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성원자력본부: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분류:원자력 발전소 == 개요 == 경상북도 경주시에 위치한 원자력 발전소. 월성 1호기 준공 당시 행정구역을 따서 '월성'이라고...)
 
62번째 줄: 62번째 줄:
|}
|}


월성원자력본부의 확장의 일환으로 건설된 원자력 발전소. 다른 본부와는 다르게 신 1·2호기 이후로 신설 소식이 없다.
월성원자력본부의 확장의 일환으로 건설된 원자력 발전소. CANDU와 한국표준형원전이 대결하여 한국형 원전이 선택받았다. 한때는 CANDU가 선택될 것이라는 소문이 팽배했다.[http://www.ekn.kr/news/article.html?no=446] 다른 본부와는 다르게 신 1·2호기 이후로 신설 소식이 없다.
 
=== 월성 원자력 환경관리센터 ===
=== 월성 원자력 환경관리센터 ===
{{참조|월성 원자력 환경관리센터}}
{{참조|월성 원자력 환경관리센터}}

2016년 6월 26일 (일) 20:53 판

개요

경상북도 경주시에 위치한 원자력 발전소. 월성 1호기 준공 당시 행정구역을 따서 '월성'이라고 이름 붙혔다.

역사

시설

월성원자력발전소

月城原子力發電所 / Wolsong Nuclear Power Plant

노형 설계 출력 발전 개시 면허 만료 비고
월성 1호기 AECL CANDU 678MW 1983년 4월 22일 2023년 4월 2015년 수명 연장 (10년)
월성 2호기 700MW 1997년 7월 1일 2037년 7월
월성 3호기 1998년 7월 1일 2038년 7월
월성 4호기 1999년 10월 1일 2038년 10월

캐나다에서 만든 가압수형 중수로CANDU를 도입하였다. 중수로의 부산물인 삼중수소를 분리하여 의료용으로 판매하고 있다.

신월성원자력발전소

新月城原子力發電所 / Shin Wolsong Nuclear Power Plant

노형 설계 출력 발전 개시 면허 만료 비고
신월성 1호기 두산중공업 OPR-1000 1000MW 2012년 7월 31일 2052년 7월
신월성 2호기 2015년 7월 24일 2055년 7월

월성원자력본부의 확장의 일환으로 건설된 원자력 발전소. CANDU와 한국표준형원전이 대결하여 한국형 원전이 선택받았다. 한때는 CANDU가 선택될 것이라는 소문이 팽배했다.[1] 다른 본부와는 다르게 신 1·2호기 이후로 신설 소식이 없다.

월성 원자력 환경관리센터

논란

  • 월성 1호기 수명연장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