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니목

Mykim5902 (토론 | 기여)님의 2015년 8월 19일 (수) 15:46 판

참고 영상

개요

선로와 도로를 자유롭게 오갈 수 있는 특수 차량. 정식 명칭은 도로-철로 병용 차량 쯤 되지만 벤츠 유니목이 보선 차량에 도입되면서 업계에서 일반 명사화 되었다.

JR 홋카이도에서는 이걸 여객 수송에 접목시킨 DMV(Dual Mode Vehicle)을 개발하고 있지만, 자금 부족으로 난항을 겪고 있다. 상용화되면 로컬선 폐선에 대응할 수 있으며, 재해·사고로 선로 폐쇄가 발생할 경우 해당 구간의 대체 수송을 DMV의 우회로 해결할 수 있다.

용도

주로 보선차량에서 볼 수 있다. 운행 종료 후 차량기지에서 보선 위치까지 이동해야 하는 기존 차량과는 달리 작업 위치에서 가장 가까운 도로 건널목을 통해 즉시 투입할 수 있고, 도로에서도 자유로운 운행이 가능해 공장에서 자재를 받고 바로 투입할 수 있어서 따로 옮겨 싣을 필요가 없다. 단순 보선 작업에서는 월등히 효율이 좋은 셈이다.

코레일 고속선 긴급출동 유니목

단전 사고에도 빠른 대응이 가능하다. 일반 보선 차량을 투입할 경우 차량기지에서 사고 지점 사이에 움직일 수 없는 열차 편성이 하나라도 있다면 운행이 어렵지만, 유니목은 건널목을 통해 진입할 수 있으며 설령 도로와 접점이 없는 고속선이라도 크레인으로 차량을 선로에 올려놓을 수 있다.

힘이 좋은 차량들은 입환기로도 활약한다. 엄밀히 따지면 기관차가 끄는 입환이 아니기에 인력입환으로 분류된다.

방식

동력은 동력축과 궤도 차륜이 직결되어 전달방식과, 메르세데스-벤츠 유니목처럼 궤도 차륜은 가이드 역할만 하고 지면이나 궤도와 접하는 고무 타이어의 동력으로 움직이는 방식이 있다. 전자의 경우 구조가 복잡하지만 신호 보안 장치의 작동을 어느 정도 보장할 수 있다. 후자는 간단한 구조로 개조가 쉽지만 신호 보안 장치의 오작동을 일으킬 수 있다.

(...)

일반 트럭의 타이어를 철도 차륜으로 개조한 차량도 유니목이라고 부르지만, 타이어가 없으니 도로에 나갈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