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둑: 두 판 사이의 차이

(바둑 문서 작성중. 현재 내용 추가중임.)
편집 요약 없음
13번째 줄: 13번째 줄:
| 각주 =
| 각주 =
}}
}}
== 개요 ==
'''바둑'''은 정사각형 격자로 된 [[바둑판]]에 흑과 백의 [[바둑돌]]을 놓는 [[추상 전략 게임]]이다. [[한국]]·[[중국]]·[[일본]]·[[대만]]에서 즐기는 [[보드게임]]. 서양권에는 일본 쪽 명칭인 '''이고'''({{루비|囲碁|いご}})의 약칭인 '''고'''(碁, Go)로 통하고 있다.
'''바둑'''은 정사각형 격자로 된 [[바둑판]]에 흑과 백의 [[바둑돌]]을 놓는 [[추상 전략 게임]]이다. [[한국]]·[[중국]]·[[일본]]·[[대만]]에서 즐기는 [[보드게임]]. 서양권에는 일본 쪽 명칭인 '''이고'''({{루비|囲碁|いご}})의 약칭인 '''고'''(碁, Go)로 통하고 있다.



2018년 10월 3일 (수) 12:54 판

{{{놀이이름}}}
놀이 정보
장르 보드게임
추상전략 게임
출시일 주나라 (기원전 1046년~기원전 256년)
또는 상나라 (기원전 1600년경~기원전 1046년)

개요

바둑은 정사각형 격자로 된 바둑판에 흑과 백의 바둑돌을 놓는 추상 전략 게임이다. 한국·중국·일본·대만에서 즐기는 보드게임. 서양권에는 일본 쪽 명칭인 이고(囲碁(いご))의 약칭인 (碁, Go)로 통하고 있다.

상대방 돌을 둘러싸게 되면 상대방의 돌을 들어낸다. 자기 돌이 상대방 돌에 둘러싸인 자리에는 놓을 수 없으나, 상대방의 돌을 따게 되는 경우는 예외이다. 그러나 동형반복을 방지하기 위해 라는 규칙이 있다.

바둑판은 19×19줄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중에서 9개의 점을 정방형으로 찍어 이것을 화점이라고 한다. 각 줄이 교차하는 지점을 '칸'이라고 부르며, 이 칸에 바둑돌을 두어서 모양을 형성해 집을 가장 많이 만드는 쪽이 승리한다. 돌을 잡는 것이 목적이 아닌 바둑돌로 이루어진 '선'을 그려서 그 선에 있는 자신의 '영역'의 크기를 비교하여 승패를 결정한다. 먼저 두는 흑돌 쪽이 매우 유리하기때문에 맞수끼리의 대국(호선)이라면 흑을 쥔 사람이 백을 쥔 사람한테 6집반(한국, 일본, 대만) 또는 7집반(중국, 대만)의 인센티브를 준다. 이 인센티브를 이라고 한다.

역사

바둑 두는 것이 아무 일도 하지 않는 것보다 어진 일이다.
以奕爲爲之猶賢乎己
공자, 논어

논어에서 공자가 바둑에 대해 언급한 사료가 남아 있다. 이에 따라 바둑이 춘추전국시대 이전의 중국에서 발명된 것은 확실하다. 주나라로 추정되고 있지만 확실하지는 않다. 주나라 이전인 상나라 시절부터 원시적인 바둑이 발명되었다는 주장이 있다.

바둑은 중국에서 발명하여 이미 고조선 시대에 한반도로 전파된 상태였다. 일본에는 늦어도 한국삼국시대에 전파된 것이 확인되고 있다. 일본 쇼쇼인(정창원)에 백제 의자왕일본 후지와라노 가마타리(藤原鎌足)한테 보내준 목화자단기국(木画紫檀棊局)과 바둑알인 감/홍아발루기자(紺牙撥鏤棊子, 紅牙撥鏤棊子)이 존재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 바둑판은 현대의 9화점식이 아닌 16화점식 바둑판이며, 정창원에 남아 있는 해당 기록은 756년 작성되었다.

가장 오래 남아있는 기보삼국지에서 손책여범이 둔 대국의 기보라고 알려져있으나, 한국문용직 명지대학교 교수(전 한국기원 프로기사)는 해당 기보를 "위작"이라고 단정했다. 실제로 손책과 여범이 둔 기보는 근대 일본 바둑의 형태를 많이 표절한 것으로 보이는 문제점이 있다.

국가별 현황

한국

일본

중국

대만

유럽

미국

동남아시아

같이 보기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