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원도시: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12번째 줄: 12번째 줄:


===  사회적 컨셉 ===
===  사회적 컨셉 ===
먼저 전원도시는 민주주의와 협동도시를 추구했다. 또한 대자본의 집중 대신 협동적 사회질서를 구축하고 이윤의 공동분배를 추구했다. 이러한 협동적 생산소비관계와 소규모 도시사회는 인류의 진보를 향한 필요조건이였다. 또한 도시와 농촌간의 결합은 인간사회와 자연미와의 결합이었으며 이 안에서 사회적 문제들이 협동적 소비관계에 의해 완화될 수 있으며 질서와 자유가 균형을 유지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 대규모 도시는 절대 협동에 근거한 조직의 기반이 될 수 없으며 도시 건설을 위해 국고에 의존하지 않고 민간으로부터 자금 지원을 받는다. 유한배당회사를 설립해 저렴한 부지를 매입하며 개발자금은 사회개혁에 관심이 있는 자본가와 중산층으로 부터 낮은 이자로 빌린다. 모든 임대수익은 회사가 환수하여 초기 투자비를 상환하고 이후 발생 이윤은 지역에 재투자한다. 회사를 통해 주민 조합이 토지를 영구히 소유한다.


== 사례 ==
== 사례 ==

2018년 10월 19일 (금) 17:45 판

전원도시.png

전원도시(田園都市, 영어: Garden City)는 영국의 에버니저 하워드(Ebenezer Howard)가 제창한 현대 사회가 직면하고 있는 거대 도시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 도시계획 방안이다.

역사

1898년 하워드는 《미래의 전원도시》(Garden Cities of Tomorrow)를 출판하는데 이 책에서 도시의 장점과 농촌의 장점을 결합한 전원도시 개발을 제시하였다. 이후 하워드는 1899년 전원도시협회(Garden City Association)을 결성했다. 하워드의 이상에 따라 영국 허트포드셔에 두 도시(사실은 마을[town]) 레치워스와 웰윈을 건설했다. 하워드의 뒤를 이어 전원도시협회 의장이 된 프레드릭 오스본 경은 이 운동을 지역 계획으로 확대했다.

내용

하워드가 제시한 전원도시계획은 인구 32,000명의 소규모로서, 인구 규모가 이것을 초과할 경우 별도의 전원도시를 조성하는 방식으로 전원도시와 중심도시의 집합이 인구 규모 25만 명을 넘기지 않을 것을 제안했다. 전원도시 주변에는 충분한 농업지대가 존재할 것, 전원도시 경제기반 확보, 개발이익의 사회 환수, 토지 공유와 사용권의 제한, 전원도시들 사이에 연계방안 등 하워드의 제안은 전원도시에 대한 전체적인 개념, 내부의 설계는 물론 전원도시의 유지 및 관리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도 담고있다.

물리적 컨셉

먼저 전원도시는 6000에이커 땅 중심부에 1000에이커를 차지한다. 그리고 각각 120피트의 폭을 가진 6개의 광로[1]가 도시 중심부에서 경계부까지 가로질러 도시를 균등하게 6구역으로 나눈다. 도시 중심부에는 원형모양의 공간이 있어 정원이 있으며 정원의 둘레로는 시청, 공연장,극장, 대강당, 도서관, 박물관, 병원등 크기가 큰 공공 건물들이 별도의 넓은 부지에 들어선다. 이러한 센트럴 파크를 따라서 '크리스탈 팰리스'라고 하는 넓은 유리 아케이드 건물이 들어서고 이는 공원 쪽으로 개방되어 상업공간, 상설전시장, 겨울정원 등으로 사용된다. 공공건물들과 크리스탈 팰르스에 의해 둘러쌓인 나머지 넓은 공간은 대공원으로 사용된다. 그랜드 에비뉴는 그린벨트를 형성해 도시를 두 지대로 양분해 공원의 역할을 한다. 그리고 이 안으로는 6개의 4에이커 크기의 부지가 있는데 학교, 운동장, 교회 등이 들어온다. 이 그랜드에비뉴에 접한 주택들은 환형구역의 경계선으로 부터 후퇴하여 초승달 모양으로 배치된다.[2] 마지막으로 바깥쪽 환형지대에는 공장, 창고, 낙농장, 시장, 석탄저장소 등이 들어서며 이 모든 시설은 도시를 둘러싼 원형철도에 닿아있다.

사회적 컨셉

먼저 전원도시는 민주주의와 협동도시를 추구했다. 또한 대자본의 집중 대신 협동적 사회질서를 구축하고 이윤의 공동분배를 추구했다. 이러한 협동적 생산소비관계와 소규모 도시사회는 인류의 진보를 향한 필요조건이였다. 또한 도시와 농촌간의 결합은 인간사회와 자연미와의 결합이었으며 이 안에서 사회적 문제들이 협동적 소비관계에 의해 완화될 수 있으며 질서와 자유가 균형을 유지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 대규모 도시는 절대 협동에 근거한 조직의 기반이 될 수 없으며 도시 건설을 위해 국고에 의존하지 않고 민간으로부터 자금 지원을 받는다. 유한배당회사를 설립해 저렴한 부지를 매입하며 개발자금은 사회개혁에 관심이 있는 자본가와 중산층으로 부터 낮은 이자로 빌린다. 모든 임대수익은 회사가 환수하여 초기 투자비를 상환하고 이후 발생 이윤은 지역에 재투자한다. 회사를 통해 주민 조합이 토지를 영구히 소유한다.

사례

  • 레취워스 (Letchworth)
  • 웰윈 (welwyn)
  1. 폭 44m 이상의 도로
  2. 이는 애비뉴를 더욱 넓어보이게 하는 시각적 효과를 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