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탄보일러: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thumb '''연탄보일러'''(煉炭-)은 연탄을 이용한 가정용 보일러다. == 개요 == 석탄 초기에는 아궁이에 직접...)
 
8번째 줄: 8번째 줄:


== 새마을보일러 ==
== 새마을보일러 ==
1975년 개발된 연탄전용 보일러로, 1구 1탄~2탄 정도로 작은 보일러다. 이 보일러는 순환펌프를 사용하지 않는 목적으로 개발되어 저렴하게 현대식 온돌을 설치하는 데 사용했다.  
1975년 개발된 연탄전용 보일러로, 1구 1탄~2탄 정도로 작은 보일러다. 이 보일러는 순환펌프를 사용하지 않는 목적으로 개발되어 저렴하게 현대식 온돌을 설치하는 데 사용했다. 구조가 단순하여 연탄 연소실을 중심으로 둥글게 물집(저탕조)가 둘러싸고 있고, 저탕조 위로 난방출수구, 아래로 난방 입수구가 있을 뿐이다. 상부에 냄비나 주전자를 올려 곤로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순환펌프가 없기 때문에 난방수의 대류순환에 의존했으며, 구배가 불량하거나 난방수 회로가 긴 경우 난방이 잘 되지 않아서 순환펌프를 기어코 달게하는 경우가 많았다. 거기다 공사자재도 저렴하게 맞추어서 지금 와서는 난방수 호스가 낡아 터지는 일이 비일비재하다.
순환펌프가 없기 때문에 난방수의 대류순환에 의존했으며, 구배가 불량하거나 난방수 회로가 긴 경우 난방이 잘 되지 않아서 순환펌프를 기어코 달게하는 경우가 많았다. 거기다 공사자재도 저렴하게 맞추어서 지금 와서는 난방수 호스가 낡아 터지는 일이 비일비재하다.

2021년 3월 13일 (토) 19:11 판

연탄보일러.jpg

연탄보일러(煉炭-)은 연탄을 이용한 가정용 보일러다.

개요

석탄 초기에는 아궁이에 직접 석탄을 떼는 방법을 주로 사용했다. 하지만 이 방법은 구들장 틈새를 통해 배기가스가 스며들어 일산화탄소 중독을 일으키는 경우가 많았다. 그래서 난방수 순환 방법이 소개된 뒤로는 연탄 전용 보일러가 개발되어 현재에 이르게 된다.

주로 부엌에 두었는 데, 아궁이를 대체하여 곤로 겸용으로 사용했기 때문이다. 그래서 겨울에는 연탄가스 유입을 막기 위해 안채와 부엌을 잇는 문을 봉하기도 했다. 물론 현대식 주택에는 그런 거 없고 별도 보일러실에 설치한다.

새마을보일러

1975년 개발된 연탄전용 보일러로, 1구 1탄~2탄 정도로 작은 보일러다. 이 보일러는 순환펌프를 사용하지 않는 목적으로 개발되어 저렴하게 현대식 온돌을 설치하는 데 사용했다. 구조가 단순하여 연탄 연소실을 중심으로 둥글게 물집(저탕조)가 둘러싸고 있고, 저탕조 위로 난방출수구, 아래로 난방 입수구가 있을 뿐이다. 상부에 냄비나 주전자를 올려 곤로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순환펌프가 없기 때문에 난방수의 대류순환에 의존했으며, 구배가 불량하거나 난방수 회로가 긴 경우 난방이 잘 되지 않아서 순환펌프를 기어코 달게하는 경우가 많았다. 거기다 공사자재도 저렴하게 맞추어서 지금 와서는 난방수 호스가 낡아 터지는 일이 비일비재하다.

사용

  • 수명
    석탄 연소시 황화가스가 나오기 때문에 보일러나 연통이 빠르게 삭는다. 심한 경우 연통은 매년, 보일러는 3년마다 갈아치워야 한다. 다른 보일러에 비하면 단순한 구조여서 저렴하다는 것이 위안이다.
  • 온도조절
    연탄보일러는 제어장치가 전무하기 때문에 사람이 알아서 조절해줘야 한다. 점화는 당연히 수동이고, 물집(저탕조) 온도 조절도 순환펌프 가동을 통한 간접적인 형태로 이뤄진다.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