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하네스 케플러: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생애)
잔글 (연도별 사망 제거 봇)
 
(사용자 4명의 중간 판 7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토막글}}
[[파일:Johannes Kepler 1610.jpg|섬네일]]
[[파일:Johannes Kepler 1610.jpg|섬네일]]
{{다른 뜻 넘어옴|케플러|같은 이름의 걸그룹|Kep1er}}
'''요하네스 케플러'''(Johannes Kepler
'''요하네스 케플러'''(Johannes Kepler
, 1571년 12월 27일 - 1630년 11월 15일)는 16~17세기 [[독일]]의 [[천문학자]]다.
, 1571년 12월 27일 - 1630년 11월 15일)는 16~17세기 [[독일]]의 [[천문학자]]다.


== 생애 ==
== 생애 ==
케플러는 1571년 12월 27일, 바일데어슈타트의 제국자유도시(현재 바덴뷔르템베르크 주 슈투트가르트에 속하고 슈튜트가르트 중심부에서 30 km 서쪽으로 떨어져 있는 동네)에서 칠삭둥이 미숙아로 태어났다. 케플러 본인이 어른이 되고 나서 계산한 바에 따르면, 부모가 결혼한 다음날 오전 4시 47분에 자신이 잉태되었다고 한다. 할아버지 제발트는 그곳 읍의 장이었지만 케플러가 태어날 즈음에는 가세가 기울기 시작했다. 아버지 하인리히는 보수가 불확실한 용병 일로 벌이를 했고, 케플러가 다섯 살 때 집을 나가버렸는데, 80년 전쟁 당시 네덜란드 전선에서 사망한 것으로 추정된다. 여관집 딸이었던 어머니 카탈리나 굴덴만은 치료사이자 약재상이었는데, 이것 때문에 나중에 마녀로 몰리게 된다. 이르게 태어난 케플러는 병약하지만 영리한 아이였고, 외할아버지의 여관에 묵는 사람들을 자신의 굉장한 수학적 재능으로 놀라게 하곤 했다[1].
{{빈 문단}}
 
 
케플러가 여섯 살 때 목격한 1577년 대혜성.
케플러는 여섯 살 때 1577년 대혜성을 목격했으며, 후에 그 일을 《여섯 살에 있었던 일을 회상하며》에서 "나는 1577년의 혜성에 대해 많이 들었고, 어머니께서는 그것을 보기 위해 나를 데리고 높은 장소로 올라가셨다"라고 회고했다[2]. 10살 때, 그는 또다른 천문학 현상인 1580년 월식을 관찰하였고, 후에 월식을 보기 위해 “밖으로 불려가서” 달이 “약간 붉은 색이 된 것”을 보았다고 회고했다[3].
 
케플러는 어려서부터 천문학을 알게 되었고, 평생에 걸쳐 천문학에 사랑을 쏟았다. 그러나 유년 시절에 천연두를 앓은 바람에 병약한 신체와 불구의 손을 가지게 되었고 시력도 악화되어 관측 능력에 결함이 생겼다[4][5]. 케플러는 뷔르템베르크의 지방 귀족들이 레온베르크에 세운 영재학교에 들어갔다. 케플러는 성적이 우수한 학생이었지만, 부모에게 물려받은 고약한 성격 탓에 친구가 없었다. 훗날 케플러의 자서전에서 이 시절을 묘사한 대목은 끝도 없이 “누군가와 싸웠다, 누군가가 자신을 미워했다”는 내용들로 가득차 있다. 케플러는 어려서부터 잔병치레가 잦았고, 심기증 환자기도 했다.[6]
 
1589년, 초등 학교, 라틴어 중등 학교, 뷔르템베르크의 국영 개신교 신학교를 거친 뒤, 케플러는 튀빙겐 대학교에 신학 학생으로 들어가 비투스 뮐러 밑에서 철학을 공부했다[7]. 교과 과정 중에는 수학과 천문학도 있었다. 그는 자신이 굉장한 실력의 수학도임을 증명했고 능숙한 점성술사라는 평판을 들었으며, 동년배 학생들에게 별점을 쳐주곤 했다. 대학의 수학 교수였던 미하엘 매스틀린의 지도를 받으며, 케플러는 행성운동에 관하여 개신교에서 의무적으로 가르쳐야 하는 프톨레마이오스설과 일부 제자들에게만 개인적으로 가르쳤던 코페르니쿠스설 양쪽을 모두 배웠다[8]. 그는 이 시점부터 코페르니쿠스주의자가 되었다. 학생들 간에 토론이 벌어지면, 케플러는 이론적인 관점과 신학적인 관점 모두에서 지동설을 옹호했고, 태양이 우주를 움직이는 주요한 원천이라고 주장했다[9]. 목사가 되겠다는 바람에도 불구하고, 학업의 막바지에 이르러 케플러는 오스트리아 그라츠의 개신교 학교(그라츠 대학의 전신)의 수학과 천문학 교사 자리로 천거되었다. 그는 1594년 4월, 나이 23세 때 그 자리를 받아들였다[10]. 하지만 케플러는 훌륭한 학자이긴 했어도 훌륭한 교육자는 되지 못했다. 목소리는 웅얼거렸고, 빈번히 강의 주제를 벗어나 옆길로 빠졌으며, 그라츠에서의 두 번째 해에는 수강생이 한 명도 없었을 정도로 말 못하게 지루한 강의였다고 한다[11].


== 업적 ==
== 업적 ==
케플러는 [[천문학]]에서 '케플러의 세 가지 법칙'으로 유명하다.
케플러는 [[천문학]]에서 '케플러의 세 가지 법칙'으로 유명하다.
* 제1법칙: [[행성]]의 궤도는 타원이며 두 개의 초점 중 하나에 태양이 있다.
* 제1법칙: [[행성]]의 궤도는 타원이며 두 개의 초점 중 하나에 태양이 있다.
* 제2법칙: [[태양]]과 행성을 잇는 직선이 단위시간에 그리는 면적은 일정하다.
* 제2법칙: [[태양]]과 행성을 잇는 직선이 단위시간에 그리는 면적은 일정하다.
31번째 줄: 22번째 줄:


{{각주}}
{{각주}}
[[분류:독일의 학자]]
[[분류:독일의 천문학자]]
[[분류:천문학자]]
[[분류:독일의 수학자]]
[[분류:수학자]]
[[분류:1571년 출생]]
[[분류:1630년 사망]]

2023년 8월 26일 (토) 11:12 기준 최신판

Johannes Kepler 1610.jpg

요하네스 케플러(Johannes Kepler , 1571년 12월 27일 - 1630년 11월 15일)는 16~17세기 독일천문학자다.

생애[편집 | 원본 편집]

이 문단은 비어 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업적[편집 | 원본 편집]

케플러는 천문학에서 '케플러의 세 가지 법칙'으로 유명하다.

  • 제1법칙: 행성의 궤도는 타원이며 두 개의 초점 중 하나에 태양이 있다.
  • 제2법칙: 태양과 행성을 잇는 직선이 단위시간에 그리는 면적은 일정하다.
  • 제3법칙: 행성 운동의 '주기'의 제곱은 행성과 태양 간의 평균 거리의 세제곱에 비례한다.
    • P² = aR³
    • 이때 시간의 단위를 년으로 하고 거리를 1AU(지구와 태양 사이의 평균 거리)로 하면 a = 1이 된다.

케플러식 망원경을 발명하였다.

케플러-푸앵소 다면체중 작은 별모양 십이면체와 큰 별모양 십이면체를 발견하였다.

아이작 뉴턴이 자신의 이론(…그러니까 아인슈타인 등장 이전의 역학 전부)을 세울 때 그 이론의 바탕을 만들어준 사람으로 꼽은 거인의 어깨 중 한 명이 요하네스 케플러이기도 하다.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