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Chugun/Sandbox5: 두 판 사이의 차이

(오히려 공통점이 훨씬 많으면 다르다고 분리할게 아니라 잘 합쳐쓰면 될 부분... 굳이 분리할 필요가? (cf. 야마노테 선))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철도 노선 정보
이 문서에서는 [[미국]]의 최상위 [[고속도로]] 체계인 [[주간고속도로]]의 노선 목록을 나열한다.
|노선명 = 경춘선
|노선명2 =
|배경색 = {{철도 노선색|S|GC}}
|그림 =
|그림크기 =
|그림설명 =
|그림2 =
|그림크기2 =
|그림설명2 =
|종류 = [[간선철도]] 및 운행 계통
|나라 = {{국기|대한민국}}
|체계 = ''[[수도권 전철]]''
|상태 = 영업 중
|노선 =
|기점 = [[망우역]]<br />(''[[광운대역]]'')
|종점 = [[춘천역]]
|역수 = 20 (''22'')
|차량기지 =
|이용자 =
|개통일 = [[1939년]] [[7월 25일]]
|폐지일 =
|소유자 = [[한국철도시설공단]]
|운영자 = [[한국철도공사]]
|영업거리 = 80.7 km
|실거리 =
|시설연장 =
|궤간 = 1,435mm ([[표준궤]])
|궤도 =
|선로 = 2 (전 구간)
|전철화 = 가공전차선 교류 25,000 V 60 Hz
|신호 = [[ATP]]
|영업최고속도 = 180 km/h (ITX-청춘)<br />''110 km/h (수도권 전철)''
|설계최고속도 = 180 km/h
|주석 =
}}
{{+1|경춘선 / 京春線 / Gyeongchun Line}}


== 개요 ==
== 주간선 ==
수도권 대학생 MT를 포함해, 명실상부 수도권의 행락 노선이자, 한때는 통일호, 무궁화호가 유명했던 노선. 본디 시작은 사설철도 노선으로, [[성동역]]을 두단식 터미널역으로 가지고 있었으나, 국유화되면서 청량리역으로 강제 운행 조정되었고, 성북 ~ 성동 구간은 폐선되었다. 현재의 [[제기동역]] 인근에 역의 흔적이 남아있으며, 주변 지적 등에 노선의 흔적(철도부지처럼 선형으로 난 땅)이 남아있다.
0, 5로 끝나는 간선들이다.


== 운행 ==
{| class="wikitable" style="font-size: 90%;"
수도권 전철이 개통하기 전까지는 경춘선 무궁화호 열차는 전부 청량리까지 운행되기는 하였으나, 노선적상 경춘선은 성북역이 시종착역으로 되어있었다. 그러던 것이, 서울 시내 구간 이설을 겸해서 현재의 [[망우역]] 접속으로 바뀌게 되었으며, [[서울 지하철 7호선]] 연계를 위해 [[상봉역]]까지 강제로 끌어온 것이 수도권 전철 계통의 시초이다. 하지만 접속하는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중앙선 전철 (당시)]]의 배차 간격이 상당히 불량했고, 때문에 이용에 많은 불편이 따르자, 대책으로 아침 저녁 첨두 시간대 각각 1왕복씩을 [[망우선]]을 경유해 [[광운대역]]에서 발착하는 열차를 편성하였다.
|-
 
! rowspan="2" style="width: 6em;" | 번호
=== 수도권 전철 ===
! colspan="2" | 거리
춘천역부터 망우역까지는 경춘선을 이용해 운행되며, 말단부에서는 [[중앙선]]의 수도권 전철 경춘선 전용 복선을 이용한다. 대략 40분 간격으로 운행되며, (운행 정보...)
! rowspan="2" style="width: 15em;" | 기점
 
! rowspan="2" style="width: 15em;" | 종점
ITX-청춘이 운행되기 전까지는 급행 열차가 운행했었으며, 정차역은 다음과 같았다.
! rowspan="2" style="width: 5em;" | 제정
* (정차역)
! rowspan="2" style="width: 5em;" | 폐지
 
! rowspan="2" | 경유 주
=== ITX-청춘 ===
|-
경춘선 준고속열차로 180 km/h 운행을 내세워 도입한 열차. 자세한 사항은 [[ITX-청춘]] 항목을 참고.
! [[마일|mi]]
 
! km
== 역 목록 ==
|-
(잘 합쳐서 정리)
! [[파일:I-5.png|24px]] [[I-5]]
| style="text-align: right;" | 1,381.29
| style="text-align: right;" | 2,222.97
| [[캘리포니아 주]] 샌이시드로<br />(미국-[[멕시코]] 국경 [[멕시코 연방고속도로 1호선|MX-1]] 접속)
| [[워싱턴 주]] 블레인<br />(미국-[[캐나다]] 국경 [[브리티시 컬럼비아 고속도로 99호선|BC 99]] 접속)
| style="text-align: center;" | 1956년
| style="text-align: center;" | -
| [[캘리포니아 주|캘리포니아]], [[오리건 주|오리건]], [[워싱턴 주|워싱턴]]
|-
! [[파일:I-10.png|24px]] [[I-10]]
| style="text-align: right;" | 2,460.34
| style="text-align: right;" | 3,959.53
| 캘리포니아 주 샌타모니카
| [[플로리다 주]] 잭슨빌
| style="text-align: center;" | 1957년
| style="text-align: center;" | -
| 캘리포니아, [[애리조나 주|애리조나]], [[뉴멕시코 주|뉴멕시코]], [[텍사스 주|텍사스]], [[루이지애나 주|루이지애나]], [[미시시피 주|미시시피]], [[애틀란타 주|애틀란타]], [[플로리다 주|플로리다]]
|-
|}

2016년 5월 22일 (일) 20:55 판

이 문서에서는 미국의 최상위 고속도로 체계인 주간고속도로의 노선 목록을 나열한다.

주간선

0, 5로 끝나는 간선들이다.

번호 거리 기점 종점 제정 폐지 경유 주
mi km
I-5.png I-5 1,381.29 2,222.97 캘리포니아 주 샌이시드로
(미국-멕시코 국경 MX-1 접속)
워싱턴 주 블레인
(미국-캐나다 국경 BC 99 접속)
1956년 - 캘리포니아, 오리건, 워싱턴
I-10.png I-10 2,460.34 3,959.53 캘리포니아 주 샌타모니카 플로리다 주 잭슨빌 1957년 - 캘리포니아, 애리조나, 뉴멕시코, 텍사스, 루이지애나, 미시시피, 애틀란타, 플로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