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크1:노 게임 노 라이프: 두 판 사이의 차이

Wikichan>Edem
Wikichan>Edem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 작품 ==
== 작품 ==
'''노 게임 노 라이프'''{{원|ノーゲーム・ノーライフ}}는 카미야 유우가 집필한 판타지 [[라이트 노벨]]과 [[애니메이션]], [[코믹스]]등을 통칭하는 말이다. 소설은 카미야 유우가 글과 일러스트 둘을 다 맡으며, 코믹스는 아내인 히이라기 마시로가 담당한다. 이 소설은 이세계에서의 겜블링을 주된 내용으로 삼고 있으며, 이세계에서는 승자와 패자가 무조건 게임으로 정해진다는 점이 특징이다. 내용의 글과 일러스트의 수위가 상당히 높다. '이 라이트 노벨이 대단하다! 2014'에서 10위를 차지하였다.
'''노 게임 노 라이프'''{{원|ノーゲーム・ノーライフ}}는 카미야 유우가 집필한 판타지 [[라이트 노벨]]과 [[애니메이션]], [[코믹스]] 등을 통칭하는 말이다. 소설은 카미야 유우가 글과 삽화를 양쪽 다 맡으며, 코믹스는 아내인 히이라기 마시로가 담당한다. 이 소설은 이세계에서의 갬블링을 주된 내용으로 삼고 있으며, 이세계에서는 승자와 패자가 무조건 게임으로 정해진다는 점이 특징이다. 내용의 글과 일러스트의 수위가 상당히 높다. '이 라이트 노벨이 대단하다! 2014'에서 10위를 차지하였다.


== 줄거리 ==
== 줄거리 ==
6번째 줄: 6번째 줄:
다른 종족들에게 연패를 거듭해 마지막 도시 하나만을 남겨둔 인류. 소라와 시로 폐인남매가 이세계에서는 '인류의 구세주'가 될 수 있을까?
다른 종족들에게 연패를 거듭해 마지막 도시 하나만을 남겨둔 인류. 소라와 시로 폐인남매가 이세계에서는 '인류의 구세주'가 될 수 있을까?


"자, 게임을 시작하자."
{{인용|자, 게임을 시작하자.}}


== 등장인물 ==
== 등장인물 ==
{{참조|노 게임 노 라이프/등장인물}}
{{참조|/등장인물}}
{{등장인물
{{등장인물
  |이름 = 소라
  |이름 = 소라
66번째 줄: 66번째 줄:
  |설명 = 이세계의 유일신으로 과거에는 유희의 신이었다. 과거 신들의 전쟁에는 참여하지 않고 마지막에 부전승으로 유일신 자리를 꿰찼다. 그 후 전쟁을 없애기 위해 십조맹약을 만들어서 모든 분쟁은 게임으로 해결하도록 만들었다.
  |설명 = 이세계의 유일신으로 과거에는 유희의 신이었다. 과거 신들의 전쟁에는 참여하지 않고 마지막에 부전승으로 유일신 자리를 꿰찼다. 그 후 전쟁을 없애기 위해 십조맹약을 만들어서 모든 분쟁은 게임으로 해결하도록 만들었다.
}}
}}
== 용어 ==


== 라이트 노벨 (원작) ==
== 라이트 노벨 (원작) ==
86번째 줄: 88번째 줄:
  |권수 = 6권
  |권수 = 6권
  |완결/미완결 = 미완결
  |완결/미완결 = 미완결
  |공식사이트 =  
  |공식사이트 = http://www.mediafactory.co.jp/bunkoj/book_detail/848
<!-- 국내 출판정보 -->
<!-- 국내 출판정보 -->
  |국내명 = 노 게임 노 라이프
  |국내명 = 노 게임 노 라이프
103번째 줄: 105번째 줄:


=== 단행본 ===
=== 단행본 ===
<!--발행일/한국이 찾아보니 모두 1일로 되어있어서 신빙성이 떨어지는 것 같아 올리지 않습니다.-->
{{탭
{{탭
|1권|
|1권|
211번째 줄: 212번째 줄:
}}
}}
}}
}}
== 코믹스 ==


== 애니메이션 ==
== 애니메이션 ==
=== TV 애니메이션 ===
{{정보상자/애니메이션
{{정보상자/애니메이션
  |구분 = TV 애니메이션
  |구분 = TV 애니메이션
248번째 줄: 250번째 줄:
}}
}}


==== 주제가 ====
2014년 2분기에 방영된 [[TV 애니메이션]]. [[#라이트 노벨 (원작)|원작 라이트 노벨]] 3권 분량까지 진행되었다.
; 오프닝 주제가
 
* '''This Game'''
=== 제작진 ===
{{분할 시작|2}}
* 원작·캐릭터 원안 : 카미야 유
* 감독 : 이시즈카 아츠코
* 시리즈 구성 : 하나다 쥿키
* 캐릭터 디자인·총작화 감독: 오오다테 코우지
* 미술 감독 : 이와세 에이지
* 미술 설정 : 오히라 츠카사
* 촬영 감독 : 후지타 켄지
* 3D 감독 : 야부타 슈헤이
* 편집 : 키무라 카시코
* 음향 감독 : 아케타가와 진
{{분할|2}}
* 음악 : SUPER SWEEP (호소에 신지, 사소 아야코, 에구치 타카히로, 타나카 후미히사
* 음악 제작 : KADOKAWA (미디어 팩토리)
* 음악 프로듀서 : 시노하라 카즈오
* 프로듀서 : 타나카 카케루, 시미즈 아사코, 후카오 사토시, 시미즈 미카, 하야시 요헤이
* 애니메이션 프로듀서 : 나카모토 켄지
* 애니메이션 제작 : [[매드하우스]]
* 제작: 노 게임 노 라이프 전권대리위원회(KADOKAWA, 프론티어 웍스, AT-X, 무빅)
{{분할 끝}}
* 제작 협력 : 일본 체스 협회 {{덧|제1화·제3화}}
 
=== 에피소드 ===
 
=== 주제가 ===
; 오프닝 테마
* '''This Game''' {{덧|제2화~제8화, 제10화}}
** 노래 : [[스즈키 코노미]]
** 노래 : [[스즈키 코노미]]
; 엔딩 주제가
** 작사 : 미사오 유키 / 작곡 : 와카바야시 미츠루 / 편곡 : eba
* '''오라시온'''
** 제1화·제12화에서는 엔딩 테마로서 사용되었다. 제9화에서는 미사용.
 
* '''부탁해☆스냐이퍼''' {{원|おねがい☆すにゃいぱー}} {{덧|제11화}}
** 노래 : [[이나세 이즈나]] (CV. [[사와시로 미유키]])
** 작사 : 츠지 쥰코 / 작곡 : 스즈키 카즈후미 / 편곡 : y0c1e
 
; 엔딩 테마
* '''오라시온''' {{덧|제2화~제11화}}
** 노래 : [[시로 (노 게임 노 라이프)|시로]] (CV. [[카야노 아이]])
** 노래 : [[시로 (노 게임 노 라이프)|시로]] (CV. [[카야노 아이]])
** 작사·작곡·편곡 : 나스카
** 제1화·제12화에서는 미사용. 제8화에서는 본편 전개에 맞추어 영상과 곡에 노이즈가 끼는 특별 연출이 들어갔다.
=== Blu-ray/DVD ===
== 라디오 ==


== 주석 ==
== 주석 ==
260번째 줄: 302번째 줄:


== 관련 사이트 ==
== 관련 사이트 ==
* {{언어|일}} [http://www.mediafactory.co.jp/bunkoj/book_detail/848 MF 문고 J - <노 게임 노 라이프> 작품 소개 페이지]
;코믹스
* {{언어|일}} [http://www.mediafactory.co.jp/comic-alive/comics.php?MENU=detail&id=32859 월간 코믹 얼라이브 - <노 게임 노 라이프> 작품 소개 페이지]
;애니메이션
* {{언어|일}} [http://ngnl.jp/ TVA <노 게임 노 라이프> 공식 사이트]
* {{언어|일}} [http://ngnl.jp/ TVA <노 게임 노 라이프> 공식 사이트]
* {{언어|일}} [https://twitter.com/ngnl_anime <노 게임 노 라이프> 공식 트위터 (@ngnl_anime)]
;라디오
* {{언어|일}} [http://hibiki-radio.jp/description/ngnl 히비키 - <노 라디오 노 라이프>]


{{장르| 판타지}}
{{장르|심리전 판타지}}

2015년 7월 2일 (목) 07:28 판

작품

노 게임 노 라이프틀:원는 카미야 유우가 집필한 판타지 라이트 노벨애니메이션, 코믹스 등을 통칭하는 말이다. 소설은 카미야 유우가 글과 삽화를 양쪽 다 맡으며, 코믹스는 아내인 히이라기 마시로가 담당한다. 이 소설은 이세계에서의 갬블링을 주된 내용으로 삼고 있으며, 이세계에서는 승자와 패자가 무조건 게임으로 정해진다는 점이 특징이다. 내용의 글과 일러스트의 수위가 상당히 높다. '이 라이트 노벨이 대단하다! 2014'에서 10위를 차지하였다.

줄거리

백수에 골방지기지만 인터넷에서는 도시전설이라는 이야기마저 떠도는 천재 게이머 남매, 소라(空)와 시로(白). 둘이 합쳐 하나인 『  』(공백)인 남매는 세상을 「망게임」이라 부르며 지내던 어느 날, 『신』을 자청하는 소년에게 이끌려 이세계로 소환된다. 그곳은 신에 의해 전쟁이 금지되었으며, 『모든 것』──「국경선마저도 게임으로 결판이 나는」세계였다. 다른 종족들에게 연패를 거듭해 마지막 도시 하나만을 남겨둔 인류. 소라와 시로 폐인남매가 이세계에서는 '인류의 구세주'가 될 수 있을까?

틀:인용

등장인물

틀:등장인물 틀:등장인물 틀:등장인물 틀:등장인물 틀:등장인물 틀:등장인물 틀:등장인물 틀:등장인물

용어

라이트 노벨 (원작)

틀:정보상자/라이트 노벨

단행본

{{{제목1}}}
{{{내용1}}}

코믹스

애니메이션

틀:정보상자/애니메이션

2014년 2분기에 방영된 TV 애니메이션. 원작 라이트 노벨 3권 분량까지 진행되었다.

제작진

틀:분할 시작

  • 원작·캐릭터 원안 : 카미야 유
  • 감독 : 이시즈카 아츠코
  • 시리즈 구성 : 하나다 쥿키
  • 캐릭터 디자인·총작화 감독: 오오다테 코우지
  • 미술 감독 : 이와세 에이지
  • 미술 설정 : 오히라 츠카사
  • 촬영 감독 : 후지타 켄지
  • 3D 감독 : 야부타 슈헤이
  • 편집 : 키무라 카시코
  • 음향 감독 : 아케타가와 진

틀:분할

  • 음악 : SUPER SWEEP (호소에 신지, 사소 아야코, 에구치 타카히로, 타나카 후미히사
  • 음악 제작 : KADOKAWA (미디어 팩토리)
  • 음악 프로듀서 : 시노하라 카즈오
  • 프로듀서 : 타나카 카케루, 시미즈 아사코, 후카오 사토시, 시미즈 미카, 하야시 요헤이
  • 애니메이션 프로듀서 : 나카모토 켄지
  • 애니메이션 제작 : 매드하우스
  • 제작: 노 게임 노 라이프 전권대리위원회(KADOKAWA, 프론티어 웍스, AT-X, 무빅)

틀:분할 끝

  • 제작 협력 : 일본 체스 협회 틀:덧

에피소드

주제가

오프닝 테마
  • This Game 틀:덧
    • 노래 : 스즈키 코노미
    • 작사 : 미사오 유키 / 작곡 : 와카바야시 미츠루 / 편곡 : eba
    • 제1화·제12화에서는 엔딩 테마로서 사용되었다. 제9화에서는 미사용.
엔딩 테마
  • 오라시온 틀:덧
    • 노래 : 시로 (CV. 카야노 아이)
    • 작사·작곡·편곡 : 나스카
    • 제1화·제12화에서는 미사용. 제8화에서는 본편 전개에 맞추어 영상과 곡에 노이즈가 끼는 특별 연출이 들어갔다.

Blu-ray/DVD

라디오

주석


관련 사이트

코믹스
애니메이션
라디오

틀:장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