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염병: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35번째 줄: 35번째 줄:
===3군 전염병===
===3군 전염병===
1군 전염병만큼 빠르게 전파지도 않고 사회적인 파급효과가 크지는 않지만, 반복적으로 발생하여 유행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지속적인 감시와 방역이 필요한 질병이 여기에 해당한다.
1군 전염병만큼 빠르게 전파지도 않고 사회적인 파급효과가 크지는 않지만, 반복적으로 발생하여 유행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지속적인 감시와 방역이 필요한 질병이 여기에 해당한다.
*[[말라리아]]
*[[결핵]]
*[[성홍열]]
*수막구균성수막염
*레지오넬라증
*[[비브리오패혈증]]
*[[발진티푸스]]
*발진열
*[[쯔쯔가무시]]
*[[렙토스피라]]
*[[브루셀라증]]
*[[탄저병]]
*[[공수병]]([[광견병]]이라고도 한다)
*신증후군출혈열
*[[후천성면역결핍증]](AIDS)
*유행성 [[인플루엔자]](흔히 말하는 독감)
*[[매독]]
*[[크로이츠펠트-야콥병]](변종 크로이츠펠트-야콥병을 포함. 일명 광우병)
*[[한센병]]


===4군 전염병===
===4군 전염병===

2015년 6월 3일 (수) 22:09 판

틀:의학

  • 傳染病
  • communicable diseases

개요

병원체[1]가 인간이나 동물에 침입하여 문제를 일으키는 것을 감염이라고 한다 이 때문에.감염병이라고 하기도 하는데 전염병은 감염병 중에서도 그 전염성이 강하여서 숙주를 계속 늘려가면서 유행하는 병을 의미하며, 한국에서는 법정 전염병으로 따로 뷴류를 하고 있다. 전염병 주식회사를 플레이 해 보면 어떤 것인지 금방 알 수 있다

한국에서의 법정 전염병

1군 전염병

주로 물에 의해 전염되는 수인성 질병들이 많으며, 물과 식품등에 의해서 전염되는 질병이 여기에 해당한다. 한번 발생할 경우 전염속도가 빠르고, 사회적인 파급효과가 큰 전염병이 여기에 해당한다.


2군 전염병

감염병은 전염 속도가 빠르지만 이미 예방백신이 개발되어 있어서 예방접종을 통해 예방할 수 있는 질병이라 국가 예방접종사업의 대상이 된다

3군 전염병

1군 전염병만큼 빠르게 전파지도 않고 사회적인 파급효과가 크지는 않지만, 반복적으로 발생하여 유행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지속적인 감시와 방역이 필요한 질병이 여기에 해당한다.

4군 전염병

국내에서 새롭게 발생하거나 국내로 유입될 것이 우려되는 해외의 전염병이 여기에 해당한다.

5군 전염병

기생충 감염에 의해서 발생하는 질병이다.


각주

  1. 세균, 바이러스, 기생충 등이 해당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