큉커나: 두 판 사이의 차이

(이 내용은 나무위키에 해당 부분을 작성한 저자 본인이 직접 가져온것)
 
잔글편집 요약 없음
 
(사용자 6명의 중간 판 16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http://img04.deviantart.net/0a4f/i/2012/359/4/2/quinkana_fortirostrum_by_kahless28-d5p3wdc.jpg
{{생물 분류 정보
복원도 [[http://kahless28.deviantart.com/art/Quinkana-fortirostrum-344503200|출처]]
|이름    = 큉커나
|그림    = Quinkana.jpg
|그림설명 =
|학명    = ''Quinkana''
|명명    = Molnar, 1981
|생물분류 =
{{생물 분류 정보/분류
|분류    = 계
|명칭    = [[동물|동물계]]
}}
{{생물 분류 정보/분류
|분류    = 문
|명칭    = 척삭동물문(Chordata)
}}
{{생물 분류 정보/분류
|분류    = 강
|명칭    = 파충강(Reptilia)
}}
{{생물 분류 정보/분류
|분류    = 목
|명칭    = 악어목(Crocodilia)
}}
{{생물 분류 정보/분류
|분류    = 과
|명칭    = 크로커다일과(Crocodylidae)
}}
{{생물 분류 정보/분류
|분류    = 속
|명칭    = †큉커나속(''Quinkana'')
}}
{{생물 분류 정보/분류
|분류    = 종
|명칭    = 본문 참조
}}
|보전상태 =
|비고    =
}}
{| class="wikitable"
| [[파일:쿠인카나.jpg|x500px]]
|-
| style="text-align:center;" | 복원도
|}
[[신생대]] [[올리고세]]~[[플라이스토세]]까지 서식했던 [[악어]]로 [[화석]]은 [[호주]]에서 발견되었으며,  속명은 어보리진 신화의 '큉컨스(Quinkans)'에서 따왔다.


''Quinkana fortirostrum''
큉커나는 마지막까지 살아남은 육상악어 중 하나로 화석기록은 4만년 전에서 끝난다. 이 시기는 당시 호주에 살았던 거대 [[포유류]]들이 멸종된 시기와 일치하는데 아마도 호주에 정착한 인간의 사냥으로 멸종된 것으로 추측된다.
''Quinkana babarra''
''Quinkana timara''
''Quinkana meboldi''


[[신생대]] [[올리고세]]~[[플라이스토세]]까지 서식했던 [[악어]]로 [[화석]]은 [[호주]]에서 발견되었다.
큉커나는 긴다리를 가지고 있어 육상 생활에 적합했으며, 대부분의 반수생인 악어들의 [[이빨]]은 원뿔형이어서 저항하는 먹이감을 잡는데 유리했지만 쿠인카나의 이빨은 날카로우며 톱니가 달려있었다. 이는 육상 생활을하는 악어에게서 많이 발견되는 특징으로 이러한 이빨은 먹이감의 살을 찢어 과다출혈을 일으키기에 유리했다.


쿠인카나는 마지막까지 살아남은 육상악어 중 하나로 화석기록은 4만년 전에서 끝난다. 이 시기는 당시 호주에 살았던 거대 [[포유류]]들이 멸종된 시기와 일치하는데 아마도 호주에 정착한 인간의 사냥으로 멸종된 것으로 추측된다.
모식종인 ''Q. fortirostrum''은 퀸즐랜드 플리오세와 플라이스토세 지층 사이에서 발견되었으며, 이후 ''Q. babarra''가 발견되었고, 북쪽 마이오세 중기층에서 ''Q. timara''가 발견되었다. ''Q. meboldi''는 가장 오래된 종으로 퀸즐랜드 올리고세 후기층에서 발견되었다.


쿠인카나는 긴다리를 가지고 있어 육상 생활에 적합했으며, 대부분의 반수생인 악어들의 [[이빨]]은 원뿔형이어서 저항하는 먹이감을 잡는데 유리했지만 쿠인카나의 이빨은 날카로우며 톱니가 달려있었다. 이는 육상 생활을하는 악어에게서 많이 발견되는 특징으로 이러한 이빨은 먹이감의 살을 찢어 과다출혈을 일으키기에 유리했다.
== 종류 ==
 
*†''Quinkana fortirostrum'' <small>Molnar, 1981</small>
모식종인 ''Q. fortirostrum''은 퀸즐랜드 플리오세와 플라이스토세 지층 사이에서 발견되었으며, 이후 ''Q. babarra''가 발견되었고, 북쪽 마이오세 중기층에서 ''Q. timara''가 발견되었다. ''Q. meboldi''는 가장 오래된 종으로 퀸즐랜드 올리고세 후기층에서 발견되었다.
*†''Quinkana babarra'' <small>Willis & Mackness, 1996</small>
[[분류:멸종한 생물]]
*†''Quinkana timara'' <small>Megirian, 1994</small>
*†''Quinkana meboldi'' <small>Willis, 1997</small>
{{주석}}
[[분류:고생물]]
[[분류:악어목]]

2023년 6월 16일 (금) 12:36 기준 최신판

큉커나
Quinkana.jpg
학명
Quinkana
Molnar, 1981
생물 분류
동물계
척삭동물문(Chordata)
파충강(Reptilia)
악어목(Crocodilia)
크로커다일과(Crocodylidae)
†큉커나속(Quinkana)
본문 참조
쿠인카나.jpg
복원도

신생대 올리고세~플라이스토세까지 서식했던 악어화석호주에서 발견되었으며, 속명은 어보리진 신화의 '큉컨스(Quinkans)'에서 따왔다.

큉커나는 마지막까지 살아남은 육상악어 중 하나로 화석기록은 4만년 전에서 끝난다. 이 시기는 당시 호주에 살았던 거대 포유류들이 멸종된 시기와 일치하는데 아마도 호주에 정착한 인간의 사냥으로 멸종된 것으로 추측된다.

큉커나는 긴다리를 가지고 있어 육상 생활에 적합했으며, 대부분의 반수생인 악어들의 이빨은 원뿔형이어서 저항하는 먹이감을 잡는데 유리했지만 쿠인카나의 이빨은 날카로우며 톱니가 달려있었다. 이는 육상 생활을하는 악어에게서 많이 발견되는 특징으로 이러한 이빨은 먹이감의 살을 찢어 과다출혈을 일으키기에 유리했다.

모식종인 Q. fortirostrum은 퀸즐랜드 플리오세와 플라이스토세 지층 사이에서 발견되었으며, 이후 Q. babarra가 발견되었고, 북쪽 마이오세 중기층에서 Q. timara가 발견되었다. Q. meboldi는 가장 오래된 종으로 퀸즐랜드 올리고세 후기층에서 발견되었다.

종류[편집 | 원본 편집]

  • Quinkana fortirostrum Molnar, 1981
  • Quinkana babarra Willis & Mackness, 1996
  • Quinkana timara Megirian, 1994
  • Quinkana meboldi Willis, 1997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