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FIO: 두 판 사이의 차이

태그: 조건 제한 도달
편집 요약 없음
 
(사용자 5명의 중간 판 19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4번째 줄: 4번째 줄:
|배경색      = #FF0000
|배경색      = #FF0000
|글자색      = white
|글자색      = white
|로고        =  
|로고        = [[파일:Logo de la Section française de l'Internationale ouvrière.png|200px]]
|약칭        = SFIO
|약칭        = SFIO
|대표직책    = 총서기
|대표직책    = 제1서기
|대표        = [[루이 뒤브레유]](초대)<br />[[기 몰레]](말대)
|대표        = [[루이 뒤브레유]](초대)<br />[[기 몰레]](마지막)
|부대표직책  =  
|부대표직책  =  
|부대표      =  
|부대표      =  
|기타대표직책 =  
|기타대표직책 =  
|기타대표    =  
|기타대표    =  
|이념        = [[사회주의]], <br /> [[민주사회주의]], <br /> [[사회민주주의]], <br /> [[좌파공산주의]], <br /> [[스탈린주의]]{{ㅈ|스탈린주의 계파는 1920년에 대거 [[프랑스 공산당]]으로 분당함.}}
|이념        = [[사회주의]], <br /> [[민주사회주의]], <br /> [[사회민주주의]], <br /> [[좌파공산주의]], <br /> [[레닌주의]]{{ㅈ|레닌주의 계파는 1920년에 대거 [[프랑스 공산당]]으로 분당함.}}
  {{숨기기|'''내부 정파:'''|
  {{숨기기|'''내부 정파:'''|
* 게드파 - AS - BS, GR - [[프랑스 공산당]](탈당)
* 게드파 - AS - BS, GR - [[프랑스 공산당]](탈당)
21번째 줄: 21번째 줄:
|설립일      = [[1905년]] [[4월 25일]]
|설립일      = [[1905년]] [[4월 25일]]
|해산일      = [[1969년]] [[5월 4일]]
|해산일      = [[1969년]] [[5월 4일]]
|이전정당    = 프랑스 사회당(1902), <br />사회주의자당, <br />혁명사회노동당
|이전정당    = [[프랑스 사회당(1902)]], <br />[[사회주의자당]], <br />[[혁명사회노동당]]
|이후정당    = [[프랑스 사회당|사회당]]
|이후정당    = [[프랑스 사회당|사회당]]
|본부        = [[프랑스]] [[파리|파리 시]]
|본부        = [[프랑스]] [[파리|파리 시]]
|표어        =  
|표어        =  
|국제조직    = [[제2인터내셔널]](1889-1916)<br />[[사회주의 노동자 인터내셔널]](1923-1946)
|국제조직    = [[제2인터내셔널]](1905-1916)<br />[[노동자 사회주의 인터내셔널]](1923-1940)<br />[[사회주의 인터내셔널]](1951-1969)
|웹사이트    =  
|웹사이트    =  
|의석        =  
|의석        =  
  {{정당 정보/의석
  {{정당 정보/의석
  |의석명 = 상원의원{{ㅈ|1940년 기준.}}
  |의석명 = 상원의원{{ㅈ|[[1968년 프랑스 상원 선거]] 기준.}}
  |의석수 = 15
  |의석수 = 52
  |전체  = 315
  |전체  = 283
  }}
  }}
  {{정당 정보/의석
  {{정당 정보/의석
  |의석명 = 하원의원{{ㅈ|1940년 기준.}}
  |의석명 = 하원의원{{ㅈ|[[1968년 프랑스 총선]] 기준.}}
  |의석수 = 149
  |의석수 = 57
  |전체  = 610
  |전체  = 487
  }}
  }}
  {{정당 정보/의석
  {{정당 정보/의석
  |의석명 = 지방정부{{ㅈ|1940년 기준.}}{{ㅈ|5공화국 때 확립된 레지옹(주)을 제외한 데파르트망(현) 및 아롱디스망(시), 캉통(군)을 포괄함.}}
  |의석명 = 지방정부{{ㅈ|[[1964년 프랑스 지방 선거]] 기준.}}
  |의석수 = 169
  |의석수 = 286
  |전체  = 858
  |전체  = 1562
}}
}}
|비고        =  
|비고        =  
}}
}}
'''노동자 인터내셔널 프랑스 지부(Section Française de l'Internationale Ouvrière)'''는 과거 [[프랑스]]에서 [[프랑스 제3공화국|제3공화국]]과 [[프랑스 제4공화국|제4공화국]] 시기에 존재했던 프랑스의 사회주의 정당으로, 주류 이념은 [[사회주의]]와 [[민주사회주의]], [[사회민주주의]]였다.
'''노동자 인터내셔널 프랑스 지부'''({{프랑스어|Section Française de l'Internationale Ouvrière}})는 과거 [[프랑스]]에서 [[프랑스 제3공화국|제3공화국]]과 [[프랑스 제4공화국|제4공화국]] 시기에 존재했던 프랑스의 사회주의 정당으로, 주류 이념은 [[사회주의]]와 [[민주사회주의]], [[사회민주주의]]였다.


== 역사 ==
== 역사 ==
=== [[파리 코뮌]] 이후 사회주의의 방향과 분열 ===
=== [[파리 코뮌]] 이후 사회주의의 방향과 분열 ===
자세한 사항은 [[파리 코뮌]] 문서와 [[프랑스 사회주의노동연맹]] 참조.


=== 재결합 ===
=== 재결합(창당) ===


=== [[프랑스 제3공화국|제3공화국]] 초기 ===
=== [[프랑스 제3공화국|제3공화국]] 초기 ===


==== [[1930년 투르 SFIO 전당대회]]와 [[프랑스 공산당]]으로의 분열 ====
==== [[1920년 투르 SFIO 전당대회|1920년 전당대회]]와 [[프랑스 공산당]]으로의 분열 ====
 
=== [[프랑스 제3공화국|제3공화국]] 후기 ===


=== [[프랑스 제4공화국|제4공화국]] 시기 ===
=== [[프랑스 제4공화국|제4공화국]] 시기 ===
61번째 줄: 64번째 줄:


{{각주}}
{{각주}}
[[분류:과거 존재했던 프랑스의 정당]][[분류:1905년 설립]][[분류:1969년 해체]]
[[분류:프랑스의 정당]][[분류:해산된 정당]][[분류:1905년 설립]][[분류:1969년 해체]]

2024년 3월 20일 (수) 10:09 기준 최신판

노동자 인터내셔널 프랑스 지부
Section Française de l'Internationale Ouvrière
Logo de la Section française de l'Internationale ouvrière.png
정당 정보
약칭 SFIO
제1서기 루이 뒤브레유(초대)
기 몰레(마지막)
이념

사회주의,
민주사회주의,
사회민주주의,
좌파공산주의,
레닌주의[1]

내부 정파:
  • 게드파 - AS - BS, GR - 프랑스 공산당(탈당)
  • 조레스파 - 블룸파 - RC(최종)
  • 베일랑파 - NS(제명)[2]
설립 장 조레스 외 3명[3]
1905년 4월 25일
해산 1969년 5월 4일
이전정당 프랑스 사회당(1902),
사회주의자당,
혁명사회노동당
이후정당 사회당
본부 프랑스 파리 시
국제조직 제2인터내셔널(1905-1916)
노동자 사회주의 인터내셔널(1923-1940)
사회주의 인터내셔널(1951-1969)
의석
상원의원[4]
52 / 283
하원의원[5]
57 / 487
지방정부[6]
286 / 1562

노동자 인터내셔널 프랑스 지부(프랑스어: Section Française de l'Internationale Ouvrière)는 과거 프랑스에서 제3공화국제4공화국 시기에 존재했던 프랑스의 사회주의 정당으로, 주류 이념은 사회주의민주사회주의, 사회민주주의였다.

역사[편집 | 원본 편집]

파리 코뮌 이후 사회주의의 방향과 분열[편집 | 원본 편집]

자세한 사항은 파리 코뮌 문서와 프랑스 사회주의노동연맹 참조.

재결합(창당)[편집 | 원본 편집]

제3공화국 초기[편집 | 원본 편집]

1920년 전당대회프랑스 공산당으로의 분열[편집 | 원본 편집]

제3공화국 후기[편집 | 원본 편집]

제4공화국 시기[편집 | 원본 편집]

이후[편집 | 원본 편집]

각주

  1. 레닌주의 계파는 1920년에 대거 프랑스 공산당으로 분당함.
  2. 수장인 폴 포레마르셀 데아 등의 주요 인사들이 비시 정권에 부역함에 따라 전후 제명
  3. 장 조레스, 쥘 게드, 폴 라파르그, 에두아르 베일랑
  4. 1968년 프랑스 상원 선거 기준.
  5. 1968년 프랑스 총선 기준.
  6. 1964년 프랑스 지방 선거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