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량장역: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봇: 자동으로 텍스트 교체 (-\{\{새 철도역 정보\n\|이름 *=(.*)\n\|원어이름 *=(.*)\n\|배경색 *=(.*)\n\|글자색 *=(.*)\n\|그림 *=(.*)\n\|그림크기 *=.*\n +{{새 철도역 정보\n|이름 =\1\n|원어이름 =\2\n|배경색 =\3\n|글자색 =\4\n|그림 =\5\n))
편집 요약 없음
 
(다른 사용자 한 명의 중간 판 2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22번째 줄: 22번째 줄: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금학로]] 315(舊 [[김량장동]] 486-21번지)에 위치한 지상역.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금학로]] 315(舊 [[김량장동]] 486-21번지)에 위치한 지상역.
이름은 법정동인 [[김량장동]]에서 따왔다. 행정동은 [[중앙동]].


== 역사 ==
== 역사 ==
[[2013년]] [[4월 26일]] : 개통
* [[2013년]] [[4월 26일]]: 용인에버라인 개통과 함께 개업


== 특징 ==
== 특징 ==
58번째 줄: 56번째 줄:


[[분류:용인에버라인]]
[[분류:용인에버라인]]
[[분류:용인시의 철도역]]
[[분류:경기도에 있는 철도시설]]

2024년 1월 19일 (금) 23:27 기준 최신판

김량장
주소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금학로 315
(김량장동 486-21번지)
번호  Y119 
노선 용인에버라인 10.7 km
관할 네오트랜스
개업일 2013년 4월 26일
승강장 2면 2선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금학로 315(舊 김량장동 486-21번지)에 위치한 지상역.

역사[편집 | 원본 편집]

특징[편집 | 원본 편집]

용인에버라인 상의 역. 역삼동과 중앙동 경계에 위치하였으며, 법정동으로는 김량장동에 속해 있어서 김량장역이라고 불리게 되었다.

처인구청이 근처에 있다. 구 수려선 용인역이 이 역 근처에 있었다. 이 역 또한 당초에는 용인역이라고 이름이 정해졌으나, 용인시를 의미하는 곳이 이곳 뿐만이 아니라는 점도 있고 GTX의 용인역(구성역 부근 예정)과 혼동될 여지가 있어 김량장역이라고 정해졌다.

김량장이라는 이름은 과거 이 지역에서 열리던 5일장의 이름이 김량장이라고 불렸던 데에서 비롯되었는데, 현재도 매월 0,5일마다 장이 열리고 있으며 해당일자에 이 역에서 금학천을 건너면 5일장에 갈 수 있다. 장의 규모가 꽤 커서 운동장∙송담대역에서 내려도 용인 5일장에 갈 수 있다.

시설[편집 | 원본 편집]

경유 열차[편집 | 원본 편집]

용인에버라인
기흥 방면
 Y118  명지대
 Y119  김량장 전대·에버랜드 방면
 Y120  운동장·송담대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