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산임수

Heliko (토론 | 기여)님의 2015년 6월 17일 (수) 13:18 판 (→‎기타)
  • 背山臨水

개요

뒤쪽에 산을 두고 앞쪽에 물(강)을 내려다 본다는 의미로, 과거부터 풍수지리에서 말하는 명당의 기본적인 입지조건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전통적인 취락의 입지조건에 가장 큰 영향을 준 개념이다.

실제

풍수지리의 관점으로만 바라보면 미신이라고 치부해 버릴 수 있겠지만 우리나라의 환경에서는 이 안에 경험에 의한 과학적 원리가 들어가 있다.

  • 배산 : 우리나라의 전통 주택의 방향은 남향집(남동방향을 최상으로 봄)인 것이 일반적이라 뒤쪽에 산을 둔다는 것은 결국 북쪽에 산을 둔다는 것을 의미하게 된다. 이는 겨울철 차가운 북서계졀풍을 완화시켜주는 효과가 있게 된다.
  • 임수 : 앞에 물을 둔다고 알고 있지만 정확한 의미는 물을 내려다본다는 의미이다. 대체로 큰 강줄기에서 약간 높은 곳에, 그리고 가능하다면 큰 강줄기로 흘러드는 지류를 선택하게 되는데, 이는 홍수시 큰 강줄기가 범람할 경우 발생하는 피해로부터 거리를 두고, 작은 지류를 확보하여서 생활용수의 확보를 할 수 있게 된다.

기타

  • 남산 : 전통적 의미로는 남쪽에 있는 산이 아니라 집 앞의 산을 남산이라 인식한다. 물론 배산임수를 철저하게 지키고, 남향집이라면 당연히 남산은 남쪽의 산이 되게 된다.
  • 전통 취락에서 이러한 입지를 완전히 충족하지 못할 경우 나무를 심어 인공적으로 숲을 조성하는 등 인공적인 방법으로 부족한 점을 보완하게 된다. 풍수적인 입장에서 부족한 점을 인공적으로 보완/대처하는 것을 흔히 비보(裨補)라고 부른다. 숲을 조성한 비보의 대표적인 경우가 안동 하회마을의 만송정솔숲이다. 그 외에 작은 둔덕을 만들어 나무를 심는 경우도 흔한데 이를 산을 만들었다고 조산(造山)이라고 부른다. 그 외에도 비보에는 지명을 바꾼다거나, 조각상을 둔다거나 하는 식으로 매우 다양하다.

이러한 입지조건을 가진 전통취락

  • 한양 : 경복궁을 기준으로 보면 북악산이 뒷산이 되고, 작은 물줄기가 청계천이 된다, 현재의 평창동, 성북동 일대가 여기 해당한다. 성북동만 떼어놓고 보면 뒷산은 북한산과 그 자락인 구진봉으로 이어지며, 하천은 성북천이 여기에 해당한다.
  • 남원시 : 남원읍성이 있던 자리를 보면 북서쪽의 교룡산이 뒷산에 해당하며, 바로 앞에 섬진강의 지류인 요천이 흘러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