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정식: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3번째 줄: 3번째 줄:
== 간단한 소개 ==
== 간단한 소개 ==
[[파일:FoundX v2.svg|섬네일|{{ㅊ|찾았다! 문서 끝!}}]]
[[파일:FoundX v2.svg|섬네일|{{ㅊ|찾았다! 문서 끝!}}]]
간단히 말하자면 어떤 x를 찾는 것이다.
간단히 말하자면 어떤 ''x''를 찾는 것이다.


== 정의<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099560&cid=40942&categoryId=32207 네이버 검색]</ref> ==
== 정의<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099560&cid=40942&categoryId=32207 네이버 사전]</ref> ==
'''방정식'''이란 미지수의 값에 따라서 참이 되거나 거짓이 되는 등식이다.
'''방정식'''이란 미지수의 값에 따라서 참이 되거나 거짓이 되는 등식이다.
예시를 들어보자.
예시를 들어보자.
x<sup>3</sup>-3x+2=0이라는 식은 x=1 또는 -2 혹은 일 때는 참이지만, x=5일 때는 거짓이다. 따라서 방정식이다.
''x''<sup>3</sup>−3''x''+2=0이라는 식은 ''x''=1 또는 −2일 때는 참이지만, 예를 들어 ''x''=0일 때는 거짓이다. 따라서 방정식이다.
이때, 방정식이 참이 되게 하는 값을 방정식의 '''해''' 또는 '''근'''이라고 한다.
이때, 방정식이 참이 되게 하는 값을 방정식의 '''해''' 또는 '''근'''이라고 한다.
위의 방정식의 해는 1 또는 -2다.
위의 방정식의 해는 1(중근) 또는 −2다.


주의할 점은 '''항상 참이거나, 항상 거짓'''인 경우 역시 방정식이라는 것이다.
주의할 점은 '''항상 참이거나, 항상 거짓'''인 경우 역시 방정식이라는 것이다.
전자의 경우를 항등식이라고 하며, 후자의 경우를 불능이라 한다.
전자의 경우를 항등식이라고 하며, 후자의 경우를 불능이라 한다.
항등식의 예는 (x+1)<sup>2</sup>=x<sup>2</sup>+2x+1, x=x 등이 있으며,
항등식의 예는 (''x''+1)<sup>2</sup>=''x''<sup>2</sup>+2''x''+1, ''x''=''x'' 등이 있으며,
불능의 경우는 x=x-2, 0x=1 등이 있다.
불능의 경우는 ''x''=''x''−1, 0''x''=1 등이 있다.


== 왜 중요한가? ==
== 왜 중요한가? ==
21번째 줄: 22번째 줄:


== 방정식의 종류 ==
== 방정식의 종류 ==
그렇다면, 방정식은 어떤 종류가 있는가? 라는 질문이 가능하다.
아래에선 방정식의 종류에 대해 서술한다.
=== 다항방정식 ===
=== 다항방정식 ===
다항방정식은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꼴이다.<br>
다항방정식은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꼴이다.
<math>\definecolor{ers}{RGB}{81,64, 242} \color{ers}{\sum_{i=0}^{n}{{a}_{i}}^{i}}</math>.<br>
: <math>\definecolor{ers}{RGB}{81,64, 242} \color{ers}{\sum_{i=0}^{n}{{a}_{i}}^{i}}</math>.
이때, a<sub>i</sub>가 0이 아닌 i 중에서 가장 큰 i의 값을 n이라고 하자. 그러면 이 다항방정식을 n차 방정식이라고 한다.
이때, a<sub>i</sub>가 0이 아닌 i 중에서 가장 큰 i의 값을 n이라고 하자. 그러면 이 다항방정식을 n차 방정식이라고 한다.


33번째 줄: 31번째 줄:
(x-α)(x-β)...(x-η)=0 그러면 x=α 또는 β 또는 ... η이 된다.
(x-α)(x-β)...(x-η)=0 그러면 x=α 또는 β 또는 ... η이 된다.


흥미로운 점은 4차 이하의 방정식은 일반적인 해가 존재하지만, [[군 (수학) | 5차부터는 존재하지 않는다.]]<ref>왜 할까? 항목을 보자.</ref>
흥미로운 점은 4차 이하의 방정식은 일반적인 풀이법이 존재하지만, [[군 (수학)|5차 이상의 방정식은 그렇지 않다.]]<ref>왜 할까? 항목을 보자.</ref> 그러나, 이것이 해가 존재하지 않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1차 이상의 모든 (복소계수) 다항방정식은 복소수 범위에서 항상 해가 존재한다. 이를 대수학의 기본정리라고 한다.<ref name="대수학의 기본정리">[http://ko.wikipedia.org/wiki/%EB%8C%80%EC%88%98%ED%95%99%EC%9D%98_%EA%B8%B0%EB%B3%B8_%EC%A0%95%EB%A6%AC 위키백과:대수학의 기본정리]</ref>
그러나, 이것이 해가 존재하지 않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0차가 아닌 모든 다항방정식은 복소수 범위에서 항상 해가 존재한다. 이를 대수학의 기본정리라고 한다.<ref name="대수학의 기본정리">[http://ko.wikipedia.org/wiki/%EB%8C%80%EC%88%98%ED%95%99%EC%9D%98_%EA%B8%B0%EB%B3%B8_%EC%A0%95%EB%A6%AC 위키백과:대수학의 기본정리]</ref>


=== 분수방정식 ===
=== 분수방정식 ===
68번째 줄: 64번째 줄:
=== 그 외의 여러 방정식들 ===
=== 그 외의 여러 방정식들 ===
* 부정방정식 : 해가 무수히 많은 방정식을 부정방정식이라고 한다. 대표적인 부정방정식은 x=2y가 있다.
* 부정방정식 : 해가 무수히 많은 방정식을 부정방정식이라고 한다. 대표적인 부정방정식은 x=2y가 있다.
* 연립방정식 : 여러 방정식이 동시에 묶여 있는 경우다. 이때, 연립방정식의 해는 방정식들을 모두 참으로 만드는 것으로 정의된다. 예를 들어 {x+y=2, x=2 가 있다. 이때, 이 방정식의 해는 x=2, y=0이 된다. 특히, 이 연립방정식의 각 방정식들이 모두 일차방정식일 때를 주로 연구하는 것이 [[선형대수학]]
 
* 연립방정식 : 여러 방정식이 동시에 묶여 있는 경우다. 이때, 연립방정식의 해는 방정식들을 모두 참으로 만드는 것으로 정의된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다.
*: <math>\begin{cases} x+y=2\\ x=2 \end{cases}</math>
: 이 방정식의 해는 ''x''=2, ''y''=0이 된다. 특히, 이 연립방정식의 각 방정식들이 모두 일차방정식일 때를 주로 연구하는 것이 [[선형대수학]]이다.


이 외에도 다른 방정식들을 [[추가바람]]
이 외에도 다른 방정식들을 [[추가바람]]


{{각주}}
{{각주}}

2015년 5월 15일 (금) 13:47 판

틀:학술 관련 정보

간단한 소개

찾았다! 문서 끝!

간단히 말하자면 어떤 x를 찾는 것이다.

정의[1]

방정식이란 미지수의 값에 따라서 참이 되거나 거짓이 되는 등식이다.

예시를 들어보자. x3−3x+2=0이라는 식은 x=1 또는 −2일 때는 참이지만, 예를 들어 x=0일 때는 거짓이다. 따라서 방정식이다. 이때, 방정식이 참이 되게 하는 값을 방정식의 또는 이라고 한다. 위의 방정식의 해는 1(중근) 또는 −2다.

주의할 점은 항상 참이거나, 항상 거짓인 경우 역시 방정식이라는 것이다. 전자의 경우를 항등식이라고 하며, 후자의 경우를 불능이라 한다. 항등식의 예는 (x+1)2=x2+2x+1, x=x 등이 있으며, 불능의 경우는 x=x−1, 0x=1 등이 있다.

왜 중요한가?

직관적인 설명을 추가바람

방정식의 종류

다항방정식

다항방정식은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꼴이다.

[math]\displaystyle{ \definecolor{ers}{RGB}{81,64, 242} \color{ers}{\sum_{i=0}^{n}{{a}_{i}}^{i}} }[/math].

이때, ai가 0이 아닌 i 중에서 가장 큰 i의 값을 n이라고 하자. 그러면 이 다항방정식을 n차 방정식이라고 한다.

그러면, 다항방정식은 어떻게 푸는가? ab=0이라면, a=0 또는 b=0이라는 것에서 착안하여 다항식을 인수분해한다. 편의상 최고차항의 계수를 1이라고 하면, (x-α)(x-β)...(x-η)=0 그러면 x=α 또는 β 또는 ... η이 된다.

흥미로운 점은 4차 이하의 방정식은 일반적인 풀이법이 존재하지만, 5차 이상의 방정식은 그렇지 않다.[2] 그러나, 이것이 해가 존재하지 않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1차 이상의 모든 (복소계수) 다항방정식은 복소수 범위에서 항상 해가 존재한다. 이를 대수학의 기본정리라고 한다.[3]

분수방정식

각 항을 모두 정리하여 f(x)=0꼴로 만들었을 때, 분모에 미지수가 포함되어 있는 분수식을 말한다. 예를 들면

[math]\displaystyle{ \frac {1}{x}-\frac {1}{x-2}=0. }[/math]

그러면 분수방정식은 어떻게 푸는가? 각 항의 분모의 최소공배수를 양 변에 곱하여 다항방정식으로 고쳐서 푼다. 그러면 분수방정식은 다항방정식과 차이점이 무엇인지 의문이 들 수 있다.

결정적 차이점은 무연근[4]이 존재할 수 있다는 것이다. 무연근이란, 풀기 편한 형태로 바꾼 방정식(위에선, 최소공배수를 곱해 만든 다항방정식)에선 해가 되지만, 원래의 방정식에선 해가 되지 않는 값인데, 예시를 들어보자. 1/x=1/x(x+1)이라는 방정식을 풀기 위해 양 변에, x(x+1)을 곱하면, x(x+1)=x가 된다. 분배법칙을 써서 괄호를 풀고, x를 이항하면, x2=0가 되어, x=0이 해가 된다. 하지만 원래의 방정식 1/x=1/x(x+1)의 해는 되지 않는데, 분모를 0으로 만들기 때문이다.

무리방정식

각 항을 모두 정리하여, f(x)=0꼴로 만들었을 때, 무리식이 포함되는 경우다. 예를 들면 sqrt(x-2)+x=8.

그러면 무리방정식은 어떻게 푸는가? 적당히 거듭제곱을 취해서 거듭제곱근을 제거, 즉 다항방정식 형태로 만들어 푼다. 무리방정식의 경우도 분수방정식처럼 무연근[5]이 존재할 수 있다.

함수방정식

위의 경우들은 모두 x에 대한 어떤 실수나 복소수 값들을 구했다. 함수방정식은 어떤 값이 함수인 경우다. 예를 들어보자. f(x+y)=f(x)f(y)라는 방정식은 f(x)=ax일 때 참이 된다. 함수방정식에도 역시 종류가 여러 가지 있는데, 그 중 특히 중요한 것은 미분방정식이다. 미분방정식이 중요한 이유는 많은 물리학 법칙들이 미분의 형태로 나타나기 때문이다.[6]

그 외의 여러 방정식들

  • 부정방정식 : 해가 무수히 많은 방정식을 부정방정식이라고 한다. 대표적인 부정방정식은 x=2y가 있다.
  • 연립방정식 : 여러 방정식이 동시에 묶여 있는 경우다. 이때, 연립방정식의 해는 방정식들을 모두 참으로 만드는 것으로 정의된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다.
    [math]\displaystyle{ \begin{cases} x+y=2\\ x=2 \end{cases} }[/math]
이 방정식의 해는 x=2, y=0이 된다. 특히, 이 연립방정식의 각 방정식들이 모두 일차방정식일 때를 주로 연구하는 것이 선형대수학이다.

이 외에도 다른 방정식들을 추가바람

각주

  1. 네이버 사전
  2. 왜 할까? 항목을 보자.
  3. 위키백과:대수학의 기본정리
  4. 무연근이 존재하는 이유는 a=b라는 분수방정식을 풀기 위해 최소공배수 L을 곱한다고 해보자. 그러면, aL=bL이라는 형태의 다항방정식이 되는데, 이때 L=0인 경우, a=b가 아니더라도 이 다항방정식은 참이 된다. 이 경우 무연근이 생기는 것이다.
  5. 무리방정식에서 무연근이 존재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x1/4=y이라는 무리방정식을 생각하자. 거듭제곱근을 제거하기 위해 네제곱을 했다고 하면, x=y4인데, 이 경우, x=1, y=i 역시 이 다항방정식의 해가 된다.(이때 i=sqrt(-1) 허수다.) 하지만, 이들은 원래 방정식인 x1/4=y의 해는 되지 않는다.
  6. 대표적인 것으로 F=mdv/dt. dv/dt가 고정돼 있을 경우 고등학교 물리시간에 많이 본 식인 F=ma가 된다.