틀토론:인물 정보: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하나는 보이지 않습니다)
48번째 줄: 48번째 줄:
:: 여기에 제 의견을 붙여보자면 정보상자의 맨 위에 위치하는 이름은 "부르는 방법 (발음) 을 알기 쉽냐" 정도를 기준으로 했으면 합니다. 이 기준을 두면 로마자까지는 정보상자 최상단에 둘 만한 가치가 있을 것 같습니다. --[[사:Liebesfreud|Liebesfreud <span style='font-size:80%'>사랑의 기쁨</span>]] <small>([[특:기여/Liebesfreud|기록]]·[[사토:Liebesfreud|토론]])</small> 2024년 5월 16일 (목) 00:59 (KST)
:: 여기에 제 의견을 붙여보자면 정보상자의 맨 위에 위치하는 이름은 "부르는 방법 (발음) 을 알기 쉽냐" 정도를 기준으로 했으면 합니다. 이 기준을 두면 로마자까지는 정보상자 최상단에 둘 만한 가치가 있을 것 같습니다. --[[사:Liebesfreud|Liebesfreud <span style='font-size:80%'>사랑의 기쁨</span>]] <small>([[특:기여/Liebesfreud|기록]]·[[사토:Liebesfreud|토론]])</small> 2024년 5월 16일 (목) 00:59 (KST)
:: 한국인일때 "br" 넣고 바로 밑에 로마자(혹은 한자)를 넣는다는 방안이 맞나요? 이렇게 된다면 디자인상 통일성 고려할 때 로마자에 span 등의 태그를 붙여야해서 자연스럽게 도태되는 사용법일까 걱정이 되는 부분이 있습니다. 그래서 변수 하나를 추가로 마련하거나 또 다른 변수로 통합해야 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부르는 방법(발음)을 기준으로 고려한다면 딱히 "표기"나 "발음", "부르는 법", "명칭", "이름" 밖에 생각나지 않네요.  <span style="font-family: Noto Serif KR; line-height: 2em; font-weight: bold;">[[사:하늘|{{색|g = linear-gradient(24deg, #0074ff, #dbecff);|蒼天}}]]</span> <small>[[사토:하늘|토론]] [[특수:기여/하늘|기여]]</small> 2024년 5월 16일 (목) 19:12 (KST)
:: 한국인일때 "br" 넣고 바로 밑에 로마자(혹은 한자)를 넣는다는 방안이 맞나요? 이렇게 된다면 디자인상 통일성 고려할 때 로마자에 span 등의 태그를 붙여야해서 자연스럽게 도태되는 사용법일까 걱정이 되는 부분이 있습니다. 그래서 변수 하나를 추가로 마련하거나 또 다른 변수로 통합해야 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부르는 방법(발음)을 기준으로 고려한다면 딱히 "표기"나 "발음", "부르는 법", "명칭", "이름" 밖에 생각나지 않네요.  <span style="font-family: Noto Serif KR; line-height: 2em; font-weight: bold;">[[사:하늘|{{색|g = linear-gradient(24deg, #0074ff, #dbecff);|蒼天}}]]</span> <small>[[사토:하늘|토론]] [[특수:기여/하늘|기여]]</small> 2024년 5월 16일 (목) 19:12 (KST)
::: 틀 변수 문제는 일단 제쳐두고 한글표기, (small 태그) 원어표기, (small 태그) 로마자표기 정도를 정보상자 최상단에 두자는 의견이었습니다. 아마 이 안을 채택하게 된다면 틀 변수를 맞게 조정해야할 듯 합니다. --[[사:Liebesfreud|Liebesfreud <span style='font-size:80%'>사랑의 기쁨</span>]] <small>([[특:기여/Liebesfreud|기록]]·[[사토:Liebesfreud|토론]])</small> 2024년 5월 16일 (목) 20:25 (KST)

2024년 5월 16일 (목) 20:27 판

테두리색

이 문단은 완료된 토론으로, 보존중입니다. 특별한 사유가 없는 한 수정하지 말아주십시오.
Ledibug-Discussion.png

우측의 펼치기 버튼을 눌러 내용을 볼 수 있습니다.

여기 테두리색 넣어도 되나요? 예전 틀:음악가 정보‎에는 있는 걸로 알고 있는데 말이죠. --118.235.13.8 2021년 8월 11일 (수) 21:55 (KST)

테두리색을 배경색과 같이 해야 할 이유가 있나요? --118.235.12.97 2021년 8월 12일 (목) 01:34 (KST)

따로 할 필요는요? --Pika (토론) 2021년 8월 12일 (목) 01:34 (KST)
개인적으로는 따로 할 수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118.235.12.97 2021년 8월 12일 (목) 01:37 (KST)

원어이름 -> 인물이름 통합

원칙적으로는 원어이름 변수에 한국인인 경우 적지 않는다고 되어있는데 사실 많은 문서에 한자나 영문이 삽입된 이상 그냥 적는걸로 규칙을 바꾸면 어떨까합니다. 다른이름과 원어이름을 하나로 통합하는 것도 나쁘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다른이름은 원어이름(=원래이름?)과 성격이 다르므로 독립적으로 있어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蒼天 토론 기여 2024년 5월 8일 (수) 18:59 (KST)

개인적으로는 {{{한자이름}}}, {{{영어이름}}} 변수를 새로 만드는 것이 위키 편집 시 혼동의 여지를 줄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혹시 기존 {{{원어이름}}}의 용도와 합쳐서 부를 만한 적당한 변수명이 있을까요? --Liebesfreud 사랑의 기쁨 (기록·토론) 2024년 5월 8일 (수) 21:47 (KST)
일단 이 정도로 생각해봤습니다. 개인적으로는 원어이름 변수의 용도를 유연하게 설정하는게 좋다고 봅니다. 蒼天 토론 기여 2024년 5월 9일 (목) 17:02 (KST)
인물이름2, 이름2
언어별표기
언어별이름
다른표기
다른문자, 다른문자표기, 다른언어표기
다른표현
현재 "원어이름"이 "인물이름" 밑에 뜨는 텍스트가 맞죠? "본명", "다른이름" 변수와 헷갈리지 않으려면 "인물이름2" 정도로 하는 것이 좋아 보입니다. --Liebesfreud 사랑의 기쁨 (기록·토론) 2024년 5월 9일 (목) 18:43 (KST)
네 맞습니다. '다른'이 들어간건 전부 버려야 겠네요. 蒼天 토론 기여 2024년 5월 9일 (목) 18:58 (KST)
인물이름2가 끝에 숫자가 붙어서 썩 모양이 좋진 않은 것 같고 '다른'이 들어간 변수 명이 더 낫긴한데 '다른이름' 때문에 또 안되네요. 그래서 이 중에서 제일 나은건 인물이름2입니다. 蒼天 토론 기여 2024년 5월 9일 (목) 19:03 (KST)
인물이름2 처럼 숫자만 붙이는 형태보다는 현 상태가 더 직관적일 것 같고, "원어이름" 기능을 "인물이름"으로 통합하면서 "한국어 표기"를 새로 넣는 방법도 생각나네요. --Text-Justify (메시지) 2024년 5월 11일 (토) 01:56 (KST)
그나마 깔끔하게 해결하려면 위키베이스(위키데이터) 기능이라도 써야 안 되겠나 생각합니다. --Text-Justify (메시지) 2024년 5월 11일 (토) 01:56 (KST)
위키데이터가 되게 유용해서 들여왔으면 좋겠네요. 위키데이터 기능으로 원어이름 표기랑 한국어 표기를 편리하게 할 수 있나요? 어떤 방식으로 깔끔하게 되는건가요? --蒼天 토론 기여 2024년 5월 11일 (토) 11:11 (KST)
인물의 경우 각 언어별 표기와 별개로, 필요할 경우 원어 이름 정보로 해당 이름의 다른 표기(한국인의 경우 한국 한자 이름)를 써넣을 수가 있습니다. 예시로 위키데이터의 현재 대한민국 대통령 페이지 name in native language 부분에서 확인이 가능합니다. 그리고 이렇게 기입된 값은 필요할 경우 정보상자를 포함해 위키 문서 내에서 각 값을 불러와 쓰도록 할 수도 있습니다. 인물 관련해서 이 기능이 적극적으로 쓰이지는 않는 것 같지만 한국어 위키백과의 틀:인물 정보는 성별을 위키데이터에서 가져와 쓸 수 있고, Template:Infobox person/Wikidata처럼 정보상자를 완전히 위키데이터로 대체하는 것도 불가능하지는 않습니다. --Text-Justify (메시지) 2024년 5월 11일 (토) 16:36 (KST)
현 "인물이름", "원어이름"을 "한글이름", "인물이름" 정도로 바꾸자는 제안이 맞나요? 전 괜찮아 보입니다. 변수명 토론과는 별개로 위키데이터는 사용할 수만 있다면 쓸 수 있는 곳이 상당히 많아 보이네요... --Liebesfreud 사랑의 기쁨 (기록·토론) 2024년 5월 11일 (토) 17:54 (KST)
그렇습니다. 언어 상관 없이 인물이름에 항상 원래의 원어 이름을 쓰도록 통합, 그리고 외국어 이름을 위한 한글 표기를 넣는 칸 삽입을 생각했습니다.
예: 한국어 이름의 경우 "인물이름"만 기재, 영어 이름의 경우 "인물이름"에 영어 이름을 넣고 "한글 표기"를 입력--Text-Justify (메시지) 2024년 5월 11일 (토) 18:16 (KST)
그리고 적고 보니 인물 정보에만 국한할 일이 아니라 단체, 건축물, 음악 그룹 같은 여러 틀이 비슷한 구조라 신중을 기해서 적용해야 좋을 것 같네요. --Text-Justify (메시지) 2024년 5월 11일 (토) 18:16 (KST)
그렇다면 한국인의 한자 이름과 로마자 표기는 어떻게 하는건가요? 아.. 요건 2차적인 문제같군요.蒼天 토론 기여 2024년 5월 11일 (토) 18:35 (KST)
개인적으로는 대부분의 정보상자에서 가장 큰 제목은 한글 표기 (여의치 않은 경우 영어 표기) 를 사용해서 인물이름 → 한글이름, 원어이름 → 인물이름 대응 정도를 생각하고 있긴 했습니다. 위키데이터는 위키방쪽에 제안을 넣는 것이 좋아 보입니다.--Liebesfreud 사랑의 기쁨 (기록·토론) 2024년 5월 11일 (토) 18:38 (KST)
현재 틀 구조에서 한자 표기는 <br />로 삽입하는 것이 현실적인 방안이라고 생각합니다. 변경 대응의 경우 이름을 큰 제목으로 표시하되 한글표기가 있을 경우 한글표기를 큰 제목으로 쓰도록 틀을 설정하면 되지 않을까 생각했습니다. --Text-Justify (메시지) 2024년 5월 11일 (토) 18:50 (KST)
한글 표기가 있을 때에만 한글 표기를 큰 제목으로 쓰도록 한다면 반대할 이유는 없습니다. --Liebesfreud 사랑의 기쁨 (기록·토론) 2024년 5월 11일 (토) 19:52 (KST)

오랜만에 와서 보니 이런 토론이 있었네요. 예전부터 정보상자에 관해 많이 고민했었는데, 어차피 문서 제목과 첫 문단에 이름이 있으므로 Text-Justify님이 제안하신 것처럼 "인물이름"(원래 계획상으로는 모두 "이름"으로 변경할 생각이었음)에 원어를, "한글표기"에 한글 표기를 넣는 것이 더 좋아 보입니다. 다른 틀도 고친다면 모두 찬성합니다. --Pika (토론) 2024년 5월 14일 (화) 14:18 (KST)

문제는 복수 표기를 사용할 때(스위스 같은 경우)인데 요건 좀 고민해봐야겠네요. --Pika (토론) 2024년 5월 14일 (화) 14:21 (KST)

저도 이의는 없습니다만 원어이름 변수에 한자나 영문을 입력할 수 없지만 사실 입력된 경우가 많던데 한국인이니까 인물이름에 한글을 넣고 br 넣고 다른 표기를 넣는 방식이 Pika님도 괜찮다고 생각하시나요? 하더라도 한글표기 변수와 한자표기 둘 다에 small 태그를 넣어야 통일성이 있을 것 같습니다. 蒼天 토론 기여 2024년 5월 14일 (화) 15:21 (KST)

한국인이면 인물이름에 한글을 넣으면 남은 한글표기 변수 때문에 여기에 한글을 넣어야 하는지 혼동이 생길 것 같은데 한글표기 말고 다른표기 변수로 바꾸어서 외국인인 경우 인물이름에 원어를 넣고 다른표기에 한글을 넣고 한국인인 경우 인물이름에 한글표기, 다른표기에 로마자 등을 입력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Liebesfreud님이 "다른이름"과 헷갈릴 여지가 있어서 원어이름2가 낫다는 의견을 내셨는데 다른 이름은 발음도 다르고 별명과도 같은 것이지만 다른 표기는 같은 이름을 다른 문자로 표기한 것이기 때문에 괜찮다는 의견입니다. 蒼天 토론 기여 2024년 5월 14일 (화) 15:41 (KST)

한자, 로마자 모두 불필요하다고 봅니다. --Pika (토론) 2024년 5월 14일 (화) 15:47 (KST)

Pika님 나름 잘 생각한 이유가 있으시겠지만 불필요한 이유를 알려주셨으면 좋겠습니다. 제가 처음에 들고 온 주제가 갑자기 바뀌면서 묻히는 것 같아 걱정했습니다. 여기 분들의 의견에 따를것이고 그냥 순수 궁금증입니다...蒼天 토론 기여 2024년 5월 14일 (화) 16:02 (KST)
제가 미숙했습니다. 죄송합니다. 蒼天 토론 기여 2024년 5월 15일 (수) 23:29 (KST)
여기에 제 의견을 붙여보자면 정보상자의 맨 위에 위치하는 이름은 "부르는 방법 (발음) 을 알기 쉽냐" 정도를 기준으로 했으면 합니다. 이 기준을 두면 로마자까지는 정보상자 최상단에 둘 만한 가치가 있을 것 같습니다. --Liebesfreud 사랑의 기쁨 (기록·토론) 2024년 5월 16일 (목) 00:59 (KST)
한국인일때 "br" 넣고 바로 밑에 로마자(혹은 한자)를 넣는다는 방안이 맞나요? 이렇게 된다면 디자인상 통일성 고려할 때 로마자에 span 등의 태그를 붙여야해서 자연스럽게 도태되는 사용법일까 걱정이 되는 부분이 있습니다. 그래서 변수 하나를 추가로 마련하거나 또 다른 변수로 통합해야 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부르는 방법(발음)을 기준으로 고려한다면 딱히 "표기"나 "발음", "부르는 법", "명칭", "이름" 밖에 생각나지 않네요. 蒼天 토론 기여 2024년 5월 16일 (목) 19:12 (KST)
틀 변수 문제는 일단 제쳐두고 한글표기, (small 태그) 원어표기, (small 태그) 로마자표기 정도를 정보상자 최상단에 두자는 의견이었습니다. 아마 이 안을 채택하게 된다면 틀 변수를 맞게 조정해야할 듯 합니다. --Liebesfreud 사랑의 기쁨 (기록·토론) 2024년 5월 16일 (목) 20:25 (K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