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K Unified Ideographs |
玃
|
玄
U+7384 |
玅
|
|
玄부 5획 |
뜻과 소리 | 검을 현 |
---|
이체자 | 대만玄 |
---|
|
CJK Unified Ideographs |
玃
|
玄
U+7384 |
玅
|
|
玄부 5획 |
뜻과 소리 | 검을 현 |
---|
훈독(訓読) | はる, はるか, くろ |
---|
음독(音読) |
---|
오음(呉音) | ゲン |
---|
한음(漢音) | ケン |
---|
|
CJK Unified Ideographs |
玃
|
玄
U+7384 |
玅
|
|
玄부 5획 |
뜻과 소리 | 검을 현 |
---|
병음 | xuán |
---|
|
천자문의 첫 문장 '천지현황'(하늘 천 따지 검을 현 누를 황)의 세번째 글자. 검다는 뜻을 나타내는 한자는 검을 현(玄) 보다는 검을 흑(黑)이 더 자주 사용된다. 실생활에서는 검을 흑만 사용되는 편이지만 인명, 지명 등에서는 검을 현도 꽤 많이 사용한다.
일본에서는 '黑'이나 '玄'이나 '쿠로'라고 읽는다는 점을 이용해서 黑자를 玄자로 치환해 뭔가 뽀대나는 느낌을 주기도 한다.

금문

대전

전서

명조

명조
(중국, 대만, 홍콩)

칸테이류
- 현미(玄米)
- 현무암(玄武巖) 지상으로 분출된 용암이 물과 닿거나 빠르게 식어 생성되는 검은 화산암
- 현발(玄髮) 검은 머리라는 뜻으로 머리가 검은 어린 소년, 청년 시절을 가리키는 말이다.
- 현무(玄武) 중국 도교, 동아시아 민간의 전설 속 동물
- 현관(玄關)[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