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리즈:중급 프로그래밍 시리즈/파이썬

Ruin (토론 | 기여)님의 2015년 7월 13일 (월) 21:21 판

문서의 내용이 너무 쉬워서 오늘부터 프로그래밍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이 문서에는 독자적으로 연구한 내용이 들어갑니다. 다른 사람의 의견을 존중하면서 무례하지 않도록 작성해 주시고, 의견 충돌 시 토론 문서에서 토론해 주세요.

일단 Python은 타 프로그래밍과 다르게 문법상 예외라는 게 없다. 베이직보다도 깐깐하다 그 때문에, 파이썬에서 만약 에러가 나온다면 그 부분은 대부분 예외적인 사항을 임의적으로 썼다는 이야기다. 흔히 예외가 적용되는 건 중간에 탭을 쓰느냐 스페이스 네번을 누르냐 정도고그게 그거잖아 게다가 섞어쓰면 안 된다, 나머지는 몽땅 예외가 없다고 생각을 하면 되게 만들어져 있는 만큼, 알 수 없는 에러가 뜬다고 좌절하지 말자. 그냥 오타낸거라고 생각하면 된다.

그러니까, 제대로된 Python교본만 준비되어 있으면, 타 프로그래밍보다 훨씬 빠른 속도로 익힐수가 있다. 분명 어딘가 안되면 오타낸거고, 구사한 표현법이 오타가 난 것이다. 그 때문에 일주일정도만 노력하면 매크로를 만들수 있다. 진짜다!!

걸음마 단계

준비

다운로드

  • 윈도우의 경우
다운로드(32비트)
다운로드(64비트)
(32비트/64비트 중 어느 것인지 모르거나 이해하지 못한 경우 32비트 버전을 받으시면 됩니다.)
  • 대부분의 리눅스의 경우
패키지 관리자로 python 혹은 python3를 설치합니다.
    • 패키지 관리자가 없는 경우
지못미 다운로드해서 직접 소스를 컴파일 하면 된다.
  • OS X의 경우
3.4다운로드
2.7은 기본으로 설치되어 있습니다.

위의 링크는 Python 3.4버전을 다운로드 받습니다.

Python은 크게 Python 2.x버전과 Python 3.x버전으로 나뉜다. 두 버전은 세세한 문법에서 차이를 보이며, 이로 인해 Python 2.x의 코드를 3.x에서 그대로 사용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이렇게 된 이유는 Python 항목의 내용을 참고하자.

Python 3.x버전의 출시 초기에는 기존에 만들어진 자료와의 호환성 문제 등으로 인해 Python 2.x버전을 계속 사용하는 경향이 있었으나 Python 3.x의 호환성 문제 등이 개선되면서 굳이 추가적인 기능추가가 중단된 Python 2.x를 배워야 할 이유는 낮아졌다.

만약 아래의 강좌가 아닌 다른 강좌로 Python을 배울 계획이라면 해당 강좌에서 사용하는 Python의 버전을 확인해야 한다. Python 3.x버전을 깐 상태에서 2.x시절의 코드를 그대로 넣으면 깔끔하게 에러가 나기 때문이다. 2.x의 경우 3.x버전의 문법을 사용가능한지의 여부는 어느 버전이냐에 따라서 다른데 2.7의 경우는 2와 3의 연결다리를 목적으로 하는 버전으로 3문법과 2문법이 같이 사용 가능하지만, 그 이전 버전의 경우 3과의 문법 차이를 처리하지 못해 에러가 발생한다. 이왕이면 새로 배울거 Python 3.x버전으로 배우자.

실행

  • 윈도우 환경(또는 GUI 환경)인 경우

IDLE (Python 3.4 GUI)을 실행시킵니다.

  • 리눅스 shell 창 또는 윈도우 cmd 창에서 실행할 경우

python 또는 python3를 입력한 후 엔터(환경변수 또는 설정에 따라 다릅니다. 특히 리눅스 -Ubuntu 등- 의 경우 2.x 버전과 3.x 버전이 같이 깔려 있는데 이 때 python은 2.x, python3는 3.x 버전을 실행시키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그후에 아래에 나와 있는 코드를 한줄 한줄 입력하면 코드가 실행됩니다!

왜 이걸 안하냐 했죠? Hello, World!

파이썬의 헬로월드 프로그램은 쉽게 배우는 프로그래밍 입문 시리즈 중 가장 짧고 이해하기 쉽습니다. 도발

print("Hello, World!")

단 한줄이면 됩니다. 참 쉽죠?

주석

주석은 코드에 대해 부연설명이 필요할 때 쓰입니다.

파이썬에서는 2 가지 종류의 주석이 있습니다. 먼저 "#"는 뒤에 문자들을 전부 다 주석으로 처리합니다. (명령어로 보지 않습니다.) 대신 엔터가 나오면 무력화 됩니다.

예시:

print ("asdf")#asdf를 프린트합니다.
print ("asdf")#한번 더 asdf를 프린트합니다.
#print ("asd") 뭔가 복구가 필요해요.
#print (asdf) 뭔가 안 어울려요.
print ("asdf"#이거슨 asdf입니다.)

)#다음 줄에서 괄호를 닫아요.

결과: 마지막 부분에 적힌 괄호가 주석처리 되어 닫히지 않았기 때문에 괄호를 닫을 때까지 인터프리트가 실행하지 않고 계속 입력을 기다립니다.

asdf
asdf
asdf

처럼 정상적으로 출력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그 다음 주석인 '''는[1] 저 따옴표 안에 있는 것 모두를 주석처리 합니다. 큰 따옴표 세개도 괜찮습니다. 대신, 큰 따옴표로 시작했으면 큰 따옴표로 끝나야겠죠. 따옴표 사이에 엔터가 있어도 상관없습니다.

예시:

'''print ("asd") 뭔가 복구가 필요해요.
print (asdf) 뭔가 안 어울려요. '''

결과:

'print ("asd") 뭔가 복구가 필요해요.\nprint (asdf) 뭔가 안 어울려요. '

인터프리트 모드에서 실행하면 뭔가 이상합니다. 그건 스트링을 알아야 합니다. 지금은 조금 레벨이 높은 몬스터니 넘어갑시다.

변수

일상에서 일이나 공부를 할 때 어떤 정보를 기록하거나 머리에 암기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와 마찬가지로 프로그램을 만들다 보면 항상 값(혹은 데이터)를 어딘가에 저장해놔야 할 상황이 옵니다. 프로그래밍을 할 때, 이러한 값을 저장할 수 있는 공간을 변수(variable)이라고 합니다.

변수의 선언

variable = 29
변수 = 84

앞에 이것저것 붙일 필요 없이 그냥 (변수명) = (값)을 입력해주면 된다. 게다가 Python 3부터 유니코드를 지원하기 때문에 변수명을 한글로 할 수도 있다!

자료형

자료형이란 프로그램에서 사용하는 자료를 효율적으로 그리고 쉽게 사용하고 저장하기 위해서 만들어 졌습니다. 파이썬에서는 다양한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저장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자료형을 지원합니다.

수(number)형
말 그대로 수를 나타내는 변수형입니다. 3, 3.14같은 수를 저장하기 위한 자료형입니다. 수는 두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int와 float입니다. int는 정수이고, float는 소수점이 있는 수입니다. 어찌되었건 컴퓨터도 계산기고 덧셈 뺄셈 등등이 가능합니다.
print (1 + 1)
print (1.2 + 3.4, 3 + 2.4)# 콤마로 구분하면 사이에 공백이 하나 생깁니다.
print (321 - 123, 3.14 - 2.71)
print (123 * 234, 1.2 * 3.2)
print (48/5, 48.0/5.0)
print (3**123, 3.0**123)# ** 연산은 제곱을 뜻합니다.
print (48//5, 48.0//5.0)# //는 몫연산
print (9 % 4, 10 % 3.4)# %는 나머지
print (3**0.5)#루트3

결과:

2귀요미가 나오길 기대했다면 죄송합니다. 귀요미는 레벨이 좀 차면 하죠!
4.6 5.4
198 0.43000000000000016으아아
28782 3.84
9.6 9.6
48519278097689642681155855396759336072749841943521979872827 4.851927809768964e+58
9 9.0
1 3.2
1.7320508075688772

나눗셈을 제외한 모든 연산(덧셈, 뺄셈, 곱셈, 몫, 나머지)의 경우, 앞뒤의 수가 모두 정수라면 결과도 정수로 나옵니다. 둘 중 하나라도 소수점이면 결과는 소수점입니다. 단, 예외적으로 나눗셈에서는 앞뒤 모두 정수라 해도 결과는 소수점입니다. 또한 가끔 소수점이 불필요하게 많이 나오는 경우가 있는데, 이건 컴퓨터가 2진법을 사용하는데 10진법에선 유한소수여도 2진법에선 무한소수일 수 있어 정확한 값을 저장하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1/5는 10진법으로 0.2로 깔금하게 쓸 수 있는 반면, 1/3은 0.3333으로만 나타내면 오차가 생기는 것과 같은 원리입니다.

보너스

1/0

결과:

Traceback (most recent call last):
    File "<stdin>", line 1, in <module>
ZeroDivisionError: division by zero

짱짱쎈 몬스터입니다 파이썬이 싫어합니다

문자열(String)형
문자열이란 문자(A,B,C,가,나,다등등등)이 일렬로 있는 자료를 저장하기 위한 자료입니다.
문자열은 다음과 같이 변수에 넣을 수 있습니다.
문자열_변수  = "abcde"
또한 문자열 끼리는 서로 비교가 가능하고 덧셈도 가능합니다. 숫자를 곱할 수도 있습니다.
print ( "pypy" < "python" )
print ( "python" + " 참 쉽죠?" )
print ( "py" * 2)

결과 :

True
python 참 쉽죠?
pypy

True는 참을 뜻하는 진위형으로 조금 있으면 나옵니다.

리스트(List)형

일상생활을 보다보면 많은 정보를 어딘가에 적어놔야 할 때나, 순서를 붙여서 무언인가를 기록해야 할 때가 있습니다. 프로그램을 만들 때도 이와 같이 많은 정보를 저장하거나, 순서를 붙여서 정보를 저장해야 할 때가 자주 있습니다.

파이썬에서는 이와 같은 때를 위해서 리스트(List)라는 자료형이 있습니다.

a = ['리브레', '위키', '프로그래밍', '입문', 4]
b = []
c = list()

list() 명령어는 빈 리스트를 만들 때 사용합니다.

특정 위치에 들어 있는 값을 불러오려면 index라는 앞에서부터 세는 순서로 지정해주면 된다. 예를 들어 위의 예에서 2번째 값인 '위키'를 불러오려면 아래와 같이 적으면 됩니다.

a[1]

두번째 값을 불러오는데 왜 인덱스가 1인가 하면 프로그래밍 언어에서는 일반적으로 모든 숫자가 1이 아닌 0에서 시작하기 때문이다.

뒤에서부터 세서 가져오는 방법도 있다. 뒤에서 2번째인 '입문' 을 가져오려면 a[3] -앞에서 4번째-로 가져올 수도 있지만 a[-2]로 하여 뒤에서 두번째를 가져오라는 명령을 통해 가져올 수도 있다.

왜 뒤에서부터 할 땐 0부터 시작하지 않느냐 물어볼 수도 있는데 이는 0은 음수가 없다 라는 기본적인 수학지식으로 대답할 수 있을 듯 하다.

리스트와 리스트끼리 더하기

리스트와 리스트끼리는 서로 합칠 수가 있습니다.

a = ['리브레', '위키', '프로그래밍', '입문', 4]
b = [5,6,7]
c = a + b
print(c)
리스트에서 n번째 것을 뺴기

리스트에서 n번째 것을 빼려면 다음과 같이 합니다

a = ['리브레', '위키', '프로그래밍', '입문', 4]
print(a)
del a[2]
print(a)

여러개를 빼려면 다음과 같습니다

a = ['리브레', '위키', '프로그래밍', '입문', 4]
print(a)
del a[2:4]
print(a)

다음과 같이 하면 2부터 3까지 제거를 합니다.

리스트의 마지막에 추가하기

마지막에 추가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a = ['리브레', '위키', '프로그래밍', '입문', 4]
a.append("파이썬")
print(a)
리스트의 사이에 추가하기
a = ['리브레',  '프로그래밍', '입문', 4]
a.insert(1,"위키")
print(a)
튜플(tuple)형

리스트형과 거의 비슷합니다. 인덱스 -순서- 가 있고, 온갖 자료형을 다 넣을 수 있습니다.

단, 입력된 값은 추후 변경이 불가능합니다. 즉, 리스트의 경우

a = [2,4,7]
a[1] = 5

라고 입력하면

a = [2,5,7]

로 변경되나 튜플은

a = (2,4,7)
a[1] = 5

라고 하면 TypeError만 뿜어내고 값은 그대로 (2, 4, 7)로 유지됩니다.

튜플은 다른 함수의 argument로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def add(a, b):
    return a+b;

num = (1, 2)
add(*num)
사전(Dictionary)형

사전형은 리브레 위키를 생각하시면 됩니다. 리브레 위키에서 검색어로 '리브레 위키'라고 검색을 하면, 바로 리브레 위키항목에 있는 리브레 위키의 설명으로 갑니다.

dic = {"key1":"value1", "key2":1, "key3":[1,"1", 1.0], "key4":1.0, "key5":{"a":1, "b":"C"}}
dict_empty = dict()

이와같이 사전(Dictionary)형은 특정한 값을 이용하여 자료를 저장합니다. 이때, 검색하는 자료를 키(key)라고 하고, 자료는 값(value)라고 합니다. 값을 가져오고 싶을 때에는 리스트처럼 대괄호 안에 키를 적으면 됩니다. 대신에 키에는 숫자 뿐 아니라 다양한 값을 적을 수 있습니다.

print (dict_empty)
print (dic["key1"])
print (dic["key3"])
print (dic["key3"][1])
print (dic["key5"]["a"])

결과:

{}
value1
[1, '1', 1.0]
1
1
진위(Boolean)형

Boolean형은 가장 기초적인 타입으로 "참", "거짓"의 2가지 값만을 가집니다. 주의할 점은 다름 많은 언어와는 다르게 대문자로 시작합니다.

True
False

a = True
b = 1 > 0 #True

파이썬에서는 진위판단을 할 때 많은 방법으로 할 수 있습니다.

#다음은 모두 참입니다.
True
1
3.14
{"a":1}
["a"]
"a"
("a",1)

#다음은 모두 거짓입니다.
False
0
0.0
{}
[]
""
()
None

출력하기 / 입력받기

출력을 할 때는 print()를 사용합니다

print("파이썬 만세!")

입력받을 때는 input()을 사용합니다. 다만, 입력받는 것은 문자열(뭔지 모르신다면 조금 아래에서 설명해드릴께요!)을 입력받으니까 다른 것으로 형변환(이것도!)을 해야 합니다.

  • 수를 입력받을 때
a = int(input())

조건문

조건문이랑 어떤 조건에 따라서 수행하고자 하는 행동을 하는 문장(코드)를 말합니다. 조건문의 경우, 수행하고 싶은 문장을 if문의 깊이 보다 한단계 더 넣어줘야 합니다.

기본 if문

조건문 기본.gif

if 조건 :
    조건문 안쪽 명령
    ....
  #조건문 안쪽 명령 끝
조건문 다음 명령
...

예시:
i = 3
if i > 0:
    print(i)
    i = i + 1
print(i)

결과:
3
4

if-else문

조건이 맞지 않을 때 실행해야 하나, 조건이 맞으면 실행하면 안되는 문장이 있을 때 씁니다. 조건문 if - else.gif

if 조건 :
    if문 명령
    ....
#if문 명령 끝
else:
   else문 명령
#else문 명령 끝
조건문 다음 명령
...

elif

elif는 파이썬에 있는 독특한 조건문입니다. else if의 준말입니다.

print("성적을 입력해 주세요")
num = int(input())
if num > 95 :
    print("A+입니다")
elif num > 90:
    print("A입니다")
elif num > 80:
    print("B+입니다")
elif num > 70:
    print("B입니다")
elif num > 60:
    print("C+입니다")
else:
    print("그냥 재수강하세요")

프로그램 실행 과정:

  1. 성적이 95보다 높은지 확인합니다. 높다면, "A+입니다" 가 출력되고 if문이 끝납니다.
  2. 성적이 95보다 높지 않을 때, 성적이 90보다 높은지 확인합니다. 높다면, "A+입니다" 가 출력되고 if문이 끝납니다.
  3. 성적이 90보다 높지 않을 때, 성적이 80보다 높은지 확인합니다. 높다면, "A입니다" 가 출력되고 if문이 끝납니다.
  4. 성적이 80보다 높지 않을 때, 성적이 70보다 높은지 확인합니다. 높다면, "B+입니다" 가 출력되고 if문이 끝납니다.
  5. 성적이 70보다 높지 않을 때, 성적이 60보다 높은지 확인합니다. 높다면, "B입니다" 가 출력되고 if문이 끝납니다.
  6. 안끝나면, "그냥 재수강하세요"가 출력됩니다.

여기서 주의할 점은 if문이 끝나면 그 다음 것들은 확인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만약 성적이 93이라면 1번과정의 95보다 높은지 확인하고, 2번과정의 90보다 큰지 확인한 뒤 93은 90보다 크므로 if문이 끝나기 때문에 나머지는 확인하지 않습니다.

반복문

반복문은 일정한 명령을 반복적으로 수행할 필요가 있을 때 사용합니다.

파이썬에는 while, for의 2가지 종류의 반복문이 있습니다.

while 문

while 문은 if 문과 유사한데요, 차이점은 if 문은 한번 확인하고 한번 실행하는 반면, while 문은 조건문이 "거짓"이 될 때까지 확인하고 실행한다는 점입니다.

while 조건 :
    while  명령
반복문 다음 명령


예시:
i = 0
while i < 5:
    print (i)
    i += 1 # i = i + 1
print ("done!")

결과:
0
1
2
3
4
done!

for 문

for 문은 리스트와 같은 데이터의 집합에 있는 데이터들을 한번씩 건드려볼 필요가 있을 때 사용합니다. 이건 파이썬의 특징 중 하나라 볼 수 있습니다. 이런 형태의 for문은 "foreach문" 혹은 "반복자 기반 for문(iteration based for loop)" 이라고 부릅니다.

for 데이터 변수 이름(새로운 이름) in 데이터 집합 변수 이름(기존 이름):
    foreach  명령
반복문 다음 명령

예시1:

for i in range(1, 7): #1~6까지 반복하는 for문은 다음과 같습니다.
    print (str(i) + " 더하기 " + str(i) + "은(는) 귀요미")

결과1보지 않아도 알것 같지만 그래도 보자:

1 더하기 1은(는) 귀요미
2 더하기 2은(는) 귀요미
3 더하기 3은(는) 귀요미
4 더하기 4은(는) 귀요미
5 더하기 5은(는) 귀요미
6 더하기 6은(는) 귀요미

그리고 문자열의 경우 문자열에 있는 글자 하나 하나를 불러올때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예시2:

a = "리브레위키"
for character in a: 
    print (character)
print(a)

결과2:

리
브
레
위
키
리브레위키

함수

프로그래밍을 할 때, 특정한 일을 여러번 할 필요성을 느낄 때가 있습니다. 그 때 사용하는 게 함수입니다. 파이썬은 함수를 변수의 일종으로 봅니다. 그렇기 때문에 변수와 사용하는 방법은 같으나 모양이 다르기 때문에 여기서는 모양을 중심으로 해석하겠습니다.

def 이름(변수 목록):
    실행할 명령

예시:
def 귀요미만들기(숫자):
    return str(숫자) + " 더하기 " + str(숫자) + "은(는) 귀요미!" #return은 함수를 실행하였을 때 결과값을 던져줄 때 사용합니다. 함수 중간에도 사용 가능합니다. 또는 아무것도 안적고 "return"만 적으면 함수를 끝낼 수도 있습니다.

def 귀요미플레이어(숫자=6): #숫자=6은 "숫자"의 기본값이 6이라고 정의하는 겁니다.
    for i in range(숫자): #range(숫자)는 range(0, 숫자)와 같습니다.
        print (귀요미만들기(i + 1))#앞에서 만든 함수의 결과값을 print 함수가 받아서 출력합니다.
    #return은 선택입니다. 꼭 쓸 필요는 없습니다.

귀요미플레이어(1)#함수에 처음 적혀 있는 변수인 "숫자"가 1이 됩니다.
귀요미플레이어(숫자=2)#혹은 이렇게 변수 이름을 직접 지정해서 값을 정해 줄 수도 있습니다.
귀요미플레이어()#기본값을 설정한 경우 이렇게 변수를 주지 않아도 실행할 수 있습니다.
결과:
1 더하기 1() 귀요미!
1 더하기 1() 귀요미!
2 더하기 2() 귀요미!
1 더하기 1() 귀요미!
2 더하기 2() 귀요미!
3 더하기 3() 귀요미!
4 더하기 4() 귀요미!
5 더하기 5() 귀요미!
6 더하기 6() 귀요미!

내장함수

내장함수는 파이썬이 기본적으로 만들어놓은 함수들입니다.

  • len

배열, 문자열 등 길이가 있는 것의 길이를 반환합니다.

:
한국어위키=["위키백과", "백괴사전", "리브레위키", "나무위키", "구스위키"]
위키주소={"위키백과" : "http://ko.wikipedia.org/",
              "리브레위키" : "https://librewiki.net/"}
print (len ("리브레위키"))
print (len (한국위키))
print (len (위키주소))

결과:
5
5
2

실습과제

이 단원에 있는 문제를 파이썬으로 풀어 봅시다! 절때 베끼는 것은 금지!

문제 1

"Hello world!"를 10번 출력해보세요.

조건 : 코드의 길이가 5줄 이하여야 합니다.

for i in range(10):
    print ("Hello world!")

문제 2

자신이 아는 동물이름 7가지의 리스트를 만들고, 알파벳 순으로 정렬해 보세요. (한글로 하게 되면 어려워지니 영어로 해보세요.)

정답: 정렬 알고리즘을 알고 있다면 문제 맞추기가 수월하겠지만 모르더라도 어떻게 할지 생각해보면 답은 나오는 문제입니다. 알고리즘도 결국은 문제를 해결하는 여러가지 방법 중에 하나이거든요. 그렇기 때문에 제대로 정렬만 된다면 모두 정답입니다. 여기서는 거품정렬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해결해 보겠습니다.

사전 = {'a':0, 'b':1, 'c':2, 'd':3, 'e':4, 'f':5, 'g':6, 'h':7, 'i':8, 'j':9, 'k':10, 'l':11, 'm':12, 'n':13, 'o':14, 'p':15, 'q':16, 'r':17, 's':18, 't':19, 'u':20, 'v':21, 'w':22, 'x':23, 'y':24, 'z':25} #알파벳별로 번호를 매겨 대소비교가 가능하도록 합니다.

동물 = ["pig", "alligator", "dog", "owl", "cat", "elephant", "cow"] 

def 알파벳비교 (, ):
    if 사전[[0]] > 사전[[0]]: #첫번째 글자의 알파벳 순서를 확인합니다.
        return True #위치를 바꿔야 할 때 True를 return합니다.
    elif 사전[[0]] is 사전[[0]]:
        return 알파벳비교 ([1:len ()], [1:len ()]) #첫번째 알파벳이 같기 때문에 그 다음 알파벳으로 비교합니다.
    else:
        return False #위치를 바꿀 필요가 없을 때 False를 return 합니다.

#거품정렬 알고리즘은 바로 옆에 있는 값과 비교한 뒤 위치가 올바르지 않은 경우 바꾸는 방식입니다.
#비효율적이나 이해하기 쉬워 교육용으로 활용됩니다.
for  in range (len (동물) - 1):
    for  in range (len (동물) - 1): #맨 마지막 값이 맨 첫번째에 있을 수가 있기 때문에 배열 길이 - 1 번만큼 실행합니다. 
        if 알파벳비교 (동물[], 동물[+1]):
            동물[],동물[+1] = 동물[+1],동물[]

print (동물)

혹은 파이썬을 잘 아시는 분이라면 그럼 이걸 왜 보는 거지 list의 내장된 정렬함수를 이용할 수도 있습니다.

>>> a = ["pig", "alligator", "dog", "owl", "cat", "elephant", "cow"]
>>> a
['pig', 'alligator', 'dog', 'owl', 'cat', 'elephant', 'cow']
>>> a.sort()
>>> a
['alligator', 'cat', 'cow', 'dog', 'elephant', 'owl', 'pig']

물론 이 방법을 사용하면 아무 걱정없이 비 알파벳문자도 정렬할 수 있습니다.[2]

>>> b = ["개", "고양이", "사자", "비버", "악어", "부엉이"]
>>> b.sort()
>>> b
['개', '고양이', '부엉이', '비버', '사자', '악어']
>>>

이와 같이 파이썬은 매우 쉽고 편리합니다! 파이썬 만만세!

초급 단계

스크립트 파일을 만들자

그동안은 이런 창에서 코드를 입력하여 결과를 보았습니다. 지금부터는 파일에 코드를 입력하여 한꺼번에 실행하는 방법을 배우도록 하겠습니다.

함수

내장함수

내장함수란 것은 범위를 어떻게 잡느냐에 따라서 의미가 변합니다.

하지만 이 곳에서는 import를 하지 않고 기본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클래스와 함수를 대상으로 설명합니다.

위에서 언급 했듯이 import를 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는 함수가 내장함수입니다.

print, for, if, while... 등 모두 내장함수로 분류되는 함수들입니다.

크게보면 list(), dict(), str(), int() 등 생성자(constructor)로 생성한 객체에서 쓸 수 있는 함수도 내장함수라 부를 수 있겠습니다.

선택 매개변수

Python에서는 매개변수에 기본 값을 넣어서 함수를 사용할 때, 인자를 생략할 수 있게 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다만 기본 값 생략은 오른쪽 인자에서부터 좌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사용이 가능합니다.

def NumAdd( v , v2 = 1):
 return v + v2
변수1 = 5
변수1 = NumAdd(변수1,5)
print(변수1)
변수1 = NumAdd(변수1)

람다 함수

람다 함수는 특이한 함수인데요, 바로 이름이 없는 함수입니다. 주로 한번 사용하고 버리는 함수, 함수에 변수로써 넘겨줄 함수에 사용됩니다.

lambda 변수 목록: 명령문

예시:
칭찬 = lambda 누구, 어떤: 누구+"은(는) 되게 "+어떤+"것 같아." #lambda 함수의 가장 큰 특징은 return 함수가 없어도 자동으로 return이 된다는 점입니다.

print (칭찬("파이썬", "쉬운"))
print (칭찬("너", "잘 생긴"))

def 말하기(방법, 내용들):
    for 내용 in 내용들:
        방법(내용)

말하기(lambda 내용: print(내용+"?"), ["이것은 근성체다"])#이런식으로 다른 함수에게 인자로 넘길 수도 있고, 값을 넘기는 대신 실행만 할 수도 있습니다.
말하기(lambda 글자: print(" " if 글자 == " " else "ㄹ", end=""), "이것은 ㄹ체다")
print()

결과:
파이썬은() 되게 쉬운  같아.
너은() 되게  생긴  같아.
이것은 근성체다?
ㄹㄹㄹ ㄹㄹㄹ

함수스택

재귀함수

재귀함수란 쉽게 풀어 쓰면 자기호출을 하는 함수라는 뜻입니다.

def fib(n):
    if n < 2:
        return n
    else:
        return fib(n - 1) + fib(n - 2)

위의 코드는 피보나치수를 반환하는 함수입니다.

위와같이 자기 자신을 불러 계산하는 것을 재귀함수라 부릅니다.

재귀함수는 과거 반복문이 없었을 때에 반복문으로 사용하기 위해 나온 편법이므로 반드시 필요하지 않으면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도와줘요! help 함수 사용하기

객체지향

객체지향?

객체지향프로그래밍(Object-Oriented Programming)이란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생각하는 대로 프로그램 내부의 '객체'를 다루기 위한 기법입니다.

올바르지 않은 표현이지만 자동차를 예로 들면,

자동차는 크게 나누어 바퀴와 차체로 나누어 집니다.

기능적으로 설명하면 바퀴는 굴러가고 차체는 안에 사람이나 짐을 싣고 동력을 바퀴에 전달하죠.

또 차체는 문과 창문, 프레임, 파워트레인, 엔진 등으로 나눌 수 있고요.

또 그것을 기능적으로 설명하고, 그 물건을 또 나누고....

이렇게 해서 모든 부품과 부품의 역할을 설명할 수 있게 하는 것이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의 첫번째 목적입니다.

클래스

클래스는 쉽게 말해서 교실입니다.

교실 안에는 여러 사람들(학생)이 모여 있겠죠.

그리고 또한 물건(책상, 의자 등)이 놓여 있고요.

학생을 메소드(함수)라고 치고 물건을 필드(변수)라고 치면,

학생이 물건을 이용해서 무언가를 한다.

= 메소드가 필드를 이용해서 무언가를 한다.

라는 설명이 완성됩니다.

물론 이 설명이 완벽한것은 아니지만 대충 비슷한 원리로 생각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객체

객체란 위에서 설명했듯이, 모든것이 객체가 됩니다.

클래스도 교실이 되고요, 필드(변수)도 객체입니다.

하지만 학생은 객체가 아닙니다. 학생으로 비유한 메소드(함수)는 행동이기 때문에 객체로 보지 않습니다.

모든 것은 객체다

네, 모든것은 객체입니다.

자바나 C++로 프로그래밍을 조금 배우셨던 분이면 이런 말씀을 하실 수도 있습니다.: int나 float같은건 객체가 아니지 않느냐?

네. 그건 그 언어에서의 이야기고요. 파이썬에서는 모든것이 객체입니다. [3]

이전판에서 설명되었던 거지만 int(3.151492)이걸 내장함수라고 설명했던 게 있었는데, 사실 그건 함수가 아니라 클래스 생성자입니다. 그러니까 int타입의 객체를 하나 생성한 겁니다. 이에 대해선 밑에서 설명합니다.

클래스를 만들어 보자

간단한 파이썬의 클래스를 만들어 보겠습니다.

class 동물:
    나이 = 0
    성별 = None
    공복도 = 50
    def 밥먹기(self, 식사량):
        self.공복도 -= 식사량
    def 운동하기(self, 운동량):
        self.공복도 += 운동량

class 사람(동물):
    이름 = ""
    def 말하기(self, 내용):
        print(내용)

사람 = 사람()
사람.밥먹기(25)
사람.말하기("안녕하세요!")
동물 = 동물()
동물.밥먹기(25)
동물.말하기("안녕하세요!")

결과:
안녕하세요!
Traceback (most recent call last):
  File "<string>", line 1, in <module>
  File "<string>", line 20, in <module>
AttributeError: '동물' object has no attribute '말하기'


  • "사람(동물)"은 왜 괄호를 쓰고 "동물"은 왜 그대로 쓰죠?
파이썬에서는 클래스를 선언할 때 클래스를 상속받게 됩니다. 이전 글에는 항상 object를 상속받는 것으로 나와 있었으나, "동물"과 같이 적지 않으면 암묵적으로 " object" 클래스를 상속받게 됩니다. 사람은 동물 클래스를 상속받기 위하여 (동물)이라고 코드를 친 것입니다. 상속에 대해서는 뒤에서 더 자세히 설명할께요.
  • 함수안의 self인자는 뭔데 정의할 땐 써놓고 사용할 땐 쓰지 않는 거죠?
파이썬의 필드(객체의 내부 변수)를 수정하거나, 값을 확인할 때, 명시적으로 객체의 필드인 것을 알려줘야 합니다. 그래서 self(스스로의) 입니다. 실제로 사용하는 것은 객체가 아니라 다른 곳이기 때문에 자신을 가리키는 "self"를 적지 않습니다. (이건 적으면 에러가 납니다.)
  • 왜 사람 클래스에선 밥먹기를 만들지 않았는데 잘 되고 동물은 말하기가 안 되는 거죠?

이것도 앞에서 말한 상속과 관련이 있습니다. 간략하게 설명하자면 상속은 말 그대로 "물려받는 것"을 의미합니다. 여러분이 부모님의 유전자를 "물려받"았듯이 클래스도 함수와 변수 등등을 다른 클래스에게 물려주고 상속받은 클래스는 부모의 성질(여기서는 "동물"의 성질이 되겠죠.)을 유지하면서 새로운 것을 추가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는 "말하기" 함수가 되겠죠.) 그래서 동물은 말하기 함수가 없기 때문에 오류가 나고, 사람은 "밥먹기" 함수를 따로 만들지는 않았지만 동물의 "밥먹기" 함수를 상속받아 사용했기에 오류가 나지 않습니다.

사람 객체를 생성해 보자
철수 = 사람()
철수.이름 = "철수"
철수.나이 = 19
철수.성별 = "남자"

철수.말하기("안녕, 나는 "+철수.이름+"야.")

결과:
안녕, 나는 철수야.

틀:쉽게 배우는 프로그래밍 입문

  1. 작은 따옴표 세개, 위키텍스트에서 글자를 굵게 하는 문법과 동일합니다.
  2. Python3만 해당됩니다. Python2는 CJK(한자, 일본어 글자(히리가나, 가타카나 등), 한글)문자셋을 이용하기 위한 처리가 필요합니다.
  3. 이렇게 모든 것이 객체인 언어의 또다른 예로는 스칼라가 있습니다. 벡터 스칼라 말고 공교롭게도공교롭게도? 자바 바이트코드로 컴파일할 수 있고, 자바 API 또한 사용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