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주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왠지 고등학교 교과서 삘인데... 나중에 살 좀 붙이러 와야겠심다)
4번째 줄: 4번째 줄:


==내용==
==내용==
[[현실주의 (국제정치학)|현실주의]]에 대항해서 나온 국제정치 이론으로, (당시의) 현실주의에 비해 비교적 현대적인 이론이었다. 인간은 근본적으로 이성적이라는 믿음을 전제로 하는 이론으로, 국제분쟁을 인간의 이성을 바탕으로 합리적으로 해결해 나갈 수 있다고 설명한다. 이 이론에 따르면 [[UN]]과 같은 [[국제기구]]나 [[NGO]]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시기적으로 [[제2차 세계대전]] 이후 각광받는 이론이다.
1920년대 [[국제정치학]]의 태동기에 고전적 [[현실주의 (국제정치학)|현실주의]]에 대항해서 나온 국제정치 이론으로, 고전적 현실주의에 비해 비교적 현대적인 이론이었다. 인간은 근본적으로 이성적이라는 믿음을 전제로 하는 이론으로, 국제분쟁을 인간의 이성을 바탕으로 합리적으로 해결해 나갈 수 있다고 설명한다. 이 이론에 따르면 [[국제연맹]]과 같은 [[국제기구]]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시기적으로 [[제2차 세계대전]] 이전에 각광받는 이론이었다.
 
==한계==
==한계==
현세에서 무시할 수 없는 주류 이론이지만, [[미국]]<s>세계깡패</s>의 [[이라크 전쟁|이라크 침공]], 미 대통령의 무소불위 권력, [[유로마이단|우크라이나 사태]]와 같이 힘을 바탕으로 일어나는 현상들까지 해석하기는 어렵다.
현세에서 무시할 수 없는 주류 이론이지만, [[미국]]<s>세계깡패</s>의 [[이라크 전쟁|이라크 침공]], 미 대통령의 무소불위 권력, [[유로마이단|우크라이나 사태]]와 같이 힘을 바탕으로 일어나는 현상들까지 해석하기는 어렵다.


[[분류:국제정치학]]
[[분류:국제정치학]]

2015년 7월 11일 (토) 01:33 판

틀:학술 관련 정보

개요

과거 국제정치학의 주류 이론 중 하나였다.

내용

1920년대 국제정치학의 태동기에 고전적 현실주의에 대항해서 나온 국제정치 이론으로, 고전적 현실주의에 비해 비교적 현대적인 이론이었다. 인간은 근본적으로 이성적이라는 믿음을 전제로 하는 이론으로, 국제분쟁을 인간의 이성을 바탕으로 합리적으로 해결해 나갈 수 있다고 설명한다. 이 이론에 따르면 국제연맹과 같은 국제기구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시기적으로 제2차 세계대전 이전에 각광받는 이론이었다.

한계

현세에서 무시할 수 없는 주류 이론이지만, 미국세계깡패이라크 침공, 미 대통령의 무소불위 권력, 우크라이나 사태와 같이 힘을 바탕으로 일어나는 현상들까지 해석하기는 어렵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