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과학기술대학교/다산관: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봇: 자동으로 텍스트 교체 (-분류:등록문화재 +분류:등록문화유산))
 
(사용자 8명의 중간 판 19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분류:등록문화재]]
{{건축물 정보
[[파일:다산관, 붕어방.JPG]]
|건물이름 = 서울대학교 구 공과대학 본관과 교사<br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다산관, 창학관)
<br>붕어방 방향에서 바라본 다산관의 모습. 이 방향은 뒤쪽을 찍은 모습이다.
|원어이름 =  
{{문화재
|그림    =  
|종목 = [[등록문화재]] 제12호
|그림설명 =  
|명칭 = 서울대학교 구 공과대학 본관과 교사<br>(서울과학기술대학교 다산관, 창학관)
|종류    =  
|한자 =  
|주소    = [[서울]] [[노원구]] 공릉로 232 ([[공릉동]])
|분류 = 등록문화재 / 기타/ 교육시설/
|소유    =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수량= 2개동
|착공일  =
|면적 = 다산관 : 연면적 10,193㎡, 창학관 8,853㎡
|개장일  =
|날짜 = [[2002년]] [[5월 31일]]
|철거일  =
|소재지 = 서울 노원구 공릉로 232 (공릉동)
|건축    =
|시대 = [[일제강점기]]
|설계    =
|소유 =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건설    =
|관리 = [[노원구청]],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양식    =
|높이    =
|층수    =
|총면적  = 본관: 10,193 m<sup>2</sup>전기전자관: 8,853 m<sup>2</sup>
|대지면적 =
|웹사이트 =
|비고    =
|하위 틀  =
{{문화재 정보/삽입용
|종목    = [[등록문화재]] 제12호
|지정일  = [[2002년]] [[5월 31일]]
|해제일  =
}}
}}
}}
[[파일:다산관, 붕어방.JPG|500px]]
<br />붕어방 방향에서 바라본 다산관의 모습. 이 방향은 뒤쪽을 찍은 모습이다.
==개요==
==개요==
'ㅁ'자형의 전형적인 교육시설의 특징을 갖고 있는 한국 근대공업교육의 최고학부([[경성제국대학]])건물로서 [[경성제국대학]] 이공학부 교사 및 대학 본관으로 이용하였다. 광복후 경성제국대학의 간판을 [[서울대학교]]로 바꿔달면서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본관으로 사용하다가 관악캠퍼스 이전후 [[서울산업대]](현 [[서울과학기술대학교]])의 본관이 되었다.
'ㅁ'자형의 전형적인 교육시설의 특징을 갖고 있는 한국 근대공업교육의 최고학부([[경성제국대학]])건물로서 [[경성제국대학]] 이공학부 교사 및 대학 본관으로 이용하였다. 광복후 경성제국대학의 간판을 [[서울대학교]]로 바꿔달면서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본관으로 사용하다가 관악캠퍼스 이전후 [[서울산업대]](현 [[서울과학기술대학교]])의 본관이 되었다.


==상세==
==상세==
[[서울과학기술대학교]]에서 부르는 명칭은 다산관이며, 동편의 창학관과 함께 세트로 묶여서 등록문화재 12호로 지정되어있다. 2011년까지는 다산관에 시계탑이 부착되어 있었으나 맞지도 않는 시계의 연간 유지비용이 몇억씩 깨져나가는 관계로 아예 철거하게 되었으며, 2012~3년에 다산관과 창학관의 내부 리모델링이 완료가 되어있다. 이 리모델링이 완료가 되면서 다산관과 창학관에 남아있던 [[한국전쟁]] 당시의 총알맞은 자국들이 꽤 많이 사라졌다. 사실 한국전쟁 당시 이 건물은 UN군 사령부로도 사용되었던 역사가 있다.
[[서울과학기술대학교]]에서 부르는 명칭은 다산관이며, 동편의 창학관과 함께 세트로 묶여서 등록문화재 12호로 지정되어 있다. 2011년까지는 다산관에 시계탑이 부착되어 있었으나 맞지도 않는 시계의 연간 유지비용이 몇억씩 깨져나가는 관계로 아예 철거하게 되었으며, 2012~3년에 다산관과 창학관의 내부 리모델링이 완료가 되어 있다. 이 리모델링이 완료가 되면서 다산관과 창학관에 남아있던 [[한국전쟁]] 당시의 총알맞은 자국들이 꽤 많이 사라졌다. 사실 한국전쟁 당시 이 건물은 UN군 사령부로도 사용되었던 역사가 있다.


2015년 현재 다산관은 기계자동차공학과에서, 창학관은 전자IT미디어공학과에서 주로 사용하고 있다.
2015년 현재 다산관은 기계자동차공학과에서, 창학관은 전자IT미디어공학과에서 주로 사용하고 있다.
32번째 줄: 46번째 줄:


{{주석}}
{{주석}}
[[분류:서울과학기술대학교|다산관]][[분류:등록문화유산]]
{{리브레 맵스 마커|37.632446189098225|127.07806885242462|15|서울과학기술대학교/다산관}}

2023년 9월 20일 (수) 22:06 기준 최신판

서울대학교 구 공과대학 본관과 교사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다산관, 창학관)
건축물 정보
주소 서울 노원구 공릉로 232 (공릉동)
소유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총면적 본관: 10,193 m2전기전자관: 8,853 m2
문화재 정보
종목 등록문화재 제12호
지정일 2002년 5월 31일

다산관, 붕어방.JPG
붕어방 방향에서 바라본 다산관의 모습. 이 방향은 뒤쪽을 찍은 모습이다.

개요[편집 | 원본 편집]

'ㅁ'자형의 전형적인 교육시설의 특징을 갖고 있는 한국 근대공업교육의 최고학부(경성제국대학)건물로서 경성제국대학 이공학부 교사 및 대학 본관으로 이용하였다. 광복후 경성제국대학의 간판을 서울대학교로 바꿔달면서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본관으로 사용하다가 관악캠퍼스 이전후 서울산업대(현 서울과학기술대학교)의 본관이 되었다.

상세[편집 | 원본 편집]

서울과학기술대학교에서 부르는 명칭은 다산관이며, 동편의 창학관과 함께 세트로 묶여서 등록문화재 12호로 지정되어 있다. 2011년까지는 다산관에 시계탑이 부착되어 있었으나 맞지도 않는 시계의 연간 유지비용이 몇억씩 깨져나가는 관계로 아예 철거하게 되었으며, 2012~3년에 다산관과 창학관의 내부 리모델링이 완료가 되어 있다. 이 리모델링이 완료가 되면서 다산관과 창학관에 남아있던 한국전쟁 당시의 총알맞은 자국들이 꽤 많이 사라졌다. 사실 한국전쟁 당시 이 건물은 UN군 사령부로도 사용되었던 역사가 있다.

2015년 현재 다산관은 기계자동차공학과에서, 창학관은 전자IT미디어공학과에서 주로 사용하고 있다.

이야깃거리[편집 | 원본 편집]

좀 오래 된 근현대사의 분위기가 나는지라 영화나 드라마, CF의 촬영지로 종종 애용되기도 하였다. 다음은 그 목록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