 있거나 자동문으로 개조하여 운행되기도 한다.
* [[현대 카운티]], [[자일대우버스 레스타]] 등 중형 승합차량의 중문
* [[현대 카운티]], [[자일대우버스 레스타]] 등 중형 승합차량의 중문
*: 폴딩 도어나 플러그인 도어를 채택하며, 공압 구동을 사용해 자동문인 경우가 많다. 카운티 도시형의 경우 차체 뒤에 도어를 옵션으로 달 수 있는 데, 도시형 버스와 다르게 해당 승강구는 후문이라고 불린다.
*: [[폴딩 도어]]나 [[플러그인 도어]]를 채택하며, 공압 구동을 사용해 자동문인 경우가 많다. 카운티 도시형의 경우 차체 뒤에 도어를 옵션으로 달 수 있는 데, 도시형 버스와 다르게 해당 승강구는 후문이라고 불린다.
* [[도시형 버스]]의 중문
* [[도시형 버스]]의 중문
*: 슬라이딩 도어가 주류이나, 저상버스는 글라이딩 도어나 플러그인 도어를 채택하고 있다. 역시 공압 구동을 이용한 자동문이다. 승객 하차문으로 주로 활용하며 운전자 시야가 닿지 않으므로 개문발차 방지 장치와 인체 감지 장치를 장착하고 있다. 일부 차량은 [[중문 쇄정]]으로 봉인해놓았다.
*: [[슬라이딩 도어]]가 주류이나, [[저상버스]]는 [[글라이딩 도어]]나 [[플러그인 도어]]를 채택하고 있다. 역시 공압 구동을 이용한 자동문이다. 승객 하차문으로 주로 활용하며 운전자 시야가 닿지 않으므로 개문발차 방지 장치와 인체 감지 장치를 장착하고 있다. 일부 차량은 [[중문 쇄정]]으로 봉인해놓았다.
{{각주}}
{{각주}}

2017년 3월 14일 (화) 17:55 판

개요

후문 뒷바퀴 중문 앞바퀴 전문

승합차량에서 차체 중앙에 위치하는 승강구를 가리키는 말이다.

구분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