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개토대왕: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편집 요약 없음
잔글 (봇: 자동으로 텍스트 교체 (-(\n| )*\[\[ *분류 *: *\d\d\d년 사망 *\]\](\n| )* +\n))
 
(사용자 8명의 중간 판 17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인물 정보
{{인물 정보
| 이름      = 광개토대왕
|인물이름 = 광개토대왕
| 원어이름   =
|원어이름 =  
| 그림      =  
|배경색  =  
| 그림크기   =  
|글자색   =  
| 그림툴팁  =  
|그림    = [[파일:Gwanggaeto.jpeg|150px]]
| 그림설명   =  
|그림설명 = 광개토대왕의 표준영정
| 본명       =  
|본명     = 고담덕
| 출생일    = <!-- {{출생일|YYYY|MM|DD}} (사망시)
|다른이름 = 국강상광개토경평안호태왕 (시호)<br />호태왕, 영락대왕, 광개토대제
                  {{출생일과 나이|YYYY|MM|DD}} (생존시) -->
|출생일  = 374년
| 출생지     =  
|출생지   = 고구려 국내성
| 사망일     = <!-- {{사망일과 나이|YYYY|MM|DD|YYYY|MM|DD}} -->
|사망일   = 413년
| 사망지     =
|사망지  =  
| 사망원인   =
|국적    = 고구려
| 발견지    =
|학력     =  
| 매장지    =
|직업     =  
| 거주지    =  
|종교     =  
| 국적       =
|정당     =  
| 민족      =
|신체     =  
| 시민권     =  
|배우자   =  
| 고향      =
|가족     = 자녀: 고거련(장수왕)
| 본관      =
|활동기간 =  
| 별칭      =
|소속사  =  
| 학력       =
|웹사이트 =  
| 경력      =  
|비고     =  
| 직업       =  
|하위 틀  =  
| 병역      =
| 활동기간  =
| 소속      =
| 현직      =
| 전직      =
| 봉급      =
| 순자산     =  
| 작위      =
| 칭호      =
| 칭호기간  =
| 전임자     =  
| 후임자     =
| 정당      =
| 적수      =
| 위원      =
| 종교      =  
| 배우자     =  
| 동거인     =  
| 자녀       =
| 부모      =  
| 친척      =  
| 등단      =  
| 호출부호  =
| 연호     =영락
| 상훈      =
| 서명      =
| 각주      =  
| 기타      =  
}}
}}
고구려의 19대 태왕(고구려의 군주)이자 영락 이라는 연호를 사용하여 독자적인 천하관과 자주권을 확립한 제왕으로 한민족 역사상 가장 위대한 정복군주.
'''광개토대왕'''(廣開土大王, 374년~413년)은 [[고구려]]의 제19대 태왕(고구려의 군주)이다. 영락이라는 연호를 사용하여 독자적인 천하관과 자주권을 확립한 제왕으로 한민족 역사상 가장 위대한 정복군주.


옥저를 완전히 정복하고 숙신과 주변 세력에 대한 지배권을 확립하여 대륙 원정과 한반도 남부까지 영양력을 확대하였고 5세기 고구려 최고의 전성기를 구가한 그는 재위 당시 영락대왕이란 왕호를 사용했으며 사후 국강상광개토경평안호태왕이란 시호가 있다 혹은 호태왕과 광개토태왕으로 칭하기도 한다.
[[옥저]]를 완전히 정복하고 [[숙신]]과 주변 세력에 대한 지배권을 확립하여 대륙 원정과 한반도 남부까지 영향력을 확대했다. 5세기 고구려 최고의 전성기를 구가한 그는 재위 당시 영락대왕이란 왕호를 사용했으며 사후 국강상광개토경평안호태왕이란 시호가 있다. 혹은 호태왕과 광개토태왕으로 칭하기도 한다.


소수림왕 4년(374)에 고구려의 수도인 국내성에서 출생했으며 소수림왕의 조카이자 [[소수림왕]]동생인 [[고국양왕]]의 아들로 태어났다.
== 생애 ==
[[소수림왕]] 4년(374)에 고구려의 수도인 [[국내성]]에서 출생했으며 소수림왕의 조카이자 동생인 [[고국양왕]]의 아들로 태어났다.


그는 즉위 직후 고국원왕 당시 고구려에게 큰 피해를 주고 황해도까지 점령하며 무려 고국원왕을 전사시킨 고구려의 숙적이자 원수인 백제를 침공하여 10여개의 성을 점령하고 한강 유역까지 세력을 확장해 후에 고구려의 전성기에 대한 기반을 세웠다.
그는 즉위 직후 고국원왕 당시 고구려에게 큰 피해를 주고 [[황해도]]까지 점령하며 무려 고국원왕을 전사시킨 고구려의 숙적이자 원수인 [[백제]]를 침공하여 10여 개의 성을 점령하고 [[한강]] 유역까지 세력을 확장해 후에 고구려의 전성기에 대한 기반을 세웠다.


이 백제 침공당시 수군(현제의 해군과 비슷한 개념의 군대 해군과 해병대가 통합된 형태다)을 큰 규모로 운용하여 효과적으로 원정을 수행했고 이 원정으로 인해 4세기 [[근초고왕]]백제의 욱일승천은 그대로 꺾이게 된다.
이 백제 침공 당시 수군(현재의 해군과 비슷한 개념의 군대 해군과 해병대가 통합된 형태다)을 큰 규모로 운용하여 효과적으로 원정을 수행했고 이 원정으로 인해 4세기 [[근초고왕]]대부터 이어진 백제의 욱일승천은 그대로 꺾이게 된다.
 
{{각주}}
[[분류:고구려의 왕]]

2022년 9월 4일 (일) 00:08 기준 최신판

광개토대왕
Gwanggaeto.jpeg
광개토대왕의 표준영정
인물 정보
본명 고담덕
다른이름 국강상광개토경평안호태왕 (시호)
호태왕, 영락대왕, 광개토대제
출생 374년
고구려 국내성
사망 413년
국적 고구려
가족 자녀: 고거련(장수왕)

광개토대왕(廣開土大王, 374년~413년)은 고구려의 제19대 태왕(고구려의 군주)이다. 영락이라는 연호를 사용하여 독자적인 천하관과 자주권을 확립한 제왕으로 한민족 역사상 가장 위대한 정복군주.

옥저를 완전히 정복하고 숙신과 주변 세력에 대한 지배권을 확립하여 대륙 원정과 한반도 남부까지 영향력을 확대했다. 5세기 고구려 최고의 전성기를 구가한 그는 재위 당시 영락대왕이란 왕호를 사용했으며 사후 국강상광개토경평안호태왕이란 시호가 있다. 혹은 호태왕과 광개토태왕으로 칭하기도 한다.

생애[편집 | 원본 편집]

소수림왕 4년(374)에 고구려의 수도인 국내성에서 출생했으며 소수림왕의 조카이자 동생인 고국양왕의 아들로 태어났다.

그는 즉위 직후 고국원왕 당시 고구려에게 큰 피해를 주고 황해도까지 점령하며 무려 고국원왕을 전사시킨 고구려의 숙적이자 원수인 백제를 침공하여 10여 개의 성을 점령하고 한강 유역까지 세력을 확장해 후에 고구려의 전성기에 대한 기반을 세웠다.

이 백제 침공 당시 수군(현재의 해군과 비슷한 개념의 군대 해군과 해병대가 통합된 형태다)을 큰 규모로 운용하여 효과적으로 원정을 수행했고 이 원정으로 인해 4세기 근초고왕대부터 이어진 백제의 욱일승천은 그대로 꺾이게 된다.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