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타 헤이워드와 쇼생크 탈출: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잔글 (Eigjrhe0(토론)의 편집을 Pikabot의 마지막 판으로 되돌림)
태그: 일괄 되돌리기
 
(사용자 5명의 중간 판 9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4번째 줄: 4번째 줄:
| 원 제목          = Rita Hayworth and Shawshank Redemption
| 원 제목          = Rita Hayworth and Shawshank Redemption
| 번역자          = 김진준, 이경덕(1993년)<br />이경덕(2010년)
| 번역자          = 김진준, 이경덕(1993년)<br />이경덕(2010년)
| 국가            = 미국
| 국가            = {{나라|미국}}
| 언어            = 영어
| 언어            = 영어
| 단편집 수록        = 사계
| 단편집 수록        = 사계
10번째 줄: 10번째 줄:
| 출판 날짜            = 1982년
| 출판 날짜            = 1982년
}}
}}
 
'''리타 헤이워드와 쇼생크 탈출'''(Rita Hayworth and Shawshank Redemption)<ref>이 중편 소설 제목에서 사용된 Redemption의 뜻은 [[종교]]적인 의미의 ''''구속'''' 혹은 ''''구원''''을 가리키는 단어로, 그래서 쇼생크에서의 구원 혹은 구속이라고 쓴 문헌도 있다. 여튼 이 제목을 취한건 1993년 선우본이나 2010년 황금가지 본이 다 '탈출'을 썼기 때문...</ref>은 [[스티븐 킹]]이 [[1982년]] 쓴 그의 단편 모음집인 사계에 실린 단편 소설 중 [[봄]]에 해당되는 중단편 소설로, 부제는 'Hope Springs Eternal' (희망은 영원히 샘 솟는다)이다. 저자인 스티븐 킹은 '내가 무서운 것만 안 적는다는걸 보여주지' 하고 이 소설을 지었는데, 정작 읽어보면 심리적으로 무서운 부분 - 감옥에서의 적응 - 들이 약간 약간 있다.
'''리타 헤이워드와 쇼생크 탈출'''(Rita Hayworth and Shawshank Redemption)<ref>이 중편 소설 제목에서 사용된 Redemption의 뜻은 [[종교]]적인 의미의 ''''구속'''' 혹은 ''''구원''''을 가리키는 단어로, 그래서 쇼생크에서의 구원 혹은 구속이라고 쓴 문헌도 있다. 여튼 이 제목을 취한건 1993년 선우본이나 2010년 황금가지 본이 다 '탈출'을 썼기 때문...</ref>은 [[스티븐 킹]]이 [[1982년]] 쓴 그의 단편 모음집인 사계에 실린 단편 소설 중 [[봄]]에 해당되는 중단편 소설로, 부제는 'Hope Springs Eternal' (희망은 영원히 샘 솟는다)이다.


== 영화화 ==
== 영화화 ==
{{본문|쇼생크 탈출}}
{{본문|쇼생크 탈출}}
이 단편 소설은 [[1994년]] [[프랭크 다라본트]] 감독에 의해 '''[[쇼생크 탈출]]'''이란 영화로 제작되었으며, [[아카데미 작품상]]을 포함하여 7개의 노미네이트를 기록한다.<ref>{{웹 인용|date=November 11, 2014 |accessdate=September 12, 2016 |url=http://www.oscars.org/events/shawshank-redemption |publisher=[[Oscars.org]] |title=THE SHAWSHANK REDEMPTION }}</ref> 그후 2009년 이 단편 소설은 연극으로도 만들어졌다.<ref>{{뉴스 인용|title=The Shawshank Redemption hits the West End |url=http://entertainment.timesonline.co.uk/tol/arts_and_entertainment/stage/theatre/article6830929.ece |accessdate=September 12, 2016 |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10615200725/http://entertainment.timesonline.co.uk/tol/arts_and_entertainment/stage/theatre/article6830929.ece |archivedate=June 15, 2011 |date=September 13, 2009 |work=The Sunday Times |author=Jasper Rees}}</ref>
이 단편 소설은 [[1994년]] [[프랭크 다라본트]] 감독에 의해 '''[[쇼생크 탈출]]'''이란 영화로 제작되었으며, [[아카데미 작품상]]을 포함하여 7개의 노미네이트를 기록한다.<ref>{{웹 인용|date=November 11, 2014 |accessdate=September 12, 2016 |url=http://www.oscars.org/events/shawshank-redemption |publisher=[[Oscars.org]] |title=THE SHAWSHANK REDEMPTION }}</ref> 그후 2009년 이 단편 소설은 연극으로도 만들어졌다.<ref>{{뉴스 인용|title=The Shawshank Redemption hits the West End |url=http://entertainment.timesonline.co.uk/tol/arts_and_entertainment/stage/theatre/article6830929.ece |accessdate=September 12, 2016 |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10615200725/http://entertainment.timesonline.co.uk/tol/arts_and_entertainment/stage/theatre/article6830929.ece |archivedate=June 15, 2011 |date=September 13, 2009 |work=The Sunday Times |author=Jasper Rees}}</ref> 아 물론 당연하게 소설과 영화는 다른 면이 몇몇개 있다.


영화에서 레드 역을 맡았던 [[모건 프리먼]]은 인터뷰에서 이 단편소설을 매우 마음에 든다고 밝혔다.<ref>{{웹 인용|last=Head|first=Steve|title=10 QUESTIONS: MORGAN FREEMAN|date=11 May 2005|publisher=''[[IGN]]''|url=http://www.ign.com/articles/2005/05/11/10-questions-morgan-freeman}}</ref>
영화에서 레드 역을 맡았던 [[모건 프리먼]]은 인터뷰에서 이 단편소설을 매우 마음에 든다고 밝혔다.<ref>{{웹 인용|last=Head|first=Steve|title=10 QUESTIONS: MORGAN FREEMAN|date=11 May 2005|publisher=''[[IGN]]''|url=http://www.ign.com/articles/2005/05/11/10-questions-morgan-freeman}}</ref>


{{각주}}
{{각주}}
{{가져오기|23078394}}
[[분류:미국의 소설]]
 
[[분류:1982년 소설]]
[[분류:1982년 소설]]
[[분류:단편 소설]]
[[분류:공포 소설]]
[[분류:공포 소설]]

2023년 9월 12일 (화) 13:17 기준 최신판

리타 헤이워드와 쇼생크 탈출
저자 스티븐 킹
번역자 김진준, 이경덕(1993년)
이경덕(2010년)
국가 미국
언어 영어
출판사 선우(1993년)
황금가지(2010년)

리타 헤이워드와 쇼생크 탈출》(Rita Hayworth and Shawshank Redemption)[1]스티븐 킹1982년 쓴 그의 단편 모음집인 사계에 실린 단편 소설 중 에 해당되는 중단편 소설로, 부제는 'Hope Springs Eternal' (희망은 영원히 샘 솟는다)이다. 저자인 스티븐 킹은 '내가 무서운 것만 안 적는다는걸 보여주지' 하고 이 소설을 지었는데, 정작 읽어보면 심리적으로 무서운 부분 - 감옥에서의 적응 - 들이 약간 약간 있다.

영화화[편집 | 원본 편집]

이 단편 소설은 1994년 프랭크 다라본트 감독에 의해 쇼생크 탈출이란 영화로 제작되었으며, 아카데미 작품상을 포함하여 7개의 노미네이트를 기록한다.[2] 그후 2009년 이 단편 소설은 연극으로도 만들어졌다.[3] 아 물론 당연하게 소설과 영화는 다른 면이 몇몇개 있다.

영화에서 레드 역을 맡았던 모건 프리먼은 인터뷰에서 이 단편소설을 매우 마음에 든다고 밝혔다.[4]

각주

  1. 이 중편 소설 제목에서 사용된 Redemption의 뜻은 종교적인 의미의 '구속' 혹은 '구원'을 가리키는 단어로, 그래서 쇼생크에서의 구원 혹은 구속이라고 쓴 문헌도 있다. 여튼 이 제목을 취한건 1993년 선우본이나 2010년 황금가지 본이 다 '탈출'을 썼기 때문...
  2. THE SHAWSHANK REDEMPTION. Oscars.org, (2014년 11월 11일). 2016년 9월 12일에 확인.
  3. Jasper Rees. “The Shawshank Redemption hits the West End”, 2009년 9월 13일 작성. 2016년 9월 12일 확인.
  4. Head, Steve (2005년 5월 11일). 10 QUESTIONS: MORGAN FREEMAN. IG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