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씨개명: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편집 요약 없음
3번째 줄: 3번째 줄:


== 반발 ==
== 반발 ==
원래 한국인이 일본식 성을 쓰는 것은 금지되었었다. 그러나 민족말살정책을 펼치면서 [[내선일체]]를 위해 [[조선총독부]]창씨개명을 시행했다. 처음은 자발적이였으나 참여율이 극히 저조하자 창씨개명 미참여자에게 불이익을 주기 시작했다. 예를 들어 거부자 자제의 입학을 거부, 교사가 거부자 자제를 폭행, 채용 거부나 해고 등을 했으며 이외 줄 수 있는 불이익은 다 줬다.
원래 한국인이 일본식 성을 쓰는 것은 금지되었었다. 그러나 민족말살정책을 펼치면서 [[내선일체]]를 위해 [[조선총독부]] [[미나미 지로]] 총독이 창씨개명을 시행했다. 처음은 자발적이였으나 참여율이 극히 저조하자 창씨개명 미참여자에게 불이익을 주기 시작했다. 예를 들어 거부자 자제의 입학을 거부, 교사가 거부자 자제를 폭행, 채용 거부나 해고 등을 했으며 이외 줄 수 있는 불이익은 다 줬다.


결국 일제의 강요를 버티지 못 하고 창씨개명을 한 한국인들이 많다. 그러므로 창씨개명을 한 것만으로 [[친일파]]로 단정 짓기 어렵다. 다만 불이익을 감당할 수 있으면 충분히 거부할 수 있었기에 많은 수가 창씨개명을 하지 않았다.
결국 일제의 강요를 버티지 못 하고 창씨개명을 한 한국인들이 많다. 그러므로 창씨개명을 한 것만으로 [[친일파]]로 단정 짓기 어렵다. 다만 불이익을 감당할 수 있으면 충분히 거부할 수 있었기에 많은 수가 창씨개명을 하지 않았다.
19번째 줄: 19번째 줄:


== 해방 이후 ==
== 해방 이후 ==
해방 이후 [[미군정]]에서 조선성명복구령을 시행함으로서 창씨개명으로 바뀐 성씨는 복구되었다.
해방 이후 [[미군정]]에서 조선성명복구령을 시행함으로서 창씨개명으로 바뀐 성씨는 복구되었다. 다만 위에 나왔듯이 일본식 이름은 유지된 경우가 많다.


다만 위에 나왔듯이 일본식 이름은 유지된 경우가 많다. 일본에서는 창씨개명에 강제성이 있음을 인정하지 않는다.
일본에서는 창씨개명에 강제성이 있음을 인정하지 않는다.


[[분류:일본 제국]]
[[분류:일본 제국]]
[[분류:일제 강점기]]
[[분류:일제 강점기]]
[[분류:성씨]]
[[분류:이름]]
[[분류:이름]]
[[분류:사회 제도]]
[[분류:사회 제도]]

2019년 10월 3일 (목) 22:19 판

개요

일제강점기한국인에게 일본식 성씨를 쓰도록 강요하고, 거부하면 불이익을 주었던 제도.

반발

원래 한국인이 일본식 성을 쓰는 것은 금지되었었다. 그러나 민족말살정책을 펼치면서 내선일체를 위해 조선총독부 미나미 지로 총독이 창씨개명을 시행했다. 처음은 자발적이였으나 참여율이 극히 저조하자 창씨개명 미참여자에게 불이익을 주기 시작했다. 예를 들어 거부자 자제의 입학을 거부, 교사가 거부자 자제를 폭행, 채용 거부나 해고 등을 했으며 이외 줄 수 있는 불이익은 다 줬다.

결국 일제의 강요를 버티지 못 하고 창씨개명을 한 한국인들이 많다. 그러므로 창씨개명을 한 것만으로 친일파로 단정 짓기 어렵다. 다만 불이익을 감당할 수 있으면 충분히 거부할 수 있었기에 많은 수가 창씨개명을 하지 않았다.

심지어 일본에서도 반대가 있었다. 한국인과 일본인의 생김새가 닮아, 구별하여 차별하기 어려워지기 떄문이다. 일본 정부가 내선일체를 내세우면서도 일본 국민들은 한국인과 동등해지고 합쳐지는 것을 원하지 않았다. 물론 일본 정부는 한국인에 대한 차별을 끝낼 생각은 없었다.

사례

보통 기존 일본 성씨를 빌려 쓰기 보다 새로 만들어 쓰는 경우가 많았다.

단순히 창씨개명을 회피하지 않고 장난스럽게 창씨개명을 한 사례가 많다. 예를 들어 신불출은 구로다 규이치(玄田牛一)로 창씨개명 했는데, 칙쇼(畜生)를 파자한 것이였다. 전병하(田炳夏)란 이름을 가진 농부가 農을 붙혀 田農炳夏로 창씨개명 했는데 일본어 발음이 '덴노 헤이카'다.

재일교포 손정의는 자신의 일본인 아내를 손씨로 역창씨개명을 해버리고, 손씨라는 일본 성씨가 있음을 주장하여 창씨개명을 회피했다.

노인 여성 이름에 '자'가 뒤에 붙은 경우가 많은 이유는 뒤에 '코'(子) 자가 붙는 일본 이름이 많았기 때문이다. 子를 붙혀 창씨개명을 하고 해방 이후에 이름을 바꾸지 않고 한국 한자음으로 부른 것.

해방 이후

해방 이후 미군정에서 조선성명복구령을 시행함으로서 창씨개명으로 바뀐 성씨는 복구되었다. 다만 위에 나왔듯이 일본식 이름은 유지된 경우가 많다.

일본에서는 창씨개명에 강제성이 있음을 인정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