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정역: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봇: 자동으로 텍스트 교체 (-\|관련역 =(.*)\n\|참고 =(.*)\n\|비고 =(.*)\n +|관련역 =\1\n|참고 =\2\n|비고 =\3\n|하위 틀 = \n))
편집 요약 없음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8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새 철도역 정보
{{새 철도역 정보
|역이름  = 어정역
|이름    = 어정
|원어이름 =  
|원어이름 =  
|부역명  =
|관할약칭 =
|배경색  =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네오트랜스}}
|배경색  =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네오트랜스}}
|글자색  = white
|글자색  = white
|그림    =  
|그림    =  
|그림설명 =  
|그림설명 =  
|그림alt  =
|주소    =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어정로]] 128<br />([[상하동]] 620-50번지)
|주소    =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어정로]] 128<br />([[상하동]] 620-50번지)
|번호    = {{역번호/한국|Y113|수도권|용인}}
|번호    = {{역번호/한국|Y113|수도권|용인}}
25번째 줄: 24번째 줄:


== 역사 ==
== 역사 ==
[[2013년]] [[4월 26일]] : 개통
* [[2013년]] [[4월 26일]]: 용인에버라인 개통과 함께 개업


== 특징 ==
== 특징 ==
41번째 줄: 40번째 줄:
}}
}}
}}
}}
=== 수여선 (폐역) ===
{{새 철도역 정보
|이름    = 어정
|원어이름 =
|배경색  =
|글자색  =
|그림    =
|그림설명 =
|그림alt  =
|주소    = 경기도 용인군 구성면 중리
|번호    =
|노선    = [[수여선]]
|관할    = [[철도청]]
|개업일  = 1930년 12월 1일
|폐지일  = 1972년 4월 1일
|코드    =
|승강장  =
|관련역  =
|참고    =
|비고    =
|하위 틀  =
}}
== 경유 열차 ==
== 경유 열차 ==
{{경유 계통/열기}}
{{경유 계통/열기}}
52번째 줄: 75번째 줄:


[[분류:용인에버라인]]
[[분류:용인에버라인]]
[[분류:용인시의 철도역]]
[[분류:경기도에 있는 철도시설]]

2024년 1월 19일 (금) 23:27 기준 최신판

어정
주소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어정로 128
(상하동 620-50번지)
번호  Y113 
노선 용인에버라인 3.0 km
관할 네오트랜스
개업일 2013년 4월 26일
승강장 2면 2선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어정로 128(舊 상하동 620-50번지)에 위치한 지상역.

역사[편집 | 원본 편집]

특징[편집 | 원본 편집]

폐선된 수려선어정(漁汀)역과 이름이 같다.[1] 표기 한자가 지금과는 다른데, 어정(御井)이라는 지명이 과거에는 세조와 성종 등 조선시대의 임금들이 영남대로를 통해 이곳을 들르면서 물을 마셨다는 데서 유래되었다가, 일제시대때 협궤철도 수려선을 건설하면서 물고기를 잡는 물가라는 의미의 漁汀으로 바뀐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이러한 유래를 반영하여 1995년 일제 잔재 청산을 명분으로 하여 현재의 한자명칭으로 바뀐 것. 주로 천변에 역을 만든 용인에버라인의 특징답게 어정역사 또한 신갈천변에 위치하고 있다. 어정역 근방은 동백지구가 아니지만 동백지구에서 확장된 일명 신동백 지구와 어정마을이라는 아파트단지를 역세권으로 하고 있다. 어정역 맞은 편은 구성으로 가는 도로인 언동로가 있다. 과거에는 이 근방에 나환자들이 모여 살았다고 하며 이후 어정가구단지를 거쳐 지금은 대규모 아파트단지가 들어섰다.

시설[편집 | 원본 편집]

수여선 (폐역)[편집 | 원본 편집]

어정
주소 경기도 용인군 구성면 중리
노선 수여선
관할 철도청
개업일 1930년 12월 1일
폐지일 1972년 4월 1일

경유 열차[편집 | 원본 편집]

용인에버라인
기흥 방면
 Y112  지석
 Y113  어정 전대·에버랜드 방면
 Y114  동백

각주

  1. 수려선 어정역은 이보다 약간 북쪽에 지어졌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