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래닛 주/동물/습지 동물 팩: 두 판 사이의 차이

(자동 찾아 바꾸기: 「여러가지」(을)를 「여러 가지」(으)로)
태그: 되돌려진 기여
(자동 찾아 바꾸기: 「수 밖에」(을)를 「수밖에」(으)로)
태그: 되돌려진 기여
1번째 줄: 1번째 줄:
{{안내문|[[플래닛 주]]의 습지 동물 팩에 나오는 서식지 동물들과 전시장 동물의 정보를 모아 놓은 문서입니다.}}
  {{안내문|[[플래닛 주]]의 습지 동물 팩에 나오는 서식지 동물들과 전시장 동물의 정보를 모아 놓은 문서입니다.}}
== 카피바라 ==
== 카피바라 ==
{{플래닛 주/동물
{{플래닛 주/동물
90번째 줄: 90번째 줄:
{{플래닛 주/동물/상세 정보
{{플래닛 주/동물/상세 정보
| 배경색=#009B9B
| 배경색=#009B9B
| 사회성 요구 상황=작은발톱수달은 사회성과 지능이 아주 높은 동물로, 약 15마리의 개체가 가족을 이루고 생활합니다. 지배적인 한 쌍의 암수를 중심으로 태어난 여러 명의 자손들이 가족의 우두머리 역할을 합니다. 무리가 너무 커지거나 암수 중 어느 한 우두머리가 사망하면 가족이 해체됩니다. 이 경우에 기존에 꾸러진 가족 무리를 떠날 수 밖에 없는 구성원은 혈연관계가 없는 개체들과 다시 새로운 번식 무리를 형성하려 합니다.
| 사회성 요구 상황=작은발톱수달은 사회성과 지능이 아주 높은 동물로, 약 15마리의 개체가 가족을 이루고 생활합니다. 지배적인 한 쌍의 암수를 중심으로 태어난 여러 명의 자손들이 가족의 우두머리 역할을 합니다. 무리가 너무 커지거나 암수 중 어느 한 우두머리가 사망하면 가족이 해체됩니다. 이 경우에 기존에 꾸러진 가족 무리를 떠날 수밖에 없는 구성원은 혈연관계가 없는 개체들과 다시 새로운 번식 무리를 형성하려 합니다.
| 번식=가족 무리의 지배적인 암컷이 발정기에 들어서면 지배적인 수컷과 함께 시간을 보내고 코를 비비며 유대감을 형성합니다. 이렇게 맺어진 암수는 암컷의 가임 기간 동안 여러 차례 짝짓기를 합니다. 짝짓기는 암수 어느 쪽이든 시작할 수 있으며 대략 5~25분 동안 이어집니다.<br /><br />작은발톱수달의 임신 기간은 68~74일 사이이며 이후 한배에 새끼를 1~6마리, 평균 2마리 정도의 새끼를 낳습니다. 새끼는 앞이 안 보이는 상태로 태어나 생후 1~1.5개월에 눈을 뜨고 스스로의 힘으로 돌아다니기 시작합니다. 그리고 보통 생후 2개월에 굴을 떠나 처음으로 헤엄을 치게 됩니다. 생후 4개월이 되면 젖을 떼기 시작하며 생후 8개월이 되면 완전히 젖을 뗍니다. 젖떼기가 시작되기 1~2개월 전부터 고체 형태 음식을 먹는 새끼들도 있습니다. 작은발톱수달은 1살 반~2살이 되는 시기에 성적으로 성숙한 상태가 되지만, 번식하지 않고 가족 무리에 남아 형제들의 육아를 돕습니다. 현재 가족 무리가 너무 커지거나 지배적인 암수 한 쌍 중 우두머리 한 마리가 사망하여 해체되면 혈연관계가 아닌 개체들이 모여 새로운 가족을 꾸립니다.
| 번식=가족 무리의 지배적인 암컷이 발정기에 들어서면 지배적인 수컷과 함께 시간을 보내고 코를 비비며 유대감을 형성합니다. 이렇게 맺어진 암수는 암컷의 가임 기간 동안 여러 차례 짝짓기를 합니다. 짝짓기는 암수 어느 쪽이든 시작할 수 있으며 대략 5~25분 동안 이어집니다.<br /><br />작은발톱수달의 임신 기간은 68~74일 사이이며 이후 한배에 새끼를 1~6마리, 평균 2마리 정도의 새끼를 낳습니다. 새끼는 앞이 안 보이는 상태로 태어나 생후 1~1.5개월에 눈을 뜨고 스스로의 힘으로 돌아다니기 시작합니다. 그리고 보통 생후 2개월에 굴을 떠나 처음으로 헤엄을 치게 됩니다. 생후 4개월이 되면 젖을 떼기 시작하며 생후 8개월이 되면 완전히 젖을 뗍니다. 젖떼기가 시작되기 1~2개월 전부터 고체 형태 음식을 먹는 새끼들도 있습니다. 작은발톱수달은 1살 반~2살이 되는 시기에 성적으로 성숙한 상태가 되지만, 번식하지 않고 가족 무리에 남아 형제들의 육아를 돕습니다. 현재 가족 무리가 너무 커지거나 지배적인 암수 한 쌍 중 우두머리 한 마리가 사망하여 해체되면 혈연관계가 아닌 개체들이 모여 새로운 가족을 꾸립니다.
| 무리 규모=2~16
| 무리 규모=2~16

2024년 4월 11일 (목) 17:35 판

카피바라

카피바라
Hydrochoerus hydrochaeris
PlanetZoo Zoopedia Capybara.jpg
관심대상
야생 개체 수: 알 수 없음
출신지 최소 서식지 요구 상황
대륙 남아메리카 울타리 강도 2등급, 1.25m 이상
지역 베네수엘라, 콜롬비아, 페루, 볼리비아, 브라질,
아르헨티나, 가이아나, 에콰도르, 파라과이,
우루과이, 수리남, 프랑스령 기아나
육지 면적 285 ㎡
물가 면적 70 ㎡
등반 높이 0 ㎡
생물군계 수생, 초원, 열대 수심 0 ㎡
온도 13~42 ℃
포유강 - 쥐목 - 천축서과 - 카피바라속

기초 정보
카피바라(Hydrochoerus hydrochaeris)는 세계에서 가장 큰 설치류이며 남아메리카의 사바나와 숲, 습지 전역에 서식합니다. 카피바라는 원통형의 거대한 몸집과 거친 갈색 털을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반수생 동물이기에 부분적으로 물갈퀴가 자라난 발과 흔적 기관으로 남은 짧은 꼬리, 길쭉한 얼굴에 작은 귀가 특징입니다. 일반적인 카피바라는 키가 50cm~62cm에 몸길이는 106cm~134cm입니다. 암수의 크기는 비슷하지만, 암컷의 평균 무게는 61kg, 수컷은 50kg으로 보통 암컷이 좀 더 무거운 편입니다.

카피바라는 멸종 위기종이 아닙니다. 개체 수가 안정적이고 널리 분포되어 있어 최소 관심종으로 분류됩니다. 그렇지만 모피와 가죽, 고기를 목적으로 사냥당하는 탓에 카피바라 개체 수가 줄고 있는 지역도 있습니다. 어떤 지역에서는 고기 판매를 목적으로 카피바라를 가축으로 키우기도 합니다.

상세 정보
사회성 요구 상황카피바라는 매우 사회적인 동물이며, 보통 10~20마리가 무리를 지어 생활합니다. 어떤 무리는 100마리까지도 모여서 생활합니다. 혼자 사는 개체도 있으나, 이는 매우 희귀한 경우에 속합니다. 한 무리에는 보통 수컷보다 암컷의 수가 두 배 더 많은 습성을 보입니다.
번식카피바라의 거대한 무리 안에서 수컷은 지배 계층을 이루는데, 무리에서 가장 무거운 수컷이 가장 강한 지배력을 갖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지배적인 수컷은 짝을 독점하려 하지만 성공하는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 하지만 피지배층 수컷이 확보하는 짝의 수는 비교적 적은 편이며, 지배 계층의 바닥으로 내려갈수록 확보할 수 있는 짝의 수가 적어집니다. 수컷은 발정기에 접어든 암컷을 가까이에서 따라다니며, 경쟁자가 생길 경우 지배적 과시 행동을 보이면서 싸움을 통해 쫓아냅니다. 카피비라는 짝짓기는 주로 물에서 하고, 수컷이 암컷 위에 올라타는 자세를 취합니다. 암컷은 짝짓기가 내키지 않으면 물속으로 잠수하거나 수컷을 떨쳐냅니다.

짝짓기에 성공한 후에는 130~150일 정도의 임신 기간을 가집니다. 암컷은 한배에 새끼를 1~8마리, 평균 4마리씩 낳습니다. 카피바라는 동종 부모 습성이 있어 어미 하나가 아닌 여러 암컷이 함께 한 마리의 새끼를 돌봅니다. 생후 3~4개월에 접어든 새끼는 젖을 떼기 시작합니다. 여러 암컷이 낳은 다양한 새끼들은 1살이 되어 성체가 되기 전까지 무리의 어른들이 포식자나 다른 위협을 알려주는 탁아소에 모여 지냅니다.

성체가 된 카피바라는 태어난 무리를 자진해서 떠나거나 쫓겨나기도 합니다. 젊은 수컷은 출신 영역을 떠나 혈연관계가 아닌 무리의 변두리를 떠도는 '떠돌이'로 살거나 독신 무리에 합류합니다. 혈연관계도 아니면서 지배적인 수컷을 따르는 것도 아닌 젊은 암컷과 새로운 무리를 만들 때도 있습니다. 카피바라는 생후 18개월이 되면 성적으로 성숙한 상태가 되지만. 피지배층 수컷은 몸집과 몸무게를 불려 지배층 수컷들과 경쟁할 수 있기 전까지 짝을 얻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사회성
무리 규모
(어린 개체 제외)
8~40
(수컷 최대 9마리, 암컷 최대 19마리)
수컷 독신 무리 규모
(어린 개체 제외)
4~20
암컷 독신 무리 규모
(어린 개체 제외)
4~20
지배력수컷이 지배 계층을 이룸
짝짓기 체계상대를 가리지 않음
성체 대응 규칙군생: 자식이 성체가 되어도 배척되지 않음
인간과의 관계자신 있음
관람객 상호 작용{{{관람객 상호 작용}}}
평균
크기어깨높이에서 키 56cm
기대 수명10살
몸무게수컷: 50kg
암컷: 61kg
수명 주기
성적 성숙 나이1.5살
불임 나이사망 시
짝짓기 1회당 출산 수2~6
임신/부화 기간5개월
출산 간격12개월
포획된 상태의 번식 난이도아주 쉬움
연구 상태
식단뿌리채소와 샐러드(1등급), 수생 식물(2등급), 비타민 보충제(3등급)
서식지 풍부화소형 공, 소형 눈덩이, 화려한 소형 공, 러버 덕, 식물 장막, 스프링클러, 온도 수도꼭지 소형, 온도 수도꼭지 대형, 잠수함 부표, 물 분사기, 물 분사기 바위, 소형 호박 공
먹이 풍부화수중 식물 급식기 상자, 소형 통 급식기, 수박 급식기, 수중 식물 급식기 평평
토막 지식
#1. 카피바라는 고대 투피어로 '풀 먹는 동물'이란 뜻의 단어가 17세기 초 스페인어와 포르투갈어의 영향을 받고 세월을 거치면서 변화한 이름입니다.
#2. 카피바라는 세계에서 가장 큰 설치류입니다.
#3. 카피바라는 물속에서 5분이나 숨을 참을 수 있습니다.
#4. 카피바라는 콧등에 '모릴로'라는 냄새 분비샘이 달려 있습니다. 냄새 분비샘은 수컷에게 특히 도드라집니다.
#5. 카피바라는 최고 35km/h로 달릴 수 있습니다.
다른 종 간의 풍부화
카피바라는 이 동물들과 서식지를 공유하면 풍부화 혜택을 받습니다.
갈라파고스코끼리거북(Chelonoidis nigra) 목도리페커리(Pecari tajacu) 베어드맥(Tapirus bairdii) 라마(Lama glama) 큰개미핥기(Myrmecophaga tridactyla) 흰머리카푸친원숭이(Cebus capucinus) 갈기늑대(Chrysocyon brachyurus)

작은발톱수달

작은발톱수달
Aonyx cinereus
PlanetZoo Zoopedia Asian Small-Clawed Otter.jpg
취약
야생 개체 수: 5,000
출신지 최소 서식지 요구 상황
대륙 아시아 울타리 강도 2등급, 1m 이상
지역 인도, 방글라데시, 중국, 라오스, 베트남,
캄보디아,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필리핀, 네팔, 부탄, 미얀마, 브루나이
육지 면적 210 ㎡
물가 면적 84 ㎡
등반 높이 0 ㎡
생물군계 수생, 열대, 초원 수심 56 ㎡
온도 17~42 ℃
포유강 - 식육목 - 족제비과 - 민발톱수달속

기초 정보
중앙 및 동남아시아의 강과 개울에 서식하는 작은발톱수달(Aonyx cinereus)은 전 세계 수달 종 중에 덩치가 가장 작은 부류입니다. 갈색 털로 덮인 날렵한 몸체에 배와 목 부위는 하얀색을 띱니다. 작은발톱수달의 총 몸길이는 72cm~96cm까지, 몸무게는 2.7kg~5.4kg까지 성장합니다. 또한, 암수가 모두 눈에 띄는 신체적 차이는 없는 편입니다.

현재 작은발톱수달은 취약종으로 분류되어 서식 중인 대부분의 나라에서 보호를 받고 있습니다. 많은 위기종이 처한 환경과 비슷하게, 서식지 파괴와 밀렵으로 고통받고 있습니다. 보존과 연구를 위해 몇 가지의 보호 사육 프로젝트가 진행되고 있는 중입니다.

상세 정보
사회성 요구 상황작은발톱수달은 사회성과 지능이 아주 높은 동물로, 약 15마리의 개체가 가족을 이루고 생활합니다. 지배적인 한 쌍의 암수를 중심으로 태어난 여러 명의 자손들이 가족의 우두머리 역할을 합니다. 무리가 너무 커지거나 암수 중 어느 한 우두머리가 사망하면 가족이 해체됩니다. 이 경우에 기존에 꾸러진 가족 무리를 떠날 수밖에 없는 구성원은 혈연관계가 없는 개체들과 다시 새로운 번식 무리를 형성하려 합니다.
번식가족 무리의 지배적인 암컷이 발정기에 들어서면 지배적인 수컷과 함께 시간을 보내고 코를 비비며 유대감을 형성합니다. 이렇게 맺어진 암수는 암컷의 가임 기간 동안 여러 차례 짝짓기를 합니다. 짝짓기는 암수 어느 쪽이든 시작할 수 있으며 대략 5~25분 동안 이어집니다.

작은발톱수달의 임신 기간은 68~74일 사이이며 이후 한배에 새끼를 1~6마리, 평균 2마리 정도의 새끼를 낳습니다. 새끼는 앞이 안 보이는 상태로 태어나 생후 1~1.5개월에 눈을 뜨고 스스로의 힘으로 돌아다니기 시작합니다. 그리고 보통 생후 2개월에 굴을 떠나 처음으로 헤엄을 치게 됩니다. 생후 4개월이 되면 젖을 떼기 시작하며 생후 8개월이 되면 완전히 젖을 뗍니다. 젖떼기가 시작되기 1~2개월 전부터 고체 형태 음식을 먹는 새끼들도 있습니다. 작은발톱수달은 1살 반~2살이 되는 시기에 성적으로 성숙한 상태가 되지만, 번식하지 않고 가족 무리에 남아 형제들의 육아를 돕습니다. 현재 가족 무리가 너무 커지거나 지배적인 암수 한 쌍 중 우두머리 한 마리가 사망하여 해체되면 혈연관계가 아닌 개체들이 모여 새로운 가족을 꾸립니다.
사회성
무리 규모
(어린 개체 제외)
2~16
(수컷 최대 15마리, 암컷 최대 15마리)
수컷 독신 무리 규모
(어린 개체 제외)
2~16
암컷 독신 무리 규모
(어린 개체 제외)
2~6
지배력가족 그룹 내 지배적인 짝
짝짓기 체계일부일처
성체 대응 규칙군생: 자식이 성체가 되어도 배척되지 않음
인간과의 관계보통
관람객 상호 작용{{{관람객 상호 작용}}}
평균
크기길이 52cm
기대 수명14살
몸무게4kg
수명 주기
성적 성숙 나이2살
불임 나이사망 시
짝짓기 1회당 출산 수1~3
임신/부화 기간2개월
출산 간격12개월
포획된 상태의 번식 난이도보통
연구 상태
식단토막 낸 생선(1등급), 통 생선(2등급), 비타민 보충제(3등급)
서식지 풍부화소형 공, 소형 눈덩이, 화려한 소형 공, 종이 상자, 선물 상자, 러버 덕, 수중용 플랫폼, 비눗방울 기계, 진흙탕, 얼음 블록, 소형 비눗방울 기계, 잠수함 부표, 소형 호박 공
먹이 풍부화수중 물고기 급식기 상자, 냉동 물고기 블록, 수중 물고기 급식기 평평
토막 지식
#1. 작은발톱수달은 일부일처 동물로 평생 한 마리의 상대와 함께 삽니다.
#2. 작은발톱수달은 수영할 때 귓구멍과 콧구멍을 닫을 수 있습니다.
#3. 작은발톱수달은 무리 생활을 하지만 먹이는 스스로 구하는 편입니다.
#4. 작은발톱수달은 짧은 발톱과 크게 발달하지 않은 발가락 사이 물갈퀴 덕분에 다른 수달 종보다 손 움직임이 매우 자유로운 편입니다.
#5. 작은발톱수달은 수영 시 모낭 사이에 공기를 가둬 몸을 따뜻하게 하며, 마른 상태로 유지합니다. 따라서 작은발톱수달에겐 털 손질이 가장 중요한 요소입니다.
다른 종 간의 풍부화
작은발톱수달은 이 동물들과 서식지를 공유하면 풍부화 혜택을 받습니다.
보르네오오랑우탄(Pongo pygmaeus) 인도코뿔소(Rhinoceros unicornis) 말레이맥(Tapirus indicus) 빈투롱(Arctictis binturong) 코주부원숭이(Nasalis larvatus) 흰손긴팔원숭이(Hylobates lar)

아시아물소

아시아물소
Bubalus arnee
PlanetZoo Zoopedia Wild Water Buffalo.jpg
위기
야생 개체 수: 3,400
출신지 최소 서식지 요구 상황
대륙 아시아 울타리 강도 3등급, 1.25m 이상
지역 인도, 네팔, 부탄, 미얀마, 태국, 캄보디아 육지 면적 570 ㎡
물가 면적 20 ㎡
등반 높이 0 ㎡
생물군계 열대, 수생, 초원 수심 0 ㎡
온도 17~42 ℃
포유강 - 우제목 - 소과 - 물소속

기초 정보
아시아물소(Bubalus arnee), 또는 야생 물소는 중앙아시아와 동남아시아의 습지, 늪지, 범람원에 서식하는 아주 큰 소아과 종입니다. 대부분의 개체가 인도에 서식하고, 나머지 개체는 네팔과 부탄, 태국, 캄보디아에 살고 있어 활동 영역에 작게 파편화된 상황입니다. 아시아물소는 회색과 검은색을 띠는 털을 가졌으며, 몸 군데군데에 거칠고 검은 털이 자랍니다. 또한, 길쭉한 형태의 머리에 작은 귀가 달려 있습니다. 암수 모두 머리 양옆에 수평으로 2m까지 휘어지며 자라는 독특한 뿔을 갖는데, 수컷의 경우 암소보다 뿔의 크기가 더 큰 경우도 있습니다. 수컷은 몸길이가 2.4m~3m이며, 어깨높이는 1.5m~1.9m, 몸무게는 1200kg에 달합니다. 암컷은 수컷의 약 3분의 2 크기로, 몸길이는 1.8m~2.25m, 어깨높이는 1.13m~1.43m, 몸무게는 800kg에 이르곤 합니다.

멸종 위기종인 아시아물소는 모든 서식지에서 보호를 받고 있습니다. 아시아물소는 복합적인 위협을 받고 있습니다. 사냥과 서식지 파편화 및 상실도 문제지만, 이들과 아주 가까운 친척이자 후대 종으로 추정되는 가축 물소(Bubalus buballs)의 야생 개체와 잡종이 발생하기도 합니다. 특정 지역에서 조금이나마 개체를 방생하려는 시도도 했지만, 아시아물소의 개체 수는 더 줄어들 것으로 추정됩니다.

상세 정보
사회성 요구 상황아시아물소는 여러 소형 집단으로 무리를 형성합니다. 최대 30마리의 암컷으로 이루어져 나이가 많은 암컷이 이끄는 모계 성격의 집단도 있고, 수컷이 따로 모인 독신 집단도 있습니다. 홀로 암컷 집단에 들어가서 지배적인 수컷이 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번식번식기인 10월~11월 정도가 되면, 수많은 암컷 집단과 독신 집단, 홀로 다니는 수컷과 함께 무리를 형성합니다. 지배적인 수컷은 암컷 집단에 들어가 짝짓기를 시도합니다. 수컷은 집단에 들어가고자 서로에게 고함과 발구르기, 돌진과 같은 행위를 하면서 지배력을 과시합니다. 우두머리 암컷이 한 마리의 수컷을 암컷 집단으로 받아들이면 수컷은 가임기 암컷의 냄새를 맡고 소변을 맛보면서 발정 상태를 알아본 다음 교미가 가능한 암컷과 짝짓기를 합니다. 수컷이 가임기 생태인 암컷 모두와 짝짓기를 하면, 암컷 집단은 수컷을 무리에서 내쫓습니다.

암컷은 10~11개월 동안 임신 기간을 거쳐 송아지를 한 마리를 낳지만 쌍둥이를 낳을 때도 있습니다. 생후 6~9개월이 되면 젖을 완전히 떼지만, 1~1.5살이 될 때까지 집단에 머뭅니다. 나이가 좀 들면, 수컷은 집단을 떠나 독신 무리에 들어가고 암컷은 태어날 때 속했던 암컷 집단에 남습니다.

아시아물소 수컷은 1살 반에 성적으로 성숙한 상태가 되지만, 몸집이 더 크고 나이가 들기 전까지 짝짓기에 어려움을 겪습니다. 수컷은 나이가 들수록 점점 홀로 생활하게 되고, 8살이 되면 몸집과 뿔 크기가 가장 큰 상태가 됩니다. 암컷은 3살이 되면 성적으로 성숙한 상태가 되며, 어미의 암컷 집단에 남아 생활합니다.
사회성
무리 규모
(어린 개체 제외)
3~30
(수컷 최대 1마리, 암컷 최대 29마리)
수컷 독신 무리 규모
(어린 개체 제외)
3~10
암컷 독신 무리 규모
(어린 개체 제외)
3~30
지배력나이에 따른 지배 계층을 지닌 모계 사회 암컷 집단이며, 수컷은 나이와 힘으로 지배력을 판별함
짝짓기 체계일부다처
성체 대응 규칙모계 사회: 우두머리의 직계 후손인 수컷은 모두 성체가 되면 배척됨
인간과의 관계자신 있음
관람객 상호 작용{{{관람객 상호 작용}}}
평균
크기수컷: 어깨높이에서 키 1.7m
암컷: 어깨높이에서 키 1.3m
기대 수명25살
몸무게수컷: 900kg
암컷: 700kg
수명 주기
성적 성숙 나이3살
불임 나이20살
짝짓기 1회당 출산 수1
임신/부화 기간10개월
출산 간격24개월
포획된 상태의 번식 난이도쉬움
연구 상태
식단건초(1등급), 초식동물 사료(2등급), 과일과 채소(3등급)
서식지 풍부화대형 공, 대형 눈덩이, 손잡이 공, 스키틀, 눈사람 스키틀, 문지르기 기둥, 스크래치 트리 구주소나무, 스크래치 트리 타마린드, 진흙탕, 허브 냄새 마커
먹이 풍부화그레이징 공 급식기, 대형 통 급식기, 허수아비 급식기, 매달린 그레이저 급식기
토막 지식
#1. 아시아물소는 인도들소와 더불어 소아과에서 가장 무거운 종에 속합니다.
#2. 아시아물소는 아침이나 저녁 중에 풀을 뜯으며, 활동 시간은 낮과 밤을 가리지 않습니다.
#3. 아시아물소 개체는 축우나 다른 가축들이 옮기는 질병이나 기생충에 민감합니다.
#4. 남은 아시아물소 개체 대다수는 인도 국립공원의 보호 구역에 서식하고 있습니다.
#5. 아시아물소의 뿔은 최대 2m까지 자라며 소아과 동물을 통틀어 가장 큰 뿔에 속합니다.
다른 종 간의 풍부화
아시아물소는 이 동물들과 서식지를 공유하면 풍부화 혜택을 받습니다.
인도코뿔소(Rhinoceros unicornis) 말레이맥(Tapirus indicus)

나일리추에

나일리추에
Kobus megaceros
PlanetZoo Zoopedia Nile Lechwe.jpg
위기
야생 개체 수: 3,400
출신지 최소 서식지 요구 상황
대륙 아프리카 울타리 강도 2등급, 1.25m 이상
지역 남수단, 에티오피아 육지 면적 390 ㎡
물가 면적 45 ㎡
등반 높이 0 ㎡
생물군계 수생, 초원 수심 0 ㎡
온도 13~38 ℃
포유강 - 우제목 - 소과 - 물영양속

기초 정보
나일리추에(Kobus megaceros)는 남수단과 에티오피아의 습지나 늪지에서 발견되는 발굽 동물입니다. 이들은 암수 차이가 큰 동물로, 수컷 나일리추에가 몸길이 1.6m~1.8m, 어깨높이는 1m~1.05m, 몸무게 90kg~120kg으로 암컷보다 큽니다. 수컷은 길게 뻗은 뿔을 가지고 있습니다. 털은 어두운 갈색이며, 어깨와 얼굴, 다리에 하안색 무늬가 있고, 목은 길고 풍성한 털로 덮여 있습니다. 이와 달리 암컷은 뿔이 없고 훨씬 밝은 황갈색 털을 가집니다. 암컷은 몸길이가 1.3m~1.7m, 어깨높이는 0.8m~0.85m, 몸무게는 60kg~90kg입니다.

나일리추에는 비교적 작고 파편화된 두 지역에서만 발견되며 멸종 위기종으로 분류됩니다. 서식지가 치안이나 정치적 측면에서 불안한 곳이기 때문에 보호 활동에 나서기가 어려운 편이며, 보호 대상임에도 사냥과 서식지 파편화로 끊임없는 위협에 노출되어 있습니다.

상세 정보
사회성 요구 상황대부분의 발굽 동물처럼 나일리추에도 무리를 지어 생활합니다. 이 무리는 암컷과 새끼들로 이루어진 무리, 독신 수컷 무리, 지배적인 수컷이 여러 암컷에게 구애하는 번식 하렘 무리, 이렇게 세 가지로 구분됩니다. 지배적인 수컷은 홀로 영역을 지키며 다른 수컷을 막고, 영역에 들어온 암컷에게 구애하여 짝짓기를 시도합니다.
번식짝짓기는 대부분 지배적인 수컷과 수컷의 영역에서 풀을 뜯는 암컷 사이에 일어나지만, 간혹 독신 수컷이 짝을 찾는 데 성공하기도 합니다. 자신만의 영역을 가진 수컷은 보통 다른 독신 수컷들을 쫓아내는데, 경쟁자와 짧고 격렬한 전투도 불사합니다. 수컷은 교미를 시작하기에 앞서 자신의 목에 소변을 본 다음 짝짓기할 의사가 있는 암컷의 머리나 엉덩이에 수염을 비비려 합니다. 암컷이 이를 받아주면 수컷은 올라타 짝짓기를 합니다.

임신 기간은 7~9개월 사이이며, 이후 암컷은 새끼 한 마리를 낳습니다. 새끼는 태어나고 첫 일주일은 오로지 어미의 젖만 먹지만, 시간이 좀 지난 후에는 어린 풀을 뜯어먹습니다. 생후 5~6개월이 되면 젖을 완전히 떼고, 이 시기가 되면 어미는 다시 임신할 수 있는 상태가 됩니다.

새끼들은 빠르면 생후 6개월에 어미 곁을 떠나 다른 집단이나 무리에 합류하지만, 2살이 되는 해에 성적으로 성숙한 상태가 됩니다. 하지만 수컷은 이때 짝짓기에 성공하는 경우가 거의 없으며, 스스로 영역을 지킬 수 있을만큼 강해져야 짝짓기에 성공할 수 있습니다.
사회성
무리 규모
(어린 개체 제외)
3~50
(수컷 최대 1마리, 암컷 최대 49마리)
수컷 독신 무리 규모
(어린 개체 제외)
3~50
암컷 독신 무리 규모
(어린 개체 제외)
3~50
지배력영역을 가진 수컷이 암컷 하렘을 얻음
짝짓기 체계일부다처
성체 대응 규칙모계 사회: 우두머리의 직계 후손인 수컷은 모두 성체가 되면 배척됨
인간과의 관계수줍음
관람객 상호 작용{{{관람객 상호 작용}}}
평균
크기수컷: 어깨높이에서 키 102cm
암컷: 어깨높이에서 키 82cm
기대 수명13살
몸무게수컷: 105kg
암컷: 75kg
수명 주기
성적 성숙 나이2살
불임 나이사망 시
짝짓기 1회당 출산 수1
임신/부화 기간8개월
출산 간격12개월
포획된 상태의 번식 난이도쉬움
연구 상태
식단건초(1등급), 초식동물 사료(2등급), 비타민과 미네랄 보충제(3등급)
서식지 풍부화손잡이 공, 문지르기 기둥, 스크래치 트리 구주소나무, 스크래치 트리 타마린드, 허브 냄새 마커
먹이 풍부화그레이징 공 급식기, 소형 통 급식기, 허수아비 급식기, 매달린 그레이저 급식기
토막 지식
#1. 수컷 나일리추에의 뿔은 87cm 길이까지 자랍니다.
#2. 어린 수컷 나일리추에는 자라나는 뿔을 빼면 암컷과 비슷하게 생겼습니다. 나이가 들수록 털이 어두워지고 수컷의 특징인 하얀색 무늬가 생깁니다.
#3. 야생에선 쇠가죽파리가 새끼 나일리추에에 기생하곤 합니다. 나일리추에의 몸에 기생하는 경우에는 구더기가 피하 조직을 먹어 감염을 유발하는데, 사망률이 비교적 높습니다.
#4. 나일리추에는 물이 많은 곳 근처에 서식하며, 수생 식물을 먹는 데에 시간을 많이 보내는 편입니다. 이러한 이유로 악어의 주요한 사냥감이 됩니다.
#5. 나일리추에는 마리아 엠마 그레이의 이름을 따 '그레이 부인의 리추에'라고도 불립니다. 마리아는 대영박물관의 관리자이자 나일리추에 종의 학명으로 'Kobus maria'를 제안하기도 했던 존 에드워드 그레이의 아내이기도 합니다.
다른 종 간의 풍부화
나일리추에는 이 동물들과 서식지를 공유하면 풍부화 혜택을 받습니다.
그물무늬기린(Giraffa camelopardalis reticulata) 아프리카물소(Syncerus caffer caffer) 타조(Struthio camelus) 덤불멧돼지(Potamochoerus porcus)

오리너구리

오리너구리
Ornithorhynchus anatinus
PlanetZoo Zoopedia Platypus.jpg
준위협
야생 개체 수: 30,000 ~ 300,000
출신지 최소 서식지 요구 상황
대륙 오세아니아 울타리 강도 1등급, 1m 이상
지역 호주 육지 면적 180 ㎡
물가 면적 90 ㎡
등반 높이 0 ㎡
생물군계 수생, 열대, 초원, 온대 수심 45 ㎡
온도 -4~42 ℃
포유강 - 단공목 - 오리너구리과 - 오리너구리속

기초 정보
오리너구리(Ornithorhynchus anatinus)는 태즈메이니아 섬을 포함한 호주 동부의 개울, 웅덩이, 강에서 서식하는 단공류 포유류입니다. 오리너구리는 두꺼운 갈색 털과 넓은 갈퀴, 발톱 달린 발, 넓고 납작한 꼬리, 상징과도 같은 납작한 부리를 가졌습니다. 수컷 오리너구리는 몸길이가 42cm~60cm, 몸무게는 0.8kg~2.5kg이고, 암컷은 몸길이가 38cm~55cm, 몸무게는 0.65kg~2kg입니다.

멸종 위기종인 오리너구리는 호주 정부의 보호를 받고 있습니다. 서식지 파편화로 위기에 처한데다, 과거에는 모피를 목적으로 사냥을 당하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사냥은 20세기 초반에 불법으로 지정되었습니다. 오리너구리의 개체 수는 현재 추적과 비교가 힘든 편에 속합니다. 하지만 유럽의 오스트레일리아 대륙 식민지화 이전과 비교하면 총 개체 수는 줄었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상세 정보
사회성 요구 상황오리너구리는 홀로 생활하는 동물이지만, 암컷은 다른 암컷이나 수컷이 옆에 있어도 무난하게 잘 지내는 편입니다. 수컷들은 서로를 만나면 공격성을 드러냅니다.
번식수컷 오리너구리는 영역을 갖추고 사는 동물입니다. 번식기에는 영역을 순찰하며 경쟁자 수컷을 몰아내거나 짝짓기를 할 암컷을 몰색합니다. 맘에 드는 암컷을 발견하면, 암컷은 보통 처음에는 수컷을 피하지만 시간이 지나고 친밀감이 형생되면 수컷의 접근을 허락해 줍니다. 헤엄을 치거나 서로를 스쳐 지나가는 등의 구애 활동을 하며 곁을 맴돌다 결국 서로의 마음을 확인하고 짝짓기를 시작합니다. 짝짓기가 끝나면 둘은 각자의 길을 떠납니다.

암컷은 대략 1개월 동안 몸속에서 알을 품다가 굴 속의 번식실에 알 1~3개를 낳고, 이후 몸 밖에서 10일 더 알을 품어 새끼 오리너구리를 부화시킵니다. 새끼는 최대 4개월 동안 굴 속에서 지내며 어미의 보살핌을 받습니다. 암컷은 유두가 없는 대신 피부 아래 있는 젖샘에서 젖을 분비하여 새끼가 받아먹을 수 있도록 합니다. 오리너구리는 부화 후에 빠르게 성장하여 생후 4개월이 되면 두꺼운 방수 털까지 갖추어 사실상 독립을 하게 됩니다.

오리너구리는 2살이 되면 성적으로 성숙한 상태가 됩니다.암수 모두 집을 떠나 물가에 자신만의 생활 영역을 확보한 뒤에 굴을 파고 살아갑니다. 수컷은 성적으로 성숙한 직후부터 새로운 영역을 지키기 시작합니다.
사회성
무리 규모
(어린 개체 제외)
1
(수컷 최대 1마리, 암컷 최대 2마리)
수컷 독신 무리 규모
(어린 개체 제외)
1
암컷 독신 무리 규모
(어린 개체 제외)
1~2
지배력수컷이 영역과 암컷을 차지하기 위해 다툼
짝짓기 체계상대를 가리지 않음
성체 대응 규칙단독 생활: 성체가 된 자식은 모두 배척됨
인간과의 관계자신 있음
관람객 상호 작용{{{관람객 상호 작용}}}
평균
크기수컷: 길이 51cm
암컷: 길이 46cm
기대 수명수컷: 13살
암컷: 15살
몸무게수컷: 1.65kg
암컷: 1.3kg
수명 주기
성적 성숙 나이2살
불임 나이13살
짝짓기 1회당 출산 수1~3
임신/부화 기간1개월
출산 간격12개월
포획된 상태의 번식 난이도어려움
연구 상태
식단민물 갑각류(1등급), 거저리(2등급), 통 생선(3등급)
서식지 풍부화물 분사기, 잠수함 부표, 물 분사기 바위
먹이 풍부화수중 물고기 급식기 상자, 냉동 물고기 블록, 스키틀 급식기, 수중 물고기 급식기 평평
토막 지식
#1. 수컷 오리너구리는 몇 안 되는 독이 있는 포유류 중 하나에 속하며, 뒷발에 달린 독침에서 독을 뿜습니다.
#2. 오리너구리는 다른 단공류 동물들과 함께 전기탐지로 물 속 먹이를 포착하는 특별한 포유류 중 하나입니다.
#3. 오리너구리가 처음 발견됐을 당시, 사람들은 전달받은 조사용 표본을 보고 여러 동물의 부위를 합쳐서 만든 가짜 표본으로 의심했습니다.
#4. 단공목에 속하는 오리너구리는 새끼를 낳는 대신 알을 품는 몇 안 되는 포유류 종에 속합니다. 오리너구리는 새끼를 위해 젖을 만들지만 유두는 없습니다. 따라서 새끼 오리너구리는 어미의 피부와 털을 핥아 젖을 먹습니다.
#5. 오리너구리의 모피는 생체형광성이 있어 자외선을 쬐면 청록색으로 빛이 납니다. 이는 포식자가 오리너구리를 잘 못 보게 만들려는 적응의 결과라는 가설이 있기도 합니다.
다른 종 간의 풍부화
오리너구리는 다른 동물 종과 공생하더라도 혜택이 없습니다.

두루미

두루미
Grus japonensis
PlanetZoo Zoopedia Red-Crowned Crane.jpg
취약
야생 개체 수: 2,300(추정)
출신지 최소 서식지 요구 상황
대륙 아시아 울타리 강도 1등급, 1m 이상
지역 일본, 한국, 중국, 몽골, 러시아 육지 면적 300 ㎡
물가 면적 75 ㎡
등반 높이 0 ㎡
생물군계 수생, 툰드라, 타이가, 온대 수심 0 ㎡
온도 -4~42 ℃
조강 - 두루미목 - 두루미과 - 두루미속

기초 정보
두루미(Grus japonensis)는 두루미 종류 중에도 가장 큰 조류로 한국과 중국, 일본, 동부 러시아, 몽골의 습지나 강, 갯벌에 서식합니다. 두루미 대다수는 철새이기에 여름은 러시아와 중국, 몽골에서 보내고 겨울은 한국과 중국에서 보냅니다. 하지만 일본의 두루미는 한곳에 정착하려는 습성이 있어 이동을 하지 않습니다.

두루미의 깃털은 하얀색입니다. 꼬리와 목, 얼굴 깃털은 검은색이고 날개에도 검은 깃털 한 줄이 있습니다. 두루미 하면 떠오르는 가장 큰 특징은 바로 정수리에 드러나는 빨간 반점 같은 피부입니다. 두루미의 키는 1.5m~1.58m이고 펼친 날개의 길이는 2.2m~2.5m입니다. 몸무게는 4.8kg~10.5kg 사이입니다. 수컷이 암컷보다 무겁지만, 다른 특징은 동일합니다.

두루미는 취약종으로 분류됩니다. 일본의 야생 습지 서식지는 인간의 주거지와 시설을 위한 땅으로 사용되어 파괴되었고, 중국에 있는 철새 도래지는 많은 부분이 농지로 바뀌었습니다. 두루미를 보호하려는 보존 협회들은 서식지를 만들고 두루미가 선호하는 지역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더불어, 야생 두루미 개체 수를 늘리기 위한 보호 사육과 방생 활동도 병행 중입니다.

상세 정보
사회성 요구 상황두루미는 홀로 살아가거나 큰 무리를 이뤄 생활합니다. 무리에는 독신, 짝은 있지만 새끼가 없는 개체, 새끼가 있는 개체가 모두 섞여 있습니다. 사회성이 높은 종이지만 공간이 충분하지 않으면 서로 공격적인 성향을 띱니다.
번식두루미는 일부일처 동물로 한 상대와 평생을 함께 합니다. 이들은 서로 똑같은 춤을 추는 '듀엣'이라는 구애 의식으로 짝을 고릅니다. 듀엣을 시작할 때 암수는 박자에 맞춰 서로에게 점점 가까이 다가갑니다. 그리고 긴 시간 동안 서로를 흉내내며 폴짝 뛰고, 울고, 돌고, 깡충 뛰고, 묵례하고, 큰 동작으로 뛰고, 날개를 펄럭이고, 목을 움직이고, 뽐내듯 걷는 등의 춤을 춥니다. 한 무리에 듀엣을 추는 짝이 나타나면 또 다른 짝도 함께 추는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짝이 춤을 추는 상황은 매루 다양합니다. 영역을 과시하거나, 둥지 위치를 선정하거나, 경쟁자를 물리치는 등 목적 역시 가지각색입니다. 번식기인 4~5월에 가까워지면 수컷과 짝을 이룬 암컷이 둥지 위치를 정하고 함께 둥지를 짓습니다. 둥지는 일반적으로 높은 풀 근처의 평평한 땅에 위치하며, 나뭇가지와 풀을 사용하여 주로 바닥 부근에 짓는 편입니다. 둥지가 지어지면 함께 둥지와 그 주변 영역을 필사적으로 사수합니다.

암수는 구애 기간과 둥지를 짓는 기간인 일주일 동안 하루 2~3차례 짝짓기를 하며, 이후 암컷은 1~3개나 보통 2개 정도의 알을 낳습니다. 낳은 알은 30일에 걸쳐 암수가 번갈아 가며 품어줍니다. 부화한 새끼는 부모 모두의 보살핌을 받으면서 지내다 생후 2.5개월에 둥지를 떠나고, 점점 독립적인 성향으로 변하며 스스로 먹이를 구하게 됩니다. 새끼는 1살이 될 때까지 부모와 밀접한 관계를 유지합니다. 야생에선 보통 새끼 한 마리만이 살아남아 성체가 됩니다.

두루미는 3~4살이 되면 성적으로 성숙한 상태가 되어, 짝과 함께 둥지로 삼기에 적합한 장소를 찾아 나섭니다.
사회성
무리 규모
(어린 개체 제외)
4~80
(수컷 최대 79마리, 암컷 최대 79마리)
수컷 독신 무리 규모
(어린 개체 제외)
4~80
암컷 독신 무리 규모
(어린 개체 제외)
4~80
지배력없음, 하지만 짝은 함께 영역을 지키려 함
짝짓기 체계일부일처
성체 대응 규칙군생: 자식이 성체가 되어도 배척되지 않음
인간과의 관계보통
관람객 상호 작용{{{관람객 상호 작용}}}
평균
크기키 1.54m
기대 수명40살
몸무게7.3kg
수명 주기
성적 성숙 나이4살
불임 나이사망 시
짝짓기 1회당 출산 수1
임신/부화 기간1개월
출산 간격12개월
포획된 상태의 번식 난이도어려움
연구 상태
식단쌀과 애벌레(1등급), 양서류(2등급), 통 생선(3등급)
서식지 풍부화폭포와 금속 프레임, 스프링클러, 허브 냄새 마커, 거울 모빌
먹이 풍부화먹이 웅덩이
토막 지식
#1. 두루미는 한국과 중국, 일본의 신화에 자주 등장합니다. 고결함과 충성심, 강인함, 평화의 상징으로 등용되기도 합니다.
#2. '듀엣'이라고 하는 두루미의 구애춤은 굉장히 복잡하며 서로의 춤을 모방하기도 합니다. 춤의 의미를 아직 완벽히 알 수는 없지만 서로의 흥분도를 드러내는 방식으로 추정됩니다.
#3. 두루미는 둥지에 접근하는 동물이 있으면 극도로 공격적인 모습을 보입니다.
#4. 두루미는 두루미 중류 종 중에서 가장 무거우며, 최고 무게는 15kg입니다.
#5. 두루미는 사육 상태에서 최고 75살까지 살 수 있으며, 조류 중에서는 가장 장수하는 종에 속합니다.
다른 종 간의 풍부화
두루미는 이 동물들과 서식지를 공유하면 풍부화 혜택을 받습니다.
일본원숭이(Macaca fuscata)

안경카이만

안경카이만
Caiman crocodilus
PlanetZoo Zoopedia Spectacled Caiman.jpg
관심대상
야생 개체 수: 4,000,000
출신지 최소 서식지 요구 상황
대륙 남아메리카 울타리 강도 2등급, 1m 이상
지역 콜롬비아, 베네수엘라. 가이아나. 수리남. 프랑스령 기아나,
브라질, 페루, 에콰도르, 파나마. 코스타리카,
니카라과, 엘살바도르, 온두라스, 과테말라, 벨리즈, 멕시코
육지 면적 240 ㎡
물가 면적 220 ㎡
등반 높이 0 ㎡
생물군계 수생, 열대, 초원 수심 0 ㎡
온도 13~42 ℃
파충강 - 악어목 - 엘리게이터과 - 카이만속

기초 정보
안경카이만(Caiman crocodilus)은 보통 크기의 악어로 중앙과 남부 아메리카의 습지, 사바나, 숲에 서식합니다. 안경카이만의 몸체는 초록색이나 갈색, 노란색, 회색을 띠며 몸통과 꼬리에는 몸을 두르는 띠 형태의 무늬가 있습니다. 안경카이만이란 이름은 양쪽 눈 사이를 잇는 딱딱하고 독특한 능선이 있어 안경을 쓴 것처럼 보인다고 하여 붙어졌습니다. 안경카이만의 몸통은 호리호리하고, 솟아오른 형태의 비늘이 등에 줄지어 자라나 있습니다. 이 종의 수컷은 몸길이가 평균 1.5m~2m지만, 나이가 차면 2.5m까지도 자라며 몸무게는 13kg~40kg입니다. 암컷은 비교적 작아서 몸길이가 평균 1.08m~1.4m이고, 크거나 나이 많은 개체의 경우 2m까지 자랍니다. 몸무게는 7kg~30kg에 달합니다.

안경카이만은 멸종 위기종이 아니며 최소 관심종으로 분류됩니다. 가죽 때문에 사냥당하는 경우도 있지만, 전 세계 개체 수에 영향이 있을 정도는 아니며, 특유의 적응 능력과 활동 영역 덕분에 서식지 상실로 인한 위협도 받지 않습니다.

상세 정보
사회성 요구 상황안경카이만은 보통 홀로 생활하는 동물이지만 결속력이 약한 집단 속에 거주하기도 합니다. 물론 공간만 충분하다면 다른 개체도 용인하는 무습을 보입니다. 하지만 번식기가 되면 수컷들은 서로 공격적으로 변합니다.
번식안경카이만의 번식기는 우기인 5월~8월까지입니다. 영역을 차지한 수컷은 암컷이 자신의 영역에 살도록 허용하지만, 다른 수컷은 공격적인 태도로 접근을 막습니다. 수컷은 으르렁거려서 암컷을 유혹하고 경쟁자를 겁먹게 합니다. 영역에 들어온 암컷이 짝짓기 의사가 있다면 수컷은 구애 의식을 시작하며, 둘은 서로의 등을 맞대 비비거나, 소리 내거나, 서로를 멤돌며 서로에게 공기 방울을 불어줍니다. 짝짓기를 할 때 수컷은 암컷을 잡고 서로의 총배설강을 정렬합니다.

짝짓기 후에 암컷은 수컷의 영역에 진흙과 나뭇가지를 재료로 약 1m 넓이와 40cm 깊이를 가진 둥지를 짓습니다. 암컷은 한 배에 14~40개의 알을 낳을 수 있는데, 평균 20개의 알을 낳습니다. 둥지는 알의 부화를 위해 초목으로 덮이고, 암컷이(가끔은 수컷도) 둥지를 지킵니다. 3개월이 지나면 알이 부화하게 됩니다. 새끼는 높은 음의 울음소리로 어미를 부르고, 이 소리를 들은 어미는 새끼들을 도우러 둥지 위의 초목을 치웁니다. 새끼들은 세상에서의 첫 18개월을 어미에게 딱 붙어서 지냅니다. 이때 어미는 새끼들을 지켜는 주지만, 먹이는 새끼가 직접 구해야 합니다. 이 기간이 지나면 어미는 자식들에게 공격적으로 대하며 모두 흩어져서 다른 곳에 영역을 꾸리도록 만듭니다.

안경카이만은 4~7살 사이에 성적으로 성숙한 상태가 되며, 이때 수컷은 보통 1.4m 크기, 암컷은 1.2m가 됩니다. 수컷 카이만은 크기가 클수록 짝을 찾을 확률이 높아 성적으로 성숙한 상태가 되더라도 바로 짝짓기를 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사회성
무리 규모
(어린 개체 제외)
1~6
(수컷 최대 1마리, 암컷 최대 5마리)
수컷 독신 무리 규모
(어린 개체 제외)
1~6
암컷 독신 무리 규모
(어린 개체 제외)
1~6
지배력수컷이 차지한 영역과 암컷을 지키기 위해 다툼
짝짓기 체계일부다처
성체 대응 규칙군생: 자식이 성체가 되어도 배척되지 않음
인간과의 관계자신 있음
관람객 상호 작용{{{관람객 상호 작용}}}
평균
크기수컷: 길이 2m
암컷: 길이 1.4m
기대 수명50살
몸무게수컷: 26.5kg
암컷: 18.5kg
수명 주기
성적 성숙 나이6살
불임 나이사망 시
짝짓기 1회당 출산 수3~8
임신/부화 기간1개월
출산 간격24개월
포획된 상태의 번식 난이도보통
연구 상태
식단통 생선(1등급), 양서류(2등급), 칼슘 보충제(3등급)
서식지 풍부화물 분사기, 소형 공, 소형 눈덩이, 화려한 소형 공, 러버 덕, 진흙탕, 피 냄새 마커, 물 분사기 바위, 수중용 플랫폼, 소형 호박 공
먹이 풍부화수중 물고기 급식기 상자, 얼음 피 호박, 냉동 물고기 블록, 제한 급식기, 수중 물고기 급식기 평평
토막 지식
#1. 가뭄이 길어지면 안경카이만은 주변 환경이 나아질 때까지 진흙 속에서 동면합니다.
#2. 안경카이만의 눈은 빛이 희미한 경우 붉은색을 반사합니다.
#3. 남아메리카의 악어 수가 줄어들자 안경카이만도 가죽 공예품 제작을 목적으로 사냥을 당하게 됐지만, 안경카이만의 가죽은 딱딱하기 때문에 상업적 용도로는 그리 좋지 않은 편입니다.
#4. 안경카이만의 주식은 물고기, 갑각류, 연체동물이지만, 식물성 물질도 섭취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5. 안경카이만은 특별한 크기와 특유의 생태계 속 역할 때문에 천적이 별로 없습니다. 인간과 재규어, 다른 성체 카이만만이 성체 카이만을 잡아먹을 수 있습니다.
다른 종 간의 풍부화
안경카이만은 다른 동물 종과 공생하더라도 혜택이 없습니다.

다뉴브빗영원

다뉴브빗영원
Triturus dobrogicus
PlanetZoo Zoopedia Danube Crested Newt.jpg
준위협
야생 개체 수: 알 수 없음
출신지 최소 서식지 요구 상황
대륙 유럽 전시장
지역 헝가리, 루마니아, 몰도바 온도 12~25 ℃
생물군계 온대, 수생 습도 55‒75 %
양서강 - 도롱뇽목 - 영원과 - 빗영원속

기초 정보
다뉴브빗영원(Triturus dobrogicus)은 유속이 느린 물이나 강 지류, 다뉴브강을 에워싼 삼림 지대에 서식하는 양서류 종입니다. 영원의 측면과 등 피부는 검은색과 갈색이 어우러져 있으며, 일부 부위에는 흰색과 검은색 반점이 있습니다. 그리고 배와 목 부분은 밝은 빨간색과 주황색에 짙은 무늬가 있습니다. 많은 빗영원처럼 해당 종 역시 번식기에는 암수의 차이가 극명하게 드러납니다. 특히 수컷은 척추를 따라 특유의 가시 돋친 볏이 자라나기에 한 눈에 구분할 수 있습니다. 수컷 영원의 몸길이는 13cm~15cm이며, 암컷은 18cm까지 수컷보다 조금 더 크게 자라기도 합니다.

다뉴브빗영원은 멸종 위기종으로 분류되어 모든 서식지에서 보호를 받고 있습니다. 멸종 위기에 몰린 원인은 다름 아닌 인간의 서식지 파괴로, 댐 건설이나 수질 오염이 주된 원인입니다. 또한, 다뉴브빗영원은 다른 영원 종과의 교배를 망설이지 않는 것으로 유명합니다. 이런 습성이 순혈 개체 수 감소에 일조하고 있는 셈입니다.

상세 정보
사회성 요구 상황다뉴브빗영원은 특별한 사회성 요구 사항을 갖고 있지 않으며 대부분 홀로 생활합니다. 공간과 먹이만 충분히 확보된다면 주변에 다른 개체가 있어도 용인하는 편입니다.
번식성체 다뉴브빗영원은 2월~3월 정도가 되면, 번식지로 자리를 옮깁니다. 번식지는 대체로 길쭉하게 뻗어 유속이 느린 물이나 자신이 부화한 장소와 인접한 물웅덩이입니다. 구애 기간에 수컷 영원들은 대부분 서로를 적대시합니다. 수컷은 암컷을 뒤따르는데, 탁 트인 평지와 같이 적합한 장소에 도착하면 구애 활동을 합니다. 꼬리를 움직이거나 쭉 뻗고, 등을 굽히고 볏을 흔드는 것이 구애의 춤입니다.

짝짓기가 끝나면 수컷은 땅에 정포를 놓고 암컷을 안내합니다. 암컷은 정포를 총배설강에 받아들어 신체 내부에서 알을 보호합니다. 이 과정은 최대 2주까지 소요되며, 암컷은 대략 200개의 알을 낳습니다.

2~3주가 지나면 알에서 올챙이가 부화합니다. 부화한 새끼들은 2~4개월 정도 수생 올챙이로 지내다 변태합니다. 번태하여 성체 영원이 되면 쉼터로 이동합니다. 이때 쉼터는 보통 습한 육지를 의미하며 일반적으로 주변 삼림 지대를 이용합니다. 다뉴브빗영원은 2~3살이 되면 성적으로 성숙한 상태가 되며, 수생에서 생활하는 동안 일 년에 한 번 정도 번식합니다.
사회성
무리 규모
(어린 개체 제외)
1~6
지배력없음
짝짓기 체계일부다처
평균
크기수컷: 길이 14cm
암컷: 길이 15.5cm
기대 수명7.5살
몸무게알 수 없음
수명 주기
성적 성숙 나이2.5살
불임 나이사망 시
짝짓기 1회당 출산 수1~3
임신/부화 기간3개월
출산 간격9개월
포획된 상태의 번식 난이도어려움
연구 상태
식단무척추동물
전시장 풍부화
레벨 1나뭇잎 바닥 A
나뭇잎 바닥 B
나뭇잎 바닥 C
레벨 2부러진 속 빈 통나무
넓은 속 빈 통나무
좁은 속 빈 통나무
레벨 3대형 바위 더미
중형 바위 더미
소형 바위 더미
토막 지식
#1. 다뉴브빗영원은 빗영원 종을 통틀어 덩치가 가장 작습니다.
#2. 다뉴브빗영원은 위협을 받으면 방어 자세를 취합니다. 특히 밝은색의 아랫배를 드러내면서 독소를 분비하는데, 이 행위를 '웅켄 반사'라고 합니다.
#3. 다른 영원과 마찬가지로 다뉴브빗영원은 부화하는 순간부터 오직 육식만을 섭취합니다.
#4. 다뉴브빗영원은 한 해의 절반 이상을 물에서 지내며 번식과 사냥을 병행합니다. 그 외의 기간은 육지에서 보냅니다. 빗영원을 통틀어 다뉴브빗영원의 수생 생활 기간이 가장 깁니다.
#5. 다뉴브빗영원은 마지막 빙하기 이전부터 존재했습니다. 다른 빗영원 종처럼 작은 레퓨지아에서 살아남아 다시 현재의 서식지에 번식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참고 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