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PAS-5: 두 판 사이의 차이

(자동 찾아 바꾸기: 「는것」(을)를 「는 것」(으)로)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분류:광학장비]] [[분류:상증폭식 야간투시장비]]
[[분류:광학장비]]  


[[파일:SU-49(1).png]]
[[파일:SU-49(1).png]]
12번째 줄: 12번째 줄:
| 명칭 || SU-49, AN/PAS-5, T-7
| 명칭 || SU-49, AN/PAS-5, T-7
|-
|-
| 야간투시경 세대 || 1세대
| 야간투시경 세대 || 0세대
|-
|-
| 배율 || 1 배율
| 배율 || 1 배율
28번째 줄: 28번째 줄:


= 설명 =
= 설명 =
해당 야간투시경은 SU-50 야간투시경이 사용되기 전까지 MACV-SOG에서 사용하였다. AN/PAS-5의 기술교범이 작성된게 1969년 5월인것과 1987년 2월 11일자 (Volume 15, Number 18) Flightfax에선 1969년에 고글형 야간투시경을 사용했다는 언급을 보아 1969년도쯤에 미군에서 채택한 것으로 보인다. 교범에선 강한 빛을 야간투시경에 가까이 하지 말고 덮개를 씌우라는 언급이 있는데다가 1971년자 미 국방위원회 청문회에서 AN/PAS-5 야간투시경이 1세대 장비라는 언급이 있는 것으로 보아 1세대가 확실하다.
해당 야간투시경은 SU-50 야간투시경이 사용되기 전까지 MACV-SOG에서 사용하였다. AN/PAS-5의 기술교범이 작성된게 1969년 5월인것과 1987년 2월 11일자 (Volume 15, Number 18) Flightfax에선 1969년에 고글형 야간투시경을 사용했다는 언급을 보아 1969년도쯤에 미군에서 채택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AN/PAS-3의 대체장비이기도 한데 AN/PAS-3는 양안형 0세대 상변환 장비로, 비가시 조명을 조사해서 사용한다. 사용 목적은 비가시 조명을 이용한 야간 차량운전이나 정찰 등이 있다.
또한 AN/PAS-3의 대체장비이기도 한데 AN/PAS-3는 양안형 0세대 상변환 장비로, 비가시 조명을 조사해서 사용한다. 사용 목적은 비가시 조명을 이용한 야간 차량운전이나 정찰 등이 있다.

2021년 4월 4일 (일) 19:51 판


SU-49(1).png

AN/PAS-5 야간투시경 조립체와(왼쪽) 케이스, 기타 부품들의 모습.

개요

목록 설명
명칭 SU-49, AN/PAS-5, T-7
야간투시경 세대 0세대
배율 1 배율
시야각 26도
중량 (케이스 제외, 헤드마운트 포함) 19 온스 (538 g)
전원 1.3 볼트 수은전지 (40시간 연속 작동)

여러 문서에 따르면 이 야간투시경의 명칭은 SU-49, AN/PAS-5, T-7으로 혼용 표기하는데 해당 문서에선 제목과 이하 내용을 AN/PAS-5로 통일한다.

AN/PAS-5 야간투시경은 베트남전 당시 사용된 수동형 및 양안형 야간투시경이다. AN/PAS-3 야간투시경을 대체한 야간투시경인데 저광량 환경하에서 적의 비가시 광원을 감지하거나 비가시 조명을 이용한 차량운전, 독도(讀圖) 등등의 목적으로 사용한다.

설명

해당 야간투시경은 SU-50 야간투시경이 사용되기 전까지 MACV-SOG에서 사용하였다. AN/PAS-5의 기술교범이 작성된게 1969년 5월인것과 1987년 2월 11일자 (Volume 15, Number 18) Flightfax에선 1969년에 고글형 야간투시경을 사용했다는 언급을 보아 1969년도쯤에 미군에서 채택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AN/PAS-3의 대체장비이기도 한데 AN/PAS-3는 양안형 0세대 상변환 장비로, 비가시 조명을 조사해서 사용한다. 사용 목적은 비가시 조명을 이용한 야간 차량운전이나 정찰 등이 있다.

기타 사항으로 Southeast Asia Night Operations - Operational Evaluations (가칭)에 보면 l-F-3 페이지에 T-7A라는 이름이 언급되는걸로 보아 T-7B, C(가칭)와 같은 파생형 장비가 존재할지도 모른다.

민간 판매광고 영상


해당 야간투시경은 민간에서도 판매된것으로 보이며 미국과 군사적으로 밀접한 관계를 맺고있는 이스라엘 또한 이 야간투시경을 생산하였다.

연관 문서

출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