런던 지하철 센트럴선: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봇:틀:철도 노선 정보 수정)
잔글 (봇: 자동으로 텍스트 교체 (-사용자:Pika/대체용 틀 +철도 노선 정보))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30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철도 노선 정보
{{철도 노선 정보
|노선명 = 센트럴 선<br /><small>Central Line</small>
|이름    = 센트럴선
|배경색 = {{TfL 노선색|CN}}
|원어이름 = Central Line
|글자색 = white
|배경색   = {{TfL 노선색|CN}}
|그림 =  
|글자색   = white
|그림     =  
|그림크기 =  
|그림크기 =  
|그림설명 =  
|그림설명 =  
|종류 = [[도시철도]]
|그림alt  =  
|나라 = {{국기그림|영국}} [[영국]]
|나라     = {{나라|영국}}
|체계 = [[런던 지하철]]
|종류    = [[도시철도]]([[런던 지하철|런던]])
|번호 =  
|번호     =  
|상태 = 영업 중
|구간    = [[웨스트 라이슬립역|웨스트 라이슬립]] · [[일링 브로드웨이역|일링 브로드웨이]] ~ [[에핑역|에핑]] · [[우드포드역|우드포드]]
|노선 =
|기점 = [[웨스트 라이슬립역|웨스트 라이슬립]]<br />[[일링 브로드웨이역|일링 브로드웨이]]
|종점 = [[에핑역|에핑]]<br />[[우드포드역|우드포드]]
|역수 = 49
|이용자 =
|개통일 = 1900년 6월 30일
|폐지일 =
|소유자 = [[런던 교통국|런던 교통국 (TfL)]] (전 구간)
|운영자 = 런던 교통국 (TfL)
|영업거리 = 73.6 km
|영업거리 = 73.6 km
|실거리 =  
|역수    = 49개
|시설연장 =  
|소유자  = [[런던 교통국|런던 교통국 (TfL)]] (전 구간)
|궤간 = 1,435 mm [[표준궤]]
|운영자  = 런던 교통국 (TfL)
|궤도 =
|개통일  = 1900년 6월 30일
|선로 = 2 (전 구간)
|폐지일  =
|전철화 = 전 구간 제4궤조<br />직류 630 V
|경유노선 =
|신호 =  
|차량기지 =  
|영업최고속도 =
|궤간     = 1,435 mm ([[표준궤]])
|설계최고속도 =
|선로     = 2 (전 구간)
|주석 =  
|전기    = [[직류]] 630 V, [[제4궤조]]
|신호     =  
|비고    =  
}}
}}
{{+1|센트럴 선}}<br />Central Line


== 개요 ==
[[런던 지하철]]의 노선으로, 노선색은 <span style="color: {{TfL 노선색|CN}};">'''빨간색'''</span>이다. 웨스트 라이슬립부터 에핑까지의 본선과 함께 일링 브로드웨이 방면의 지선과 레이턴스톤부터 헤이너트를 경유해 우드포드로 들어오는 헤이너트 지선으로 구성된 노선으로, 스트랏포드부터 셰퍼즈 부시까지의 구간은 대심도 소단면 지하철(튜브) 노선에 해당된다. 심도는 꽤 깊으며, 런던 지하철 중에서도 깊은 노선으로 손 꼽힌다. 이외의 구간은 지상 노선이며, 한때는 국철의 일부<ref>스트랏포드 이동 구간은 군수 물자 수송을 위해 2차 기간 중에 쓰였던 선로를 지하철화 한 것이며, 노스 액턴 이서 구간은 [[액턴-노스홀트선]]과의 선로별 복복선을 이루고 있다.</ref>였던 구간이나 현재는 네트워크 레일이 소유한 구간은 아니고 애초부터 지하철을 관할하는 런던 교통국 소관으로 되어있다.
[[런던 지하철]]의 노선으로, 노선색은 <span style="color: {{TfL 노선색|CN}};">'''빨간색'''</span>이다. 웨스트 라이슬립부터 에핑까지의 본선과 함께 일링 브로드웨이 방면의 지선과 레이턴스톤부터 헤이너트를 경유해 우드포드로 들어오는 헤이너트 지선으로 구성된 노선으로, 스트랏포드부터 셰퍼즈 부시까지의 구간은 대심도 소단면 지하철(튜브) 노선에 해당된다. 심도는 꽤 깊으며, 런던 지하철 중에서도 깊은 노선으로 손 꼽힌다. 이외의 구간은 지상 노선이며, 한때는 국철의 일부<ref>스트랏포드 이동 구간은 군수 물자 수송을 위해 2차 기간 중에 쓰였던 선로를 지하철화 한 것이며, 노스 액턴 이서 구간은 [[액턴-노스홀트선]]과의 선로별 복복선을 이루고 있다.</ref>였던 구간이나 현재는 네트워크 레일이 소유한 구간은 아니고 애초부터 지하철을 관할하는 런던 교통국 소관으로 되어있다.


98번째 줄: 90번째 줄:
== 역 목록 ==
== 역 목록 ==
=== 본선 ===
=== 본선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 font-size: 90%;"
|-
|-
! km
! km
! colspan="2" | 역명
! colspan="2" | 정거장
! 접속 노선
! 접속 노선
|-
|-
177번째 줄: 169번째 줄:
| [[퀸즈웨이역|퀸즈웨이]]
| [[퀸즈웨이역|퀸즈웨이]]
| Queensway
| Queensway
| <span style="color: {{TfL 노선색|CC}};">'''○'''</span> 순환선 · <span style="color: {{TfL 노선색|DS}};">'''○'''</span> 디스트릭트 선 ([[베이스워터역|베이스워터]])
| <span style="color: {{TfL 노선색|CC}};">'''○'''</span> 순환선 · <span style="color: {{TfL 노선색|DS}};">'''○'''</span> 디스트릭트선 ([[베이스워터역|베이스워터]])
|-
|-
| style="text-align: right;" | 20.6
| style="text-align: right;" | 20.6
220번째 줄: 212번째 줄:
|-
|-
| style="text-align: right;" | 26.7
| style="text-align: right;" | 26.7
| [[뱅크 역 (런던)|뱅크]]
| [[뱅크역 (런던)|뱅크]]
| Bank
| Bank
| <span style="color: {{TfL 노선색|NT}};">'''○'''</span> 노던 선 뱅크 지선<br /><span style="color: {{TfL 노선색|WC}};">'''○'''</span> [[워털루앤시티선|워털루 & 시티선]]<br /><span style="color: {{TfL 노선색|DL}};">'''○'''</span> [[도클랜드 경전철]]<br /><span style="color: {{TfL 노선색|CC}};">'''○'''</span> 순환선 · <span style="color: {{TfL 노선색|DS}};">'''○'''</span> 디스트릭트 선 ([[모뉴먼트 역 (런던)|모뉴먼트]])
| <span style="color: {{TfL 노선색|NT}};">'''○'''</span> 노던 선 뱅크 지선<br /><span style="color: {{TfL 노선색|WC}};">'''○'''</span> [[워털루앤시티선|워털루 & 시티선]]<br /><span style="color: {{TfL 노선색|DL}};">'''○'''</span> [[도클랜드 경전철]]<br /><span style="color: {{TfL 노선색|CC}};">'''○'''</span> 순환선 · <span style="color: {{TfL 노선색|DS}};">'''○'''</span> 디스트릭트선 ([[모뉴먼트역 (런던)|모뉴먼트]])
|-
|-
| style="text-align: right;" | 27.4
| style="text-align: right;" | 27.4
230번째 줄: 222번째 줄:
|-
|-
| style="text-align: right;" | 29.7
| style="text-align: right;" | 29.7
| [[베스널그린 역 (지하철)|베스널그린]]
| [[베스널그린역 (지하철)|베스널그린]]
| Bethnal Green
| Bethnal Green
|  
|  
302번째 줄: 294번째 줄:


=== 일링 지선 ===
=== 일링 지선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 font-size: 90%;"
|-
|-
! km
! km
! colspan="2" | 역명
! colspan="2" | 정거장
! 접속 노선
! 접속 노선
|-
|-
331번째 줄: 323번째 줄:


=== 헤이너트 지선 ===
=== 헤이너트 지선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 font-size: 90%;"
|-
|-
! km
! km
! colspan="2" | 역명
! colspan="2" | 정거장
! 접속 노선
! 접속 노선
|-
|-
340번째 줄: 332번째 줄:
| [[레이턴스톤역|레이턴스톤]]
| [[레이턴스톤역|레이턴스톤]]
| Leytonstone
| Leytonstone
| <span style="color: {{TfL 노선색|CN}};">'''○'''</span> 센트럴 선 본선 <br />[[런던 오버그라운드]] 가스펠오크-바킹 선 ([[레이튼스톤 하이로드역|레이튼스톤 하이로드]])
| <span style="color: {{TfL 노선색|CN}};">'''○'''</span> 센트럴 선 본선 <br />[[런던 오버그라운드]] 가스펠오크-바킹선 ([[레이튼스톤 하이로드역|레이튼스톤 하이로드]])
|-
|-
| style="text-align: right;" | 39.6
| style="text-align: right;" | 39.6
348번째 줄: 340번째 줄:
|-
|-
| style="text-align: right;" | 40.8
| style="text-align: right;" | 40.8
| [[레드브릿지 역 (런던)|레드브릿지]]
| [[레드브릿지역 (런던)|레드브릿지]]
| Redbridge
| Redbridge
|  
|  

2023년 9월 10일 (일) 18:07 기준 최신판

센트럴선
Central Line
나라 영국
종류 도시철도(런던)
구간 웨스트 라이슬립 · 일링 브로드웨이 ~ 에핑 · 우드포드
영업거리 73.6 km
역 수 49개
소유자 런던 교통국 (TfL) (전 구간)
운영자 런던 교통국 (TfL)
개통일 1900년 6월 30일
시설 정보
궤간 1,435 mm (표준궤)
선로 2 (전 구간)
전기 직류 630 V, 제4궤조

런던 지하철의 노선으로, 노선색은 빨간색이다. 웨스트 라이슬립부터 에핑까지의 본선과 함께 일링 브로드웨이 방면의 지선과 레이턴스톤부터 헤이너트를 경유해 우드포드로 들어오는 헤이너트 지선으로 구성된 노선으로, 스트랏포드부터 셰퍼즈 부시까지의 구간은 대심도 소단면 지하철(튜브) 노선에 해당된다. 심도는 꽤 깊으며, 런던 지하철 중에서도 깊은 노선으로 손 꼽힌다. 이외의 구간은 지상 노선이며, 한때는 국철의 일부[1]였던 구간이나 현재는 네트워크 레일이 소유한 구간은 아니고 애초부터 지하철을 관할하는 런던 교통국 소관으로 되어있다.

센트럴 선은 런던 지하철에서 이용객으로 순위권을 다투는 노선이다. 1위, 2위를 번갈아가고 있으며, 첨두시 최대 시간당 편도 34편이 운행되는 노선으로 영국에서 시간대당 가장 많은 열차가 운행되는 노선이기도 하다. 단순히 이용객만 많은게 아니라 혼잡율도 매우 높은지라, 런던 교통국에서는 기존 영국의 답답하고 도시 교통과 분리되었던 광역철도에 대한 대안으로 오버그라운드와 함께 진행 중인 크로스레일 프로젝트를 센트럴 선과 비슷하게 따라가는 형태로 공사 중에 있다. 이 노선이 개통되면 극적으로 혼잡율이 감소할 듯.

역사[편집 | 원본 편집]

노선의 태생은 1900년에 개통된 런던 중앙철도(센트럴 런던 철도)로, 런던을 관통해 동서를 잇는 노선이었다. 최초 개통 구간은 셰퍼즈 부쉬부터 뱅크까지며, 1912년에 리버풀 스트리트, 1920년대에 일링까지 연장되면서 어느 정도 기초를 닦게 된다. 하지만 세계 2차 대전 이후 런던이 안정화되며 근교권 수요가 늘어가자 2차 대전 기간 군수용으로 썼던 선로 등을 최대한 활용, 확장을 시작해 1940년대 말까지 현재의 구간들이 개통되면서 형태를 갖추게 된다. 하지만 런던의 무제한 확장을 막고자 그린벨트가 설치된 탓에, 원래 에식스에 있던 에핑부터 옹가까지의 구간은 폐선되게 된다. 2010년대 들어서 폐선 구간의 일부는 철도 유산의 형태로 동태 보존되고 있다.

운행[편집 | 원본 편집]

셰퍼즈 부쉬와 화이트시티 사이에 지하 꽈배기굴이 있고, 화이트시티와 이스트 액턴 사이에 지상 꽈배기선이 있다. 화이트시티 역 과 차량기지 구내는 우측통행이기 때문에 생긴 일로, 독특한 부분.

평시 기준으로는 웨스트 라이슬립과 에핑 구간(54.7 km) 구간을 운행하는 열차가 시간당 9편 운행된다. 이 계통은 런던 지하철에서 단독 운행 계통으로는 최장거리 운행에 해당된다. 또한, 본선보다 조금 짧은 거리를 운행하는 노솔트부터 로턴까지 운행되는 열차가 시간당 3편 운행된다. 지선 계통인 일링 브로드웨이 ~ 뉴버리파크 계통이 시간당 3편, 여기서 연장해 일링 브로드웨이 ~ 헤이너트 구간을 운행하는 열차가 시간당 6편 운행되며, 화이트시티부터 헤이너트까지 운행되는 열차가 시간당 3편 운행된다. 마지막으로, 순환 구간을 구성하는 헤이너트부터 우드포드까지의 구간은 셔틀 열차로 시간당 3편 운행되어 화이트시티 ~ 레이턴스톤 구간에서 시간당 24편의 열차가 운행된다. 다른 계통들은 방향(동행 · Eastbound, 서행 · Westbound)으로 구분할 수 있지만, 헤이너트 ~ 우드포드 셔틀 열차는 그 방향 구분이 애매하기 때문에 순환선의 방향을 기준으로 안내된다. 즉 헤이너트 → 우드포드 방향은 내선순환(Inner), 우드포드 → 헤이너트 방향은 외선순환(Outer)로 안내된다.

본선 (라이슬립) 일링 지선 본선 헤이너트 지선 본선 (에핑)
웨스트
라이슬립
노솔트 일링
브로드웨이
화이트시티 레이턴스톤 뉴버리
파크
헤이너트 우드포드 로턴 에핑
- 시간당 9편 -
- 시간당 3편 -
- 시간당 6편 -
- 시간당 3편 -
- 시간당 3편 -

역 목록[편집 | 원본 편집]

본선[편집 | 원본 편집]

km 정거장 접속 노선
0.0 웨스트 라이슬립 West Ruislip 내셔널 레일 칠턴 본선
2.0 라이슬립 가든즈 Ruislip Gardens
2.9 사우스 라이슬립 South Ruislip 내셔널 레일 칠턴 본선
5.2 노솔트 Northolt
7.0 그린포드 Greenford 내셔널 레일 그린포드 지선
8.7 페리베일 Perivale
10.8 행거레인 Hanger Lane
12.7 노스 액턴 분기점 North Acton Junction (일링 지선의 실제 선로상 분기점)
13.2 노스 액턴 North Acton 센트럴 선 일링 지선
14.4 이스트 액턴 East Acton
16.4 화이트시티 White City 순환선 · 해머스미스 & 시티선 (우드 레인)
17.6 셰퍼즈 부시 Shepherd's Bush 런던 오버그라운드 서부 런던선
18.4 홀란드파크 Holland Park
19.1 노팅힐 게이트 Notting Hill Gate 순환선 · 디스트릭트 선
19.7 퀸즈웨이 Queensway 순환선 · 디스트릭트선 (베이스워터)
20.6 랭커스터 게이트 Lancaster Gate
21.8 마블 아치 Marble Arch
22.4 본드 스트리트 Bond Street 주빌리선
23.0 옥스포드 서커스 Oxford Circus 베이컬루선
빅토리아선
23.6 토트넘 코트로드 Tottenham Court Road 노던선 차링크로스 지선
24.5 호번 Holborn 피카딜리선
24.9 찬서리 레인 Chancery
25.9 세인트폴스 St. Paul's
26.7 뱅크 Bank 노던 선 뱅크 지선
워털루 & 시티선
도클랜드 경전철
순환선 · 디스트릭트선 (모뉴먼트)
27.4 리버풀 스트리트 Liverpool Street 순환선 · 해머스미스 & 시티 선 · 메트로폴리탄선
내셔널 레일 대동부본선 · 서부 앵글리아 본선 · 리 계곡선
(런던 리버풀 스트리트)
29.7 베스널그린 Bethnal Green
31.3 마일엔드 Mile End 디스트릭트 선 · 해머스미스 & 시티 선
34.2 스트랏포드 Stratford 주빌리 선
도클랜드 경전철 스트랏포드 지선 · 스트랏포드 국제역 지선
런던 오버그라운드 북부 런던선
런던 교통국 철도 (TfL Rail)
내셔널 레일 대동부본선 · 리 계곡선
36.3 레이턴 Leyton
37.9 레이턴스톤 Leytonstone 센트럴 선 헤이너트 지선
런던 오버그라운드 가스펠오크-바킹선 (레이튼스톤 하이로드)
39.4 스네어스브루크 Snaresbrook
40.9 사우스 우드포드 South Woodford
42.6 우드포드 Woodford 센트럴 선 헤이너트 지선
43.8 우드포드 분기점 Woodford Junction (헤이너트 지선의 실제 선로상 분기점)
44.9 벅허스트힐 Buckhurst Hill
46.8 로턴 Loughton
48.8 데브던 Debden
52.1 세이던보이즈 Theydon Bois
54.7 에핑 Epping

일링 지선[편집 | 원본 편집]

km 정거장 접속 노선
9.9 일링 브로드웨이 Ealing Broadway 디스트릭트선
내셔널 레일 대서부본선
11.5 웨스트 액턴 West Acton
12.7 노스 액턴 분기점 North Acton Junction (일링 지선의 실제 선로상 분기점)
13.2 노스 액턴 North Acton 센트럴 선 본선

헤이너트 지선[편집 | 원본 편집]

km 정거장 접속 노선
37.9 레이턴스톤 Leytonstone 센트럴 선 본선
런던 오버그라운드 가스펠오크-바킹선 (레이튼스톤 하이로드)
39.6 원스티드 Wanstead
40.8 레드브릿지 Redbridge
42.1 간츠힐 Gants Hill
44.4 뉴버리파크 Newbury Park
45.6 바킹사이드 Barkingside
46.8 페어로프 Fairlop
44.4 뉴버리파크 Newbury Park
47.5 헤이너트 Hainault
48.7[2]
47.5 그렌지힐 Grange Hill
46.2 치그웰 Chigwell
43.9 로딩밸리 Roding Valley
43.8 우드포드 분기점 Woodford Junction (헤이너트 지선의 실제 선로상 분기점)
42.6 우드포드 Woodford 센트럴 선 본선

각주

  1. 스트랏포드 이동 구간은 군수 물자 수송을 위해 2차 기간 중에 쓰였던 선로를 지하철화 한 것이며, 노스 액턴 이서 구간은 액턴-노스홀트선과의 선로별 복복선을 이루고 있다.
  2. 우드포드 기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