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속버스: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토막글}}
[[파일:고속버스.jpg|thumb]]
== 개요 ==
== 개요 ==
[[시외버스]]의 종류 중 하나인 고속형 시외버스를 이르는 말. 일반, [[우등버스|우등]], [[프리미엄 고속버스|프리미엄]] 순으로 등급이 나뉜다.
[[시외버스]]의 종류 중 하나인 고속형 시외버스를 이르는 말. 일반, [[우등버스|우등]], [[프리미엄 고속버스|프리미엄]] 순으로 등급이 나뉜다.

2016년 12월 28일 (수) 17:12 판

고속버스.jpg

개요

시외버스의 종류 중 하나인 고속형 시외버스를 이르는 말. 일반, 우등, 프리미엄 순으로 등급이 나뉜다.

매표 및 집표

승차권 구입은 현장 터미널 창구, 인터넷 사이트 (KOBUS), 고속버스모바일 (스마트폰)에서 가능하다.

KOBUS에서 매표하는 경우 좌석 예약만 걸리고 실제 거래는 이루어지지 않으며, 터미널에서 실물 승차권을 받아야 결제 승인이 날아온다. 이때 예약만 한 상태로 버스 출발 시간이 지나면 No-Show 수수료를 떼간다.

승차권 개표의 경우 한국스마트결제 E-Pass 시스템 도입 전에는 회수권을 손으로 뜯어 처리했지만, 시스템 도입으로 바코드를 찍어 전자 개표를 실시하고 있다. 이 영향으로 모바일 티켓과 홈 티켓이 도입되어 실물 승차권을 뽑아야 하는 불편함이 사라졌다.

노선

운행거리가 100km 이상이고 운행구간의 60퍼센트 이상이 고속도로를 달려야 한다. 기종점 이외의 중간 정류소 정차는 고속도로 변에 있는 정류소, 고속버스 환승정류소, 국토교통부 장관의 인정을 받아서 기점, 종점하고 같은 특별시·광역시·특별자치시 또는 시·군의 행정구역에 속해 있는 정류소 각 1개에만 가능하다.[1]

차량

차종은 차랑 중량의 1톤당 원동기 출력이 20마력 이상이여야 한다. 또 우등은 29인승 이하, 일반은 30인승 이상이여야 한다.[2]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