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동읍성


하동읍성
하동읍성.jpg
건축물 정보
주소 경상남도 하동군 고전면 고하리 산151번지 외
대지면적 165,461 m2
문화재 정보
종목 사적 제453호
지정일 2004년 5월 31일
하동읍성 다음 항공뷰

개요[편집 | 원본 편집]

하동읍성은 조선 태종 17년(1417)에 축성된 조선전기의 전형적인 연해읍성[1]의 하나로서, 과거 사용하다 옮긴 읍성이라는 의미로 고현성(古縣城)이라고도 한다.

이 읍성은 해발 149m의 양경산 남쪽 자락에 포곡식 산성의 형태로 자리하고 있으며 보통 평산성 형태로 지어진 다른 읍성과 달리 완전히 산성의 형식을 갖춘 특이한 양식으로 다른 읍성과 비교된다 할 수 있다.(완전 산성에 가까운 읍성은 이외에 고창읍성 정도가 있다) 또한 이 읍성은 축성시기상 세종시기 축성법을 규정한 축성신도 이전에 먼저 세워진 성이라 이후의 축성 방식과 이전 축조 방식을 비교할 수 있는 자료이기도 하다.

역사[편집 | 원본 편집]

하동읍성이 위치한 고전면 고하리는 삼한시대의 변한 12국 중 낙노국(樂奴國)에 속한다고 추정하고 있으며, 초기 삼국시대에는 가야에 속하여 섬진강 인근에 자리한 위치상 가야와 백제가 치열한 공방전을 벌인 곳이기도 하다. 이후 가야가 멸망하고 백제의 세력권에 들면서 다사성(多沙城)이라 하였으며, 신라 통일 후 한다사군(韓多沙郡)이라 하여 읍치를 현 고하면 일대에 둔 이래 고려, 조선조에 걸쳐 하동군의 중심지였다.

그러나 1593년 임진왜란 당시 가토 기요마사에 의해 성이 함락되어 객사, 관아, 향교 등이 불타버려 1661년에 현재의 횡천면 일대로로 관아를 이전하였다가 1667년에 다시 성내로 관아를 옮겨왔으나 얼마 사용하지 못하고 다시 1703년 현재의 하동읍 자리(하동군청 인근)으로 읍치를 옮기게 되었다.

기타[편집 | 원본 편집]

신증동국여지승람의 기록에 의하면 성 둘레는 1,019척, 높이 13척으로 성안에 우물 5개, 연못 1개가 있었다고 하며 조선왕조실록에는 여장의 높이가 3척, 적대가 11개, 원아축 4문, 옹성이 3개로 성은 높으나 협소하여 전시에 방비하기가 힘들다고 적고 있다.

문종실록의 기록을 보면 성 둘레가 2,943척, 높이가 평지는 8척, 높고 험한 곳은 7척이며, 여장의 높이는 3척이고, 적대가 11개소로 이미 쌓은 것이 4개소이며, 문이 3개소에 옹성이 있고, 여장이 588개이고, 성안에 샘이 5개소, 못이 1개소, 해자는 아직 설치되지 않은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현재 남아있는 성벽의 둘레는 1,400m이고, 폭 4.5m이며, 잔존 최고높이는 5.2m 정도의 규모이고, 동·서·남쪽 체성 중간에는 옹성을 두른 문지와 그 좌우 및 성 모퉁이에 사각형의 치성을 배치하고 체성 바깥에는 다시 해자를 두었으며[2], 해자 안쪽에 해자와 나란하게 일종의 방어벽인 양마장을 두른 구조로 되어 있다. 참고로 이 양마장이라는 것은 성벽과는 별도로 성벽 밖에 쌓은 낮은 담장으로 본래 중국식 축성식에 해당하는 시설이며 현재 우리나라에서 그 실체가 확인된 곳은 이 하동읍성이 유일하다.

조선 초기부터 임진왜란기까지 성을 여러번 고쳐쌓거나 새로 쌓은 구간이 있어 성곽 축조 양식의 변화를 알아보기 좋은 자료이다.

복원 문제[편집 | 원본 편집]

읍성의 터가 잘 남아있고 사료적 가치가 커서 하동군에서는 2002~2004년에 걸쳐 시굴조사를 시행하고 2005년에 기본계획 용역을 세워놓고 2015년까지 복원을 완료한다는 계획을 세워놓았었다. 그러나 예산문제 등으로 사업기간이 2020년으로 한번 연장된 상황인데 2016년 현재 복원 공정률은 기껏해야 30%수준에 그치고 있어 2020년이 아니라 2030년이 되어도 복원이 완료되지 못하는 것 아니냐는 소리가 있을 정도이다. 실제 하동군 문서에도 나와있듯이 군 재정상태가 넉넉하지 않은 정도가 아니라 파산 직전까지 몰렸었던 상황이라 예산 투입을 쉽게 하기 어려운 상황이 이어질 것으로 보이며, 이런 이유로 2019년 현재에도 남문 일대의 성벽 일부만 복원되었을 뿐 나머지 복원 공사는 진척이 거의 되지 않는 수준이다.

각주

  1. 해안가에 위치한 읍성
  2. 문종 이후에 해자를 설치한 것으로 추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