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어/문법

들어가기 전에[편집 | 원본 편집]

이 항목은 독일어 문법을 다루는 문서이다. 독일어 문법은 영어와 다르게 명사에 그 성(남성, 여성, 중성), 격(1격, 2격, 3격, 4격)이 있으며 동사와 형용사 그리고 기타 문법적 요소가 여기에 맞춰서 돌아간다. 일단 처음부터 명사의 성과 격에 대해 익숙해져야 하며, 또 그에 따른 동사변화에도 능숙해져야 어느 정도 독일어 문장을 만들 수 있다고 볼 수 있다.
이게 쉽지 않다는 게 문제지만.. 그러니 전공자 여러분의 많은 참여 부탁드립니다

명사(das Nomen)[편집 | 원본 편집]

독일어의 명사는 일단 무조건 대문자로 시작한다. 그리고 성(性)과 격을 가지고 있다는 게 큰 특징이다.

성과 격[편집 | 원본 편집]

독일어는 먼저 명사마다 자신의 성(性)을 가지고 있다. 말 그대로 독일어 명사는 남성(Maskulinum, m.), 여성(Femininum, f.), 중성(Neutrum, n.) 이 셋 중 하나의 성을 가진다. 보통 독일어의 성은 관습적으로 명사에 붙인 것인데, 그러다 보니 Mädchen라는 단어가 소녀라는 뜻을 가짐에도 '중성'의 성을 가지는데 놀랄 수 있을 것이다.
다시 말하지만 독일어의 성은 문법적인 성이기 때문에 그냥 단어를 외울 때 성과 같이 외워 주는 것이 정신건강에 편하다.

그리고 독일어 명사는 네 가지 격을 가지고 있다. 이는 아래와 같다.

원어 약자 약칭 기능
주격 Nominativ Nom. 또는 N. 1격 ~는 주어나 보어의 역할을 한다. 주로 주어로 쓰임.
소유격 Genitiv Gen. 또는 G. 2격 ~의 소유격이나 동사, 그리고 2격 전치사의 2격 목적어, 2격 보충어로 사용
여격 Dativ Dat. 또는 D. 3격 ~에게 동사, 전치사의 3격 목적어, 3격 보충어로 쓰임
목적격 Akkusativ Akk. 또는 A. 4격 ~을 동사, 전치사의 4격 목적어, 4격 보충어로 쓰임

(표 출처: 안사균, 최신 독일어, 2007, 문예림, p.19)

여격은 상술 하였지만 ~에게의 의미이며 일종의 간접 목적어 같은 개념이다.

독일어는 이런 성과 격 그리고 후에 서술할 '수'에 따라 그 문법적인 특징이 확연하게 변하므로 이를 잘 숙지 할 필요가 있다.

부정관사와 정관사[편집 | 원본 편집]

독일어의 관사는 명사의 특성에 따라 변화한다. 즉 성과 격 그리고 수에 따라서 그 관사의 모습이 달라지는데 관사의 변화는 아래와 같다.
정관사(Bestimmten Artikel)의 변화

남성 여성 중성 복수
1격 der die das die
2격 des der des der
3격 dem der dem den
4격 den die das die


부정관사(Unbestimmten Artikel)의 변화

남성 여성 중성
1격 ein eine ein
2격 eines einer eines
3격 einem einer einem
4격 einen eine ein

명사의 변화[편집 | 원본 편집]

영어와 달리 독일어의 명사는 격과 수에 따라 그 형태가 변한다. 기본적으로 독일어 명사 변화는 다음과 같은 종류가 있다.

1.강변화(강변화는 다시 강변화 1, 2, 3식으로 변한다.)
2.약변화.
3.혼합변화.
여기서 여성명사가 단수로 쓰일 경우에는 변화가 없다.

강변화 1식(Starke Deklination 1)[편집 | 원본 편집]

강변화 1식의 공식은 단수 2격에 -s를 복수 3격에 -n을 붙이는 것이다.

단수 복수
1. 변화없음 복수 변화 외엔 변화 없음
2. -s 복수 변화 외엔 변화 없음
3. 변화없음 복수 변화 후 -n
4. 변화없음 복수 변화 외엔 변화 없음

강변화 1식의 대상은은 -el로 끝난 명사의 99%, -er로 끝난 명사의 99%, -en으로 끝난 명사 전체, -Ge....e로 된 '중성' 명사 전체, 마지막으로 아래서 설명된 축소명사 전체다.

예문.

Die Töchter des Sängers sind jung und hübsch.

그 가수의 딸들은 젊고 예쁘다 (예문 출처: 안사균, 최신 독일어, 문예림, 2007, p.45)

강변화 2식(Starke Deklination 2)[편집 | 원본 편집]

강변화 2식은 단수 2, 3격에서 각각 -(e)s, -(e)를 붙이거나 복수 3격을 제외한 1, 2, 4 격에는 -e 그리고 3격에는 -en을 붙이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서 -(e)는 e를 붙일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하..

아래 표에선 복수변화(움라우트 추가)는 생략한다.

단수 복수
1. 변화없음 -n
2. -(e)s -n
3. -(e) -en
4. 변화없음 -n

-e같은 경우, 일반적으로는 -e를 붙임으로 발음이 편할 때 붙이나 일반적인 공식은 -s, -sch, -tsch, -z로 끝난 명사는 2격에서 -es를 붙인다. 하지만 3격에서 -e를 붙이는 것은 자유다.
1음절의 명사는 대개 2격에 -es를 붙이고 3격은 자유다.

그런데 여기서 -ß로 끝난 명사는 변화법이 다시 두 가지로 나뉘는데 장난하냐 만약 단모음+ß일 경우에는 ß를 -ss로 나누고 붙이고, 장모음+ß일 경우에는 ß를 그대로 두고 어미를 붙인다.

대개 강변화 2식은 1음절의 남성명사의 95%쯤, 여성명사(약 30개), 중성명사(약 60개), -ich, -ig, -ing, -ling으로 끝난 남성 명사 전부, -nis, -sal로 끝난 여성명사와 중성명사 전부가 이에 해당된다.

Die Freunde des Brunders lesen die Briefe. 형의 친구들이 편지들을 읽고 있다. (예문 출처: 안사균, 최신 독일어, 문예림, 2007, p.49)

강변화 3식(Starke Deklination 3)[편집 | 원본 편집]

강변화 3식은 단수 2격에 -(e)s, 3격에 -(e)를 붙이고, 복수 1, 2, 4격에는 -er을 3격에는 -ern을 붙이는 것을 의미한다. 강변화 3식에서 복수 변화는 전부 움라우트를 붙인다.

아래 표에서는 복수 움라우트 표기를 생략한다.

단수 복수
1. 변화없음 -er
2. -(e)s -er
3. -(e) -ern
4. 변화없음 -er

강변화 3식은 1음절의 중성명사 대부분, 남성명사 8개, -tum으로 끝나는 명사 전체에 해당하며 여성명사는 강변화 3식으로 변화하지 않는다.

약변화(Schwache Deklination)[편집 | 원본 편집]

혼합변화(Gemischte Deklination)[편집 | 원본 편집]

불규칙 변화[편집 | 원본 편집]

혼합 명사[편집 | 원본 편집]

인칭대명사[편집 | 원본 편집]

1인칭 2인칭 존칭 3인칭
단수 복수 단수 복수 - 남성 중성 여성 복수
1격 (N.) ich wir du ihr Sie er es sie sie
2격 (G.) mein unser dein euer Ihr sein sein ihr ihr
3격 (D.) mir uns dir euch Ihnen ihm ihm ihr ihnen
4격 (A.) mich uns dich euch Sie ihn sie es sie
재귀대명사 mich uns dich euch sich sich sich sich sich

존칭에는 단/복수 구분이 없다.

소유대명사[편집 | 원본 편집]

1인칭 2인칭 존칭 3인칭
단수 복수 단수 복수 - 남성 중성 여성 복수
소유격 mein unser dein euer Ihr sein sein ihr ihr

위 인칭대명사 2격과의 차이는, 인칭대명사 2격은 한국어 이름만 '소유격'이지, 어디까지나 문법적인 요소인 데 반해, 소유대명사는 실제로 '소유'의 의미를 갖고 있다는 점이 첫 번째다. 다음으로, 소유대명사는 뒤에 오는 명사에 따라 어미가 변화한다는 점이다. 여기서 어미 변화는 (부정관사를 붙이지 않는 복수를 제외하면) 부정관사의 어미변화와 같다. Mein을 예로 들면 다음과 같다.

남성 중성 여성 복수
1격 (N.) mein mein meine meine
2격 (G.) meines meines meiner meiner
3격 (D.) meinem meinem meiner meine
4격 (A.) meinen mein meine meine

축소명사(Diminutiv)[편집 | 원본 편집]

명사 뒤에 -chen, -lein이 붙으면 [작은 것], [사랑스러운 것]이라는 의미가 붙는다. 이런 명사들을 '축소명사'라 하며 모두 중성이며 명사 변화는 강변화 1식을 한다.

축소명사에서 원형의 a, o, u는 보통 움라우트를 받는다.

또한 명사가 모음 또는 -m, -n, -l, -r, -d로 끝날 경우에는 뒤에 -chen이 그 외에는 -lein을 붙인다. 마지막으로 축소명사는 복수 3격에 -n을 붙이지 아니한다. 아래는 예문이다.

동사[편집 | 원본 편집]

독일어 동사의 원형은 어간+어미 en의 형식을 취한다. 여기서 어미 en이 주어의 성격에 따라 바뀌는 게 동사변화의 특징이다. 이게 간단하면 좋겠지만..

동사 변화[편집 | 원본 편집]

지옥에 온 걸 환영한다

sein, haben, werden 동사 변형[편집 | 원본 편집]

sein 동사는 영어의 be 동사에 해당 된다. be동사가 주어의 특성에 따라 변하듯이 sein동사도 주어의 특성에 따라 변한다.
haben 동사는 영어의 have에 해당 된다, 영어와 다르게 3인칭 단수에서 has로만 변하는 것이 아니라 그 인칭에 따라 모두 형태가 다르다.
마지막으로 werden 동사는 영어의 become에 해당되는데 주어의 인칭에 따라 모두 형태가 다르다. 결국 외워야 한다

sein 동사의 변화표

ich bin I
du bist you
er/es/sie ist he/it/she
wir sind we
ihr seid
sie/Sie sind they

werden 동사의 변화표

ich werde I
du wirst you
er/es/sie wird he/it/she
wir werden we
ihr werdet
sie/Sie werden they

haben 동사의 변화표

ich habe I
du hast you
er/es/sie hat he/it/she
wir haben we
ihr habt
sie/Sie haben they

동사의 현재 인칭 변화[편집 | 원본 편집]

분리동사(Trennbare Verben)[편집 | 원본 편집]

독어에는 분리전철이란 생소한 개념이 있다. 간단히 말하자면 동사의 머리를 떼다가 문장 맨 뒤에 갖다 붙이는 것이다. 왜? 이곳진지한 설명을 인용하면 다음과 같다.

1. 동사의 어간 앞에 붙어 그 동사의 의미를 다른 뜻으로 변화시키는 접두어를 전철(前綴, Präfix)이라고 한다. 
[중략]
3. 어간과 분리되어 그 문장의 맨 뒤쪽으로(후치) 옮겨가는 등 본래의 자리에서 벗어 날 수 있는 전철을 분리전철이라고 하며, 그러한 동사를 분리동사라 한다.
[후략]

예를 들면 anschauen이란 분리동사가 있다. 보통의 동사라면 뒤의 en부분 정도만 바뀌고 끝나겠지만, 이 녀석은 분리동사이므로 an을 문장 뒤에 위치시켜야 한다. 이렇게. "Ich schaue mir den Liebesfilm im Fernsehen an."[1]

시제변화[편집 | 원본 편집]

과거[편집 | 원본 편집]

규칙 동사는 동사 어간Verbstamm[2] + t + 인칭 어미Personalendung

haben
ich hatte
du hattest
er/es/sie hatte
wir hatten
ihr hattet
sie/Sie hatten

과거분사[편집 | 원본 편집]

기본적으로 동사 앞에 ge-를 붙이고 동사 뒤에 있는 en을 떼고 t를 붙이는 형식으로 만들어진다. 당연하지만, 불규칙도 꽤나 많다. 그리고 과거분사를 사용할 때는 haben이나 sein동사가 꼭 같이 쓰여야 한다.

Ich habe meine Hausaufgaben gemacht.

조동사[편집 | 원본 편집]

독일어에도 물론 조동사가 존재한다. 조동사가 오면 동사는 원형으로 온다. 당연히 조동사들도 인칭에 따라 변화한다. 주의해야 할 점은 조동사가 오면 동사는 문장의 끝으로 도치된다는 점이다. 익숙한 영어와는 다른 부분이므로 주의해야 한다.

예: Ich esse zu Mittag. (나는 점심을 먹는다.)
-> Ich will zu Mittag essen. (나는 점심을 먹을 것이다.)

형용사[편집 | 원본 편집]

영어에서 형용사는 별다른 변화를 하지 않으나 독일어에서는 다시 또 명사와 같이 변화를 한다. 형용사는 서술어일 때는 원급/비교급/최상급에 따라서만 변화하지만, 명사를 수식하면 원급/비교급/최상급, 명사의 성 (단수 한정), 수, 격, 관사의 유무와 종류에 따라 변화한다.

각주

  1. 직역: 나는 내게 TV로 사랑 영화를 보여준다. 의역: 나는 TV로 사랑 영화를 본다.
  2.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