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정신호장: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잔글 (봇: 자동으로 텍스트 교체 (-분류:.*에 있는 철도시설 +분류:강원특별자치도에 있는 철도시설))
 
(사용자 6명의 중간 판 36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분류:영동선]]
{{새 철도역 정보
[[분류:삼척시의 철도역]]
|이름    = 상정
<gallery mode="packed" heights=300px>
|원어이름 =
File:상정역.JPG
|배경색  =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코레일}}
</gallery>
|글자색  = white
==개요==
|그림    = 상정역.JPG
|그림설명 =
|그림alt  =
|주소    = [[강원도]] [[삼척시]] 미로면 상정안길 60<br />(상정리 5-2)
|번호    =  
|노선    = [[영동선]] <small>131.8 km</small>
|관할    = [[한국철도공사]] 강원본부
|개업일  = [[1940년]] [[7월 31일]]
|폐지일  =
|코드    = 441
|승강장  =
|관련역  =  
|참고    =  
|비고    =  
|하위 틀  =  
}}
 
[[강원도]] [[삼척시]] [[미로면]] 상정리에 위치한 역으로 상정(上鼎)이라는 지명은 인근의 하정리(下鼎)라는 지명과 함께 과거에 웃소골, 아랫소골로 불리던 동네였는데 이 소라는 글자는 원래 [[오십천]]이 감아돌면서 형성된 소(沼)를 의미하는 것이었으나, 한자로 음차를 할 때 순 우리말인 솥으로 와전되어서 솥 정(鼎)자로 기록되면서 붙여진 이름이다.
[[강원도]] [[삼척시]] [[미로면]] 상정리에 위치한 역으로 상정(上鼎)이라는 지명은 인근의 하정리(下鼎)라는 지명과 함께 과거에 웃소골, 아랫소골로 불리던 동네였는데 이 소라는 글자는 원래 [[오십천]]이 감아돌면서 형성된 소(沼)를 의미하는 것이었으나, 한자로 음차를 할 때 순 우리말인 솥으로 와전되어서 솥 정(鼎)자로 기록되면서 붙여진 이름이다.


==정차열차==
==정차열차==
없다. 한 때 보통역으로 영업할 만큼 여객수송의 수요가 꽤 있던 시절이 있었으나 이후 화물수요 중지를 시작으로 점차 격하되어 2001년부터는 아에 신호장으로 바뀌고 2007년부터는 여객취급도 중단하게 되었다.
없다. 한 때 보통역으로 영업할 만큼 여객수송의 수요가 꽤 있던 시절이 있었으나 이후 화물수요 중지를 시작으로 점차 격하되어 2001년부터는 아에 신호장으로 바뀌고 2007년부터는 여객취급도 중단하게 되었다.
== 경유 노선 ==
== 경유 노선 ==
{{경유 노선/열기|닫기=닫음|style=width: 42em;}}
{{경유 노선/열기}}
{{경유 노선|배경색={{한국 철도 노선색2|KR}}|글자색=white
{{경유 노선|배경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코레일}}|글자색=white
|노선폭=8em|노선명=213 영동본선|노선링크=영동선|노선거리=131.8 km
|노선명=313 [[영동선]]|노선거리=131.8 km
|전역폭=10em|전방면=[[영주역|영주]] 방면|전역=[[신기역 (삼척)|신기]]|전거리=5.2 km
|전방면=[[영주역|영주]] 방면|전역=[[신기역 (삼척)|신기]]|전거리=5.2 km
|당역폭=8em|당역='''상정'''
|당역='''상정'''
|후역폭=10em|후방면=[[강릉역|강릉]] 방면|후역=[[미로역|미로]]|후거리=4.7 km}}
|후방면=[[청량신호소|청량]] 방면|후역=[[미로역|미로]]|후거리=4.7 km}}
{{경유 노선/닫기}}
{{경유 노선/닫기}}
{{주석}}
{{주석}}
[[분류:영동선]]
[[분류:강원특별자치도에 있는 철도시설]]
{{리브레 맵스 마커|37.38279244791478|129.101060628891|12|상정역}}

2023년 9월 19일 (화) 11:21 기준 최신판

상정
주소 강원도 삼척시 미로면 상정안길 60
(상정리 5-2)
노선 영동선 131.8 km
관할 한국철도공사 강원본부
개업일 1940년 7월 31일
코드 441

강원도 삼척시 미로면 상정리에 위치한 역으로 상정(上鼎)이라는 지명은 인근의 하정리(下鼎)라는 지명과 함께 과거에 웃소골, 아랫소골로 불리던 동네였는데 이 소라는 글자는 원래 오십천이 감아돌면서 형성된 소(沼)를 의미하는 것이었으나, 한자로 음차를 할 때 순 우리말인 솥으로 와전되어서 솥 정(鼎)자로 기록되면서 붙여진 이름이다.

정차열차[편집 | 원본 편집]

없다. 한 때 보통역으로 영업할 만큼 여객수송의 수요가 꽤 있던 시절이 있었으나 이후 화물수요 중지를 시작으로 점차 격하되어 2001년부터는 아에 신호장으로 바뀌고 2007년부터는 여객취급도 중단하게 되었다.

경유 노선[편집 | 원본 편집]

경유 노선 목록
영주 방면
신기 5.2 km
상정 청량 방면
미로 4.7 km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