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리즈:리브레 한자사전/巖: 두 판 사이의 차이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3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4번째 줄: 4번째 줄:
|간체자 =岩
|간체자 =岩
|정체자 =
|정체자 =
|뜻 =바위
|뜻 소리 = 바위 []
|소리 =
|획수 =23
|획수 =23
|신자체 획수 =20
|신자체 획수 =20
24번째 줄: 23번째 줄:


== 한자 유래/서체 ==
== 한자 유래/서체 ==
{{한자 서체|수동==
{{한자 서체
|巖-명조.svg|명조
|巖-명조.svg|명조
|巖-명조-중국.svg|명조<br/><small>(중국)</small>
|巖-명조-중국.svg|명조<br/><small>(중국)</small>
|巌-명조.svg|명조<br/><small>([[신자체]])</small>
|岩-명조.svg|명조<br/><small>([[간체자]])</small>
|岩-명조.svg|명조<br/><small>([[간체자]])</small>
|巖-칸테이류.svg|칸테이류
|巖-칸테이류.svg|칸테이류
|신자체=巌|간체자=岩}}
}}


== 용례 ==
== 용례 ==

2024년 5월 10일 (금) 02:32 기준 최신판

바위 [암]

정자[韓/臺]
신자체 [日]
간체자 [中]
CJK Unified Ideographs
U+5DD6
부 23획
뜻과 소리 바위 [암]
CJK Unified Ideographs
U+5DCC
부 20획
뜻과 소리 바위 [암]
훈독(訓読)いわ、いわお
음독(音読)
오음(呉音)ゲン
한음(漢音)ガン
CJK Unified Ideographs
U+5CA9
부 8획
뜻과 소리 바위 [암]
병음yán
쓰는 순서

한자 유래/서체[편집 | 원본 편집]

巖-명조.svg
명조
巖-명조-중국.svg
명조
(중국)
巌-명조.svg
명조
(신자체)
岩-명조.svg
명조
(간체자)
巖-칸테이류.svg
칸테이류



용례[편집 | 원본 편집]

기타[편집 | 원본 편집]

  • 일본 신자체는 巌의 형태인데 속자인 岩 형태도 많이 쓰인다. 일본어 위키백과에 암석 관련 문서를 보면 岩으로 되어있다. 아마 후자가 더 쓰기 편해서 사실상의 신자체가 바뀐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