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무-2 미사일: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잔글 (봇: 자동으로 텍스트 교체 (-{{사용자:Pika/대체용 틀 +{{미사일 정보))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5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무기 정보
{{미사일 정보
| 이름= 현무-2
|이름     = 현무-2
| 그림=  
|원어이름 =  
| 설명=  
|그림    =  
| 국가= {{국가|대한민국}}
|그림설명 =  
| 종류= 단거리 탄도탄(SRBM)
|종류     = 단거리 탄도탄(SRBM)
<!-- 종류 -->
|제조    =  
| 비행기= yes
|설계    = 국방과학연구소
<!-- 역사 -->
|운영    = {{나라|대한민국}}
| 개발= 국방과학연구소
|생산연도 =  
| 개발년도=  
|사용연도 =  
| 생산=
|생산량  =  
| 생산년도=
|엔진     =  
| 가격=  
|추진제  =  
| 생산개수=
|속도    = 음속의 1.5배
| 사용년도=
|사거리  =  
| 실전=
|탄두    =  
<!-- 일반 제원 -->
|유도    =  
| 제원_파생형=
|발사대  =  
| 중량= kg(경하)
|길이    = m
| 길이= m
|폭      = m
| 폭= m
|높이    = m
| 높이= m
|무게    = kg(경하)
| 승무원= 2명
|비고    =  
| 탑승인원=
<!-- 차량/함선/미사일/비행기 공통 제원 -->
| 무장=
| 부무장=
| 엔진=  
| 엔진출력= lbs
| 출력비=  
| 작전반경= km
| 최고속도=음속의 1.5배
| 항법_유도장치=  
| 조향장치=  
| 장갑=  
| 적재용량=  
| 연료적재량=  
| 날개폭=  
| 날개면적=  
| 날개하중=
| 비행고도=
| 최대고도=
| 상승속도=
| 탐지장비=  
| 전자장비=
}}
}}



2022년 4월 23일 (토) 04:44 기준 최신판

현무-2
미사일 정보
종류 단거리 탄도탄(SRBM)
설계 국방과학연구소
운영 대한민국
속도 음속의 1.5배
길이 m
m
높이 m
무게 kg(경하)

현무-2(玄霧-2) 지대지 탄도탄은 대한민국의 전역 탄도 미사일이다.

역사[편집 | 원본 편집]

성능[편집 | 원본 편집]

현무2는 유사시 적의 종심과 대규모 전역을 타격하기 위한 전략무기로서 대한민국 국군이 보유한 비밀병기라 할 만큼 강력한 위력을 발휘한다.

형상이 말해주듯 러시아의 전역 탄도미사일인 이스칸다르의 영향을 짙게 받았으며 성능적으로도 이스칸다르를 계승하여 고도의 방공망 회피 기능을 갖추고 있다. 현무2와 다른 탄도미사일의 차별점은 변칙적인 움직임에 의한 특이한 비행 궤도인데, 이것이 가능하게 해 주는 것이 추진체의 추력편향노즐(TVC)의 존재로, 현무2는 발사 직후 궤도 정점으로 포물선 운동을 하는 대신 급격히 기수를 틀어 낮은 고도로 완만하게 상승각을 잡는다. 이렇게 하면 높은 고도로 상승하는 탄도탄보다 탐지 시간을 대폭 줄일 수 있게 되며 그만큼 상대가 대응할 시간을 축소시킨다.

현무2의 비행 속도는 음속의 3~4배 정도지만, 목표로 돌입하는 종말 단계에선 낙하 속도는 음속의 7배에 달하며 수직 강하시 11배에 달하는 고속으로 낙하하는 극초음속 미사일이므로 속도만으로도 요격이 까다로운 미사일이다.

현무-1 미사일 같이 자탄을 사용하나 낙하 속도나 자탄의 위력은 훨씬 강력하다. 초기형의 사거리는 300km 남짓이었으나 B형의 경우 500km로 증가했고 최신형의 경우 800km의 사거리를 내며 최대 1,000km이상의 사거리를 내는 것이 가능하다.

사항[편집 | 원본 편집]

현무A[편집 | 원본 편집]

현무B[편집 | 원본 편집]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