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애니메이션: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3번째 줄: 3번째 줄:
[[대한민국]]에서 제작되는 [[애니메이션]]을 말한다. 합작 애니메이션도 포함하는 경우가 많다. 사실 의외로 한국도 애니메이션 시장이 아시아권에서는 꽤나 큰 축에 속한다. 물론 전통 강자 일본이나 새로 떠오르는 강자 중국에 비하면 한참 뒤지기는 하지만.
[[대한민국]]에서 제작되는 [[애니메이션]]을 말한다. 합작 애니메이션도 포함하는 경우가 많다. 사실 의외로 한국도 애니메이션 시장이 아시아권에서는 꽤나 큰 축에 속한다. 물론 전통 강자 일본이나 새로 떠오르는 강자 중국에 비하면 한참 뒤지기는 하지만.


한국 애니메이션의 역사는 1950년대까지로 거슬러올라오기는 하지만 1960년대부터 80년대 중반까지는 극장판 애니메이션이 주류였고, 1960년대 중반에 개구쟁이 펠릭스를 시작으로 20여년간은 TV에서 미국이나 일본 애니메이션이 주름잡았고 국산 애니메이션은 단편 애니메이션이나 극장판 애니메이션을 재방하는 수준에 머물러 있었고, 그러면서도 1980년대 중반까지 국산TV만화영화가 단순히 수익성을 이유로 제작되지 않은데다가 1990년대까지 애니메이션 퀴터제가 없던 영향으로 방송사 차원에서 국산 TV만화영화를 제작안해도 별 다른 제재를 받지않은 영향도 있었기 때문에 국산 TV애니메이션의 제작이 미진한 측면이 강했고, 2000년대 와서는 법규 자체는 마련이 되었지만 법 자체에 여러가지 허점들이 있는데다가 케이블TV의 약진으로 우리나라의 [[대중문화]], [[서브컬처]] 중에서 애니메이션 분야가 국산이 비주류인 상태다. {{ㅊ|아래 목록의 빨간 링크들을 보면 알 수 있다.}} 하지만 1년에 서너개 이상은 볼만한 한애니가 나오고 있으니까 {{ㅊ|제발 좀}} 국산 애니에도 관심을 가지자.
한국 애니메이션의 역사는 1950년대까지로 거슬러올라오며 1960년대부터 80년대 중반까지는 극장판 애니메이션이 주류였고 우뢰매 이전까지는 표절등의 문제가 있었지만 그런대로 흥행을 거둔작품이 상당히 나오기는 했다 그러나 1980년대 중반을 기점으로 컬러TV가 보급되면서 쇠퇴기에 몰리게 된다. 그리고 TV에서 방영되는 애니메이션은 1960년대 중반에 개구쟁이 펠릭스를 시작으로해서 20여년간을 미국 애니메이션이나 일본 애니메이션이 철저하게 주류였고, 국산 애니메이션은 단편 애니메이션이나 극장판 애니메이션을 재방하는 수준에 머물러 있었으며 그러면서도 1980년대 중반까지 국산TV만화영화가 단순히 수익성을 이유로 제작되지 않았는데 당시에 공공성을 목적으로해서 이런저런 방송검열이 심했고, 심심하면 만화책을 불태웠던 시절임을 감안하면 그야말로 정책상으로 병크가 따로 없었다. 그나마 1987년이 되어서야 TV애니메이션이 나오게 되었는데 이것도 올림픽과 시청료 거부운동의 영향으로 인해서 나왔던것이다. 그래도 초기 TV애니메이션은 꽤나 성공적이어서 [[아기공룡 둘리]]나 [[달려라 하니]].[[머털도사]], [[영심이]] 등 상당한 인기를 끄는 작품이 나오면서 몇년간은 국산TV만화영화 붐이 불기는 했다. 그러나 SBS 개국이후부터 90년대 중반까지는 펭킹라이킹의 흥행실패와 KBS의 애니메이션 예산 삭감등의 영향으로 다시금 침체기에 빠졌으며(정확히 말하자면 마법사의 아들 코리나 꼬비꼬비같은 인기작은 있었다. 다만 망작또한 상당했던게 사실)을 얻지못했고 이때 정책적인 지원이 극장판 애니메이션에 쏠려있었는데 극장판 애니메이션 중에서 아기공룡 둘리 극장판을 제외한 나머지 작품들이 혹평을 받는 상태가 되면서 극장판 애니메이션은 다시금 침체상태에 빠지게 되었다. 여하튼간에 방송사에서 애니메이션 제작에 소극적이었던 이유는 애니메이션 제작에 비용이 상당히 들어서 방송사 상위층에서 수익성이 나쁜 사업이라는 인식도 있었던데다가 1990년대까지 애니메이션 퀴터제가 없던 영향으로 방송사 차원에서 국산 TV만화영화를 제작안해도 문공부나 공보처, 방송위원회로부터 별 다른 제재를 받지않은 영향이 강했었다. 이를 보완하는 규정에 2000년에 신설되었고 2005년에 이른바 애니메이션 퀴터제가 시행되었지만 법 자체에 여러가지 허점들이 있는데다가 케이블TV의 약진과 시청률 하락과 애니메이션 시간대 앞당기기로 인한 악재가 겹쳐져서 우리나라의 [[대중문화]], [[서브컬처]] 중에서 애니메이션 분야가 국산이 비주류인 상태가 여전히 지속되고 있다. {{ㅊ|아래 목록의 빨간 링크들을 보면 알 수 있다.}} 하지만 1년에 서너개 이상은 볼만한 한애니가 나오고 있으니까 {{ㅊ|제발 좀}} 국산 애니에도 관심을 가지자.
== 목록 ==
== 목록 ==
한국 애니메이션 항목을 만들 때 항목 하단에 <nowiki>[[분류:대한민국의 애니메이션]]</nowiki>을 넣어주시기 바랍니다.
한국 애니메이션 항목을 만들 때 항목 하단에 <nowiki>[[분류:대한민국의 애니메이션]]</nowiki>을 넣어주시기 바랍니다.

2016년 7월 20일 (수) 02:56 판

틀:넘겨주기 있음

개요

대한민국에서 제작되는 애니메이션을 말한다. 합작 애니메이션도 포함하는 경우가 많다. 사실 의외로 한국도 애니메이션 시장이 아시아권에서는 꽤나 큰 축에 속한다. 물론 전통 강자 일본이나 새로 떠오르는 강자 중국에 비하면 한참 뒤지기는 하지만.

한국 애니메이션의 역사는 1950년대까지로 거슬러올라오며 1960년대부터 80년대 중반까지는 극장판 애니메이션이 주류였고 우뢰매 이전까지는 표절등의 문제가 있었지만 그런대로 흥행을 거둔작품이 상당히 나오기는 했다 그러나 1980년대 중반을 기점으로 컬러TV가 보급되면서 쇠퇴기에 몰리게 된다. 그리고 TV에서 방영되는 애니메이션은 1960년대 중반에 개구쟁이 펠릭스를 시작으로해서 20여년간을 미국 애니메이션이나 일본 애니메이션이 철저하게 주류였고, 국산 애니메이션은 단편 애니메이션이나 극장판 애니메이션을 재방하는 수준에 머물러 있었으며 그러면서도 1980년대 중반까지 국산TV만화영화가 단순히 수익성을 이유로 제작되지 않았는데 당시에 공공성을 목적으로해서 이런저런 방송검열이 심했고, 심심하면 만화책을 불태웠던 시절임을 감안하면 그야말로 정책상으로 병크가 따로 없었다. 그나마 1987년이 되어서야 TV애니메이션이 나오게 되었는데 이것도 올림픽과 시청료 거부운동의 영향으로 인해서 나왔던것이다. 그래도 초기 TV애니메이션은 꽤나 성공적이어서 아기공룡 둘리달려라 하니.머털도사, 영심이 등 상당한 인기를 끄는 작품이 나오면서 몇년간은 국산TV만화영화 붐이 불기는 했다. 그러나 SBS 개국이후부터 90년대 중반까지는 펭킹라이킹의 흥행실패와 KBS의 애니메이션 예산 삭감등의 영향으로 다시금 침체기에 빠졌으며(정확히 말하자면 마법사의 아들 코리나 꼬비꼬비같은 인기작은 있었다. 다만 망작또한 상당했던게 사실)을 얻지못했고 이때 정책적인 지원이 극장판 애니메이션에 쏠려있었는데 극장판 애니메이션 중에서 아기공룡 둘리 극장판을 제외한 나머지 작품들이 혹평을 받는 상태가 되면서 극장판 애니메이션은 다시금 침체상태에 빠지게 되었다. 여하튼간에 방송사에서 애니메이션 제작에 소극적이었던 이유는 애니메이션 제작에 비용이 상당히 들어서 방송사 상위층에서 수익성이 나쁜 사업이라는 인식도 있었던데다가 1990년대까지 애니메이션 퀴터제가 없던 영향으로 방송사 차원에서 국산 TV만화영화를 제작안해도 문공부나 공보처, 방송위원회로부터 별 다른 제재를 받지않은 영향이 강했었다. 이를 보완하는 규정에 2000년에 신설되었고 2005년에 이른바 애니메이션 퀴터제가 시행되었지만 법 자체에 여러가지 허점들이 있는데다가 케이블TV의 약진과 시청률 하락과 애니메이션 시간대 앞당기기로 인한 악재가 겹쳐져서 우리나라의 대중문화, 서브컬처 중에서 애니메이션 분야가 국산이 비주류인 상태가 여전히 지속되고 있다. 아래 목록의 빨간 링크들을 보면 알 수 있다. 하지만 1년에 서너개 이상은 볼만한 한애니가 나오고 있으니까 제발 좀 국산 애니에도 관심을 가지자.

목록

한국 애니메이션 항목을 만들 때 항목 하단에 [[분류:대한민국의 애니메이션]]을 넣어주시기 바랍니다.

당연한 얘기지만 이 표 외에도 다양한 작품이 있다. 연도별로 나온 전체 한국 애니메이션 목록은 분류:연도별 한국 애니메이션 문서를 참조하자.

  • 일러두기
    • 연도 : 최초로 방송, 개봉된 연도
    • T : TV 애니메이션
    • M : 극장 애니메이션
    • O : OVA
    • I : 인터넷 애니메이션(웹 애니메이션)
    • 합작은 합작한 나라의 이름을 표시한다.
제목 연도 종류 합작
로보트 태권 V 1976 M
아기공룡 둘리 1987 TMO
날아라 슈퍼보드 1990 T
돌아온 영웅 홍길동 1995 M 일본
두치와 뿌꾸 1996 T
레스톨 특수구조대 1999 T
검정고무신 2000 T
졸라맨 2000 TI
동글동글 해롱이 2001 T
탱구와 울라숑 2001 T
뽀롱뽀롱 뽀로로 2003 TM 북한
스피어즈 2003 T
요랑아 요랑아 2003 TI
두근두근 비밀친구 2005 T 일본
마스크맨 2005 T
장금이의 꿈 2005 T
쿵야쿵야 2006 T
르브바하프 왕국 재건설기 2007 T
천년여우 여우비 2007 M
쁘띠쁘띠 뮤즈 2008 T
롤링스타즈 2009 TM
와라! 편의점 2009 TI
안녕 자두야 2010 TM
고스트 메신저 2010 MO
꼬마버스 타요 2010 TM
쥬로링 동물탐정 2010 TM 일본
변신자동차 또봇 2010 T
마법천자문 2010 TM
로보카 폴리 2011 T
마당을 나온 암탉 2011 M
라바 2011 T
소중한 날의 꿈 2011 M
파닥파닥 2012 M
즐거운 수학 EBS MATH 2013 TI
놓지마 정신줄 2014 T
헬로 카봇 2014 T
바이클론즈 2014 T
아스타를 향해 차구차구 2014 T
스푸키즈 2014 T
최강전사 미니특공대 2014 TM
터닝메카드 2014[1] T
로보텍스 2015 T
꿈의 보석 프리즘스톤[2] 2013 T 일본
꿈의 라이브 프리즘스톤[2] 2014 T 일본
로봇트레인 2015 T
레이디버그 2015 T 일본, 프랑스
노블레스 2015 O
프리파라 2015 T 일본
생일왕국의 프린세스 프링 2014[3] T
파파독 2016 T
텔레몬스터 2016 T
플라워링 하트 2016 T
애슬론 또봇 2016 T
파워배틀 와치카 2015[4] T
매직 어드벤쳐 2016 T
터닝메카드 W 2016 T
캡슐보이 2016 T
안녕! 괴발개발 2016 T
꼬마해녀 몽니와 해녀특공대 2016 T
감성애니 하루 2016 T


미상

정보가 확인되면 위쪽으로 올려주시기 바랍니다.

각주

  1. 본방영은 2015년에 했지만 2014년에 선행 방영을 한 적이 있다.
  2. 2.0 2.1 프리티 리듬 시리즈
  3. 본방영은 2015년이지만 2014년에 스페셜 방영을 한 적이 있다.
  4. 본방영은 2016년에 했지만 2015년에 선행 방영을 한 적이 있다.

2016년 목록

2016년에 나오는 한국 애니는 아래와 같다.


한애니에 관한 FAQ

한애니를 접하기 위한 몇 가지 방법

혹시 이 문서를 보고 한애니를 볼 생각이 들었다면, 2012년한애갤 개념글로 올라온 개의 을 읽으면 도움이 될 것이다. 이 글에는 나와 있지 않지만 네이버 TV캐스트, 네이버 N스토어, 판도라TV의 키즈관과 애니관, JBOX[1], 이미디오로도 한애니를 볼 수 있다. 또한 KBS 1TV(KBS STAR), SBS(SBS U)의 애니메이션, MBC(MY MBC)의 텔레몬스터DMB로 동시방송해주고 있으니 집 밖에 있는 상황이라면 이 점 참고해두자. 하지만 KBS 2TV(KBS HEART), 텔레몬스터 이외의 MBC(MY MBC) 애니메이션은 DMB 동시방송을 안하고 다른 프로그램을 방송하고 있으니 주의하자.

그리고 SBS에서 접속! 애니월드라는 이름으로 인디작품을 정기적으로 편성하고 있으며, KBS독립영화관에서도 종종 애니메이션을 편성해준다.

고연령층 한애니가 나오지 않는 이유

한 마디로 말하자면 수익 내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저연령층 애니가 완구 같은 관련 상품을 통해서 수익을 내기가 더 쉽기 때문이다. 고연령층 한애니가 왜 없냐고 징징대지 말고 한애니의 새로운 수익 모델에 대해 한번 생각해보자.

한애니를 위해 우리가 할 수 있는 것은?

  • 합법적인 방법으로 한애니를 본다. 위의 문단에서 설명한대로 본방사수, 예약녹화, VOD, 동영상 사이트에 공식으로 업로드된 영상 등등이 있다. 가장 당연한 방법이다.
  • 완구 등 관련 상품을 산다. 이러한 부수익이 애니메이션의 가장 큰 돈줄이다.
  • 리브레 위키에 한애니 관련 항목을 기여해서 한애니를 널리 알린다. 위키질이 곧 영업질이다. 추천하고 싶은 한애니가 있다면 애니 지침서 항목을 활용하자.

관련 항목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