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은코뿔소 | |
---|---|
![]() 남서부검은코뿔소, 나미비아 에토샤 국립공원 |
|
학명 | |
Ceratotherium simum Linnaeus, 1758 |
|
생물 분류 | |
계 | 동물계(Animalia) |
문 | 척삭동물문(Chordata) |
강 | 포유강(Mammalia) |
목 | 말목(Perissodactyla) |
과 | 코뿔소과(Rhinocerotidae) |
속 | 검은코뿔소속(Diceros) |
종 | 검은코뿔소(D. bicornis) |
아종 |
동부검은코뿔소(D. b. michaeli) 중남부검은코뿔소(D. b. minor) 남서부검은코뿔소(D. b. bicornis) †남부검은코뿔소(D. b. bicornis) †서부검은코뿔소(D. b. longipes) |
보전 상태 | |
![]() |
![]() |
검은코뿔소(Black rhinoceros)는 코뿔소과에 속하는 5종의 코뿔소 중 하나로, 흰코뿔소와 함께 아프리카에 서식하는 2종류의 코뿔소 중 하나이다.
몸길이는 약 3m, 몸높이는 1.5m 정도이다. 코 부분의 뿔은 두 개가 있으며 앞뿔은 최대 130cm, 뒷뿔은 최대 60cm까지 이른다. 흰코뿔소의 윗입술이 가로로 넓적하고 평평하게 되어 있는 데 반해 검은코뿔소의 입술은 끝이 가늘어져 있어 나뭇가지를 끌어당겨서 먹는 데에 알맞다. 주식은 아카시아이며, 풀과 나뭇잎, 과일도 먹는다. 대부분 단독으로 생활하며 위협을 받을 때에는 시속 50km로 달릴 수 있다. 임신 개월은 약 15개월이며, 시각은 감퇴했으나 후각과 청각은 매우 예민하다. 공격성은 여타 코뿔소들보다 적은 편이지만 자극하면 공격한다.
이름은 영명을 따서 검은코뿔소라고 명명되었으나, 사실 검은코뿔소의 피부는 검은색보다는 암회색에 가깝다. 이름은 흰코뿔소와 구분하기 위해서 정해졌다. 하지만 두 종의 색깔은 주요 구분요소가 아니다. 흰코뿔소의 '흰'을 뜻하는 White는 네덜란드어로 '넓은'이라는 뜻을 가진 'Wijd'가 와전된 것으로, 검은코뿔소와 흰코뿔소와의 피부 색상차는 거의 없다시피하다. 다만 검은코뿔소 쪽이 조금 더 검은색으로 보인다.
코뿔소 중 가장 서식수가 많은 종류이지만, 밀렵에 의한 감소는 제일 심각하다. 국제자연보호연맹은 2006년 7월 7일 검은코뿔소의 아종인 서부검은코뿔소(Diceros bicornis longipes)가 멸종되었음을 선언하였다. 현재 검은코뿔소 3600마리가 야생에서 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