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테이너 터미널

Mykim5902 (토론 | 기여)님의 2020년 7월 28일 (화) 12:30 판 (새 문서: thumb|부산신항 '''컨테이너 터미널'''은 컨테이너를 취급하기 위한 주요 장비들이 갖춰진 시설을 말한다. 일반적...)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부산신항

컨테이너 터미널컨테이너를 취급하기 위한 주요 장비들이 갖춰진 시설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항구 위주로 입지하나, 일부 내륙에도 있으며 내륙에 있는 것들은 특별히 "내륙컨테이너기지(ICD)"라고 부른다.

구획

  • 에이프런(선석)
    항구에서 선박이 접안하는 장소이며, 겐트리 트레인이 컨테이너를 올리고 내린다. 선석에 가까운 야드는 "마샬링 야드"라고 부르며 선적 대기하는 컨테이너를 주로 쌓아둔다.
  • CY(Container Yard)
    컨테이너를 쌓아두는 공간으로, "야드", "장치장", "야적장"이라고도 부른다. 트랜스퍼 크레인과 리치 스태커가 쉴새없이 컨테이너를 쌓고 내리는 장소다. 화물 중 특수 취급이 필요한 위험물, 전기 공급이 필요한 리퍼 컨테이너는 별도 야드에 보관한다.
  • CFS(Container Freight Station)
    컨테이너를 채우고 풀어내는 장소를 말한다. 보통은 화주가 컨테이너를 채워서 오지만, 출발·도착지에서 직접 컨테이너를 취급하기 어렵거나, 한 컨테이너에 여러 화물을 혼적할 필요가 있을 경우 CFS에서 화물을 컨테이너에 넣고 빼는 작업을 한다. 여기서 LCL이라는 용어가 나오는 데, "Less then Container Load"의 줄임말로 컨테이너를 다 채우기에 한참 모자라는 화물들을 말하고, 포워더가 이런 작업을 한다.
  • 철송장
    화물열차에 컨테이너를 적재하는 장소. 화물역의 한 종류라고 볼 수 있다.
  • 컨테이너 관리구역
    빈 컨테이너를 세척·검사하고, 수리하는 구역.

장비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